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빌리티 인사이트] ‘2021 서울모빌리티쇼’, 초연결화 자동차를 소개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16 12:47:50
조회 472 추천 0 댓글 1
모빌리티(mobility). 최근 몇 년간 많이 들려오는 단어입니다. 한국어로 해석해보자면, ‘이동성’ 정도가 적당하겠네요. 그런데 말입니다. 어느 순간부터 자동차도 모빌리티, 킥보드도 모빌리티, 심지어 드론도 모빌리티라고 말합니다. 대체 기준이 뭘까요? 무슨 뜻인지조차 헷갈리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몇 년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스타 벤처 중 상당수는 모빌리티 기업이었습니다.

‘마치 유행어처럼 여기저기에서 쓰이고 있지만 도대체 무슨 뜻인지, 어디부터 어디까지 모빌리티라고 부르는지 도무지 모르겠다!’라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통해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다양한 모빌리티 기업과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차량호출 서비스부터 아직은 낯선 ‘마이크로 모빌리티’, ‘MaaS’, 모빌리티 산업의 꽃이라는 ‘자율 주행’ 등 모빌리티 인사이트가 국내외 사례 취합 분석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하나씩 알려 드립니다.

인류를 넘어선 인공지능, 위기일까, 기회일까?


지난 1997년 IBM이 개발한 체스 인공지능 ‘딥블루’도 당시 체스 세계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상대로 승리해 기계가 인간의 사고를 뛰는 사건이 있었죠. 그리고 2016년 3월, 전 세계는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AlphaGo)’의 바둑 대결에 주목했습니다. 결과는 알파고가 5번의 대전 끝에 4승 1패로 승리했죠. 충격이었습니다. 바둑은 체스와 비교해 대전 중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무한대에 가깝기에 바둑만큼은 인간이 승리할 것이라 예측했었기 때문이죠.

구글 딥마인드는 계획대로 기술을 개발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파고를 개발했는데요. 구글 딥마인드는 기계의 지능을 개발할 수 있는 고급 범용 알고리즘을 활용해 의료, 에너지 소비 등 복잡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목표라고 전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개발했고, 이제는 인류의 일상 속에 깊이 들어와 다양한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출처: 필자 제공



바둑 두는 법을 잘 모르는 저도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을 지켜봤습니다. 알파고가 4:1로 이겼을 때는 충격을 받았어요. 마치 기계가 인간을 압도했다는 기분을 느껴서요.

맞습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막연한 두려움은 1984년 개봉했던 영화 ‘터미네이터’에서도 찾아볼 수 있죠. 이 영화는 인간이 개발한 인공지능 전략 방어 네트워크가 스스로 30억 명에 달하는 인구를 말살하고, 남은 인간들은 기계의 지배 아래 일하는 배경에서 시작하는데요.

하지만, 이런 걱정에 앞서 ‘인간은 왜 인공지능을 개발하는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인류는 탄생 이래 생활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고민했습니다. 끊임없이 무언가를 만들고, 개발하며, 오늘날의 과학 발전까지 이룩했죠. 이미 우리들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잖아요. “시리야”, “지니야”라 부르는 인공지능 음성 비서를 말이죠.


출처: 필자 제공



그러게요. 어느 순간부터 핸드폰이나 내비게이션을 음성으로 사용하는 일이 늘어나긴 했어요.

오늘 소개할 ‘지능화된 미래 자동차’도 인공지능을 활용했습니다. 지난 11월 25일(목)부터 12월 5일(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모빌리티쇼에서도 미래 자동차의 특징으로 ‘공간의 변화’, ‘친환경 지속가능 모빌리티’와 함께 ‘자동차의 지능화’를 소개했었죠.

지능화된 자동차는 스스로 도로 인프라(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주변 자동차(V2V, Vehicle to Vehicle),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 등과 연결해 소통하는 기술(V2X, Vehicle to Everything)을 탑재한 자동차를 뜻합니다. V2X 기술은 지능형 교통체계(C-ITS) 구축과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를 앞당길 핵심 기술 중 하나인데요.

이러한 기술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일상에 접목시기키 위해 필요한 기술이 인공지능입니다. 이미 자동차 제조사들이 인공지능 커넥티드카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는데요.

글로벌 리서치 업체 ‘Verified Market Research’ 조사에 따르면, 자율주행, 데이터,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전 세계 자동차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2020년 20억 8,230만 달러(한화 약 2조 4,600억 원)에 이릅니다. 그리고 2028년 약 247억 2,300만 달러(한화 약 29조 3,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2021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성장률은 37.38%에 달한다면서 말이죠.


출처: 필자 제공



인공지능? 커넥티드카? 이해하기 어렵네요.

음… ‘인공지능 기반 기술’,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 ‘자율주행’ 등 3 분야로 나눠 설명할 수 있는데요.

‘인공지능 기반 기술’은 SKT가 티맵모빌리티-볼보자동차와 협력해 개발한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OS 기반의 ‘누구 오토(NUGU auto)’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누구 오토’는 음성비서 형태로, ‘볼보 XC60’에 탑재하며 대중에 선보였습니다.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은 물론 별도의 차량 내부 버튼을 조작하지 않아도 음악을 재생하거나, 평소 운전자가 자주 듣던 음악을 분석해 음악을 추천해주고, 문자와 전화를 음성으로 보내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에어컨 온도, 좌석 시트 열선 등도 조절할 수도 있죠. 자동차의 다양한 기능을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거죠.


SKT의 ‘누구 오토’를 탑재한 ‘볼보 XC60’, 출처: 한국인사이트연구소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은 ICT 기술을 탑재한 커넥티드카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향후 자동차는 도로 위를 달리면서 주변 인프라, 자동차, 사람 등과 연결한다는 뜻인데요. 이러한 연결을 통해 탑승자의 편의를 높이고, 주행하는 동안 맞춤형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늘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 데이터를 외부에 노출할 수 있다는 위험도 있어요. 이에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은 얼굴인식, 지문인식 등 안전한 보안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는 자동차관리법 규제로 무선업데이트(OTA) 사용에 한계가 있습니다. 때문에 내비게이션 무선 업데이트 정도로만 활용하고 있는데요. 현재 규제 샌드박스 임시허가를 통해 일부 차량에만 OTA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 라인업 커넥티드카, 출처: 한국인사이트연구소



‘자율주행’ 기술은 이미 많이 주목받고 있죠. 현대자동차는 오는 2022년 상반기부터 레벨4 단계의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로보택시 서비스 ‘로보라이드(RoboRide)’를 서울 내 시범운행지구에서 운영할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함께 공개하는 등 자율주행 기술을 알리는데 주력했습니다.


카이스트가 개발한 자율주행 자동차 엔진, 출처: 한국인사이트연구소



혹시 우리에게 직면한 문제나 고려할 요소도 있을까요?

아직 지능화된 자동차 기술을 위한 관련 네트워크, 데이터 규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인프라 부족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지능형 자동차의 완전한 실현과 상용화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죠.

특히,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과 관련한 무선통신의 규격을 빠르게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최근 정부가 근거리전용통신(DSRC)의 일종인 ‘웨이브(WAVE) 방식’과 셀룰러 기반의 ‘LTE-V2X’ 실증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며 조율하고 있지만,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죠. 즉,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의 윤리적 판단 문제로 자주 등장하는 ‘트롤리 딜레마’를 빼놓을 수 없죠. 트롤리 딜레마는 인공지능의 의사결정을 어디까지 믿고 맡길 수 있는가에 대한 사회적 고민입니다.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우면서 학습합니다. 좋은 결과물을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 입력이 필수죠. 때문에 데이터 수집과 정제 과정 등을 면밀하게 살펴야 합니다.

모두가 원하는 지능화된 자동차는 진정 미래 자동차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어쩌면 앞으로 우리 삶에서 ‘운전자’라는 말은 사라질 수도 있어요. 자동차가 알아서 운전하는, ‘탑승자’라는 사용하는 시대가 올 수 있어요. 너무 많은 걱정 보다 앞으로의 자동차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을지, 기대하며 지켜면 어떨까요?

글 / 한국인사이트연구소 이경현 소장

한국인사이트연구소는 시장 환경과 기술, 정책, 소비자 측면에서 체계적인 방법론과 경험을 통해 다양한 민간기업과 공공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모빌리티’ 사업 가능성을 파악한 뒤, 모빌리티 DB 구축 및 고도화, 자동차 서비스 신사업 발굴, 자율주행 자동차 동향 연구 등 모빌리티 산업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연구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모빌리티 인사이트 데이’ 컨퍼런스 개최를 시작으로 모빌리티 전문 리서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분야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정리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네이버웍스 활용하기] 협업 툴의 활용도, 인공지능에서 나온다▶ 스트라드비젼, LG전자 ADAS 카메라 시스템에 기술 공급한다▶ [AICON 광주 2021] 미래 AI 트렌드가 한 곳에, '광주 AICON 전시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652 [리뷰] 퀄컴 칩셋으로 다듬은 연결성, 브리츠 어쿠스틱 TWS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90 0
651 진화 거듭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상공인 스마트 상점 마중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43 0
650 [뉴스줌인] HDR 600 인증 획득한 MSI 써밋 MS321UP 모니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51 0
649 은밀하게 진행되는 횡령사고, "CMS를 통해 사전 차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94 0
648 [리뷰] '콘텐츠 감상도, 간단한 작업도 OK' 에이수스 비보북 13 슬레이트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66 0
647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주차 로봇의 등장, 이젠 주차 걱정 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035 3
646 [IT신상공개] 한국인에겐 그림의 떡, 삼성 갤럭시 S21 FE 5G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591 2
645 숨은 보험금만 '12조원', 숨은 보험금도 빠짐없이 찾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80 0
644 [리뷰] 와이파이6E 품은 첫 차세대 공유기, 넷기어 RAXE5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47 0
643 [IT신상공개] 무드등? 조명? 프로젝터? 삼성전자 '더 프리스타일' 국내 예판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308 1
642 카카오·네이버가 택한 '뉴스 구독'... 포털의 사회적 책임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11 0
641 천차만별 가습기, 브랜드보다 먼저 따져봐야 할 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52 0
640 [리뷰] 책상에 주는 공간의 여유, 카멜마운트 고든 프로 UMA-2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219 0
639 2022년 폴더블 스마트폰 2R '삼성전자 vs 중국 연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18 0
638 [주간투자동향] 번개장터, 82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25 0
637 [CES2022] IoT 생태계 구축, 확대에 팔 걷은 글로벌 기업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55 0
636 [BIT 인사이트저널] 2022년이 기대되는 택시합승 서비스 '반반택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515 1
635 음향 기기에서 '개성의 아이콘' 될까? 무선 이어폰은 변신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86 1
634 실감 통화, 가상 스포츠 중계…2022년 등장할 차세대 광학 기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97 1
633 [IT하는법] 혼자 쓰는 윈도 PC, 부팅할 때마다 로그인 귀찮다면?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890 2
632 [CES2022] "IT 혁신이 한 자리에", CES2022가 뽑은 혁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21 1
631 [CES2022] 올해 CES의 새로운 화두 NFT, 시장에 가져다 줄 변화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9 0
630 [CES2022] 중국 사라진 유레카 파크, 대한민국이 휩쓸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01 0
629 [기고] 아트테크가 뭐에요? 많이 묻는 질문과 답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63 0
628 [CES2022] 롯데 실감형 메타버스 CES 서 극찬.. '이것이 진짜 메타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03 0
627 [리뷰] OTT 중심 시대에는 가정에도 프로젝터를! - 벤큐 4K UHD 프로젝터 'TK700ST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68 0
626 [CES2022] 혁신과 전통 사이, 노트북 소비자들의 선택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333 0
625 [CES2022] 코로나로 활짝 핀 게임 시장, 대형 업체들도 라인업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285 0
624 [CES2022] 국내 게이밍 기어 제조사 마이크로닉스, 글로벌 대기업 사이에서 '존재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9 0
623 [CES2022] 파나소닉의 미래 키워드는? '사회적책임', '스마트 라이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85 0
622 [CES2022] 현대차, '미래차'아닌 '로보틱스 비전' 발표··· '더 큰 그림 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3 0
621 [모빌리티 인사이트] 알아서 나를 따라다니는 '쇼핑카트'가 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621 0
620 [CES2022] 전기차 혁신에 시동 건다··· '미래 모빌리티 쇼'로 떠오른 CE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77 0
619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0 0
618 [CES2022] 엔비디아, 자율주행차 플랫폼 생태계 넓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00 0
617 [CES2022] '모바일 넘어 모빌리티로' 자동차에 방점 찍은 퀄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75 0
616 [CES2022] 삼성전자의 미래, '지속가능성' '고도의 연결성' '맞춤형 경험'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118 5
615 [CES 2022] 엔비디아, GPU 라인업 확장··· RTX3050부터 3090 Ti까지 등장 [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236 3
614 [CES2022] LG전자가 제시한 비전은? '스마트홈', 'ESG', '모빌리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43 0
613 [CES2022] 인텔, 노트북 및 데스크톱 12세대 코어 라인업 모두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164 1
612 [CES2022] AMD, 신형 노트북 CPU·GPU 공개··· 올 하반기 '젠4 CPU'도 공개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671 19
611 [CES2022] CES2022에서 볼 수 있는 '올해 기술 트렌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06 0
610 [리뷰] 니콘의 부활 이끌 미러리스 카메라 Z9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763 5
609 "경쟁사 진출 환영" 자신감 드러낸 LG, OLED TV 1위 입지 굳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58 0
608 [리뷰] 다 함께 노래 즐기는 파티용 스피커, JBL 파티박스 온더고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926 0
607 [리뷰] 업계 최고들을 위한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프로 듀오 UX582HS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1386 0
606 [리뷰] 눈 편안한 ‘웰빙’ 모니터, 벤큐 GW2785TC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12 0
605 [IT애정남] 애플케어+와 통신사 보험, 어떤 게 이득 클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493 2
604 돌아온 이루다, '불편하지 않은 답변'이 가능하려면 [8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5870 13
603 '더 나은 경험' 위해 온·오프라인 경계 허문 LG전자, CES 2022에서 빛날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56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