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고]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의 지금과 미래, 그리고 투자 시 살필 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17 09:50:49
조회 1587 추천 1 댓글 2
[IT 동아] 2021년이 저물고 있습니다. 올해 미술 시장은 어느 때보다도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온라인 미술품 거래 시장의 성장, 메타버스와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 토큰), 새로운 미술품 거래 방법으로 각광 받은 미술품 분할 소유 플랫폼과 여기에 적극 참여한 젊은 소비자 등이 등장한 덕분입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비싼 미술품을 사서, 소유권을 나눠 소비자에게 판매합니다. 소비자들은 가격 부담을 덜고 비교적 싼 가격에 미술품의 소유권을 삽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향후 미술품을 더 비싼 가격에 팔고, 이익을 소유권 분량만큼 소비자에게 배분합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 테사 메인 화면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이렇게 미술품을 사고 팔아 10% 이상의 수익률을 거뒀습니다. 미술품이 투자 자산으로 가치가 있다는 점을 증명한 셈입니다. 투자 업계도 이들을 주목했습니다. ‘아트앤가이드’를 운영하는 열매컴퍼니는 92억 원 상당의 시리즈 A 투자를 받았습니다. 올해 초 등장한 ‘테사(TESSA)’도 여러 건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들은 고액 자산가, 기업이 대부분인 미술품 거래 시장에 20대~30대 젊은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서울옥션블루가 운영하는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 ‘소투(SOTWO)’는 회원 가운데 95%가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태어난 세대)라고 밝혔습니다. 테사 역시 유료 회원 60% 이상이 20대~30대 소비자입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새로운 미술품 유통 채널로도 각광 받습니다. 아트앤가이드는 미술품 공동구매뿐 아니라 원화, 판화 등 미술 상품을 팝니다. 테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상설 아트테크 갤러리를 운영합니다. 덕분에 소비자는 미술품을 사고파는 즐거움에 직접 보고 느끼며 예술 지식까지 쌓는 기쁨을 얻습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의 역사는 채 10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짧습니다. 기존 미술 업계는 우려하는 시선과 지적을 함께 보냈습니다. 미술품 분할 플랫폼들이 다루는 미술품의 가격은 적절한지, 작품의 가치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사업의 지속 가능성은 있는지 물었습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 아트앤가이드 메인 화면. 출처 = 아트앤가이드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자신들이 사고 파는 미술품, 그와 관계가 있는 미술품들이 이전에 얼마에 거래됐는지, 작가의 인지도와 그의 작품이 시장에서 얼마나 자주 거래되는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미술품 거래는 자주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에, 기존의 거래 혹은 작가의 정보는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는 주요 근거가 됩니다.

단, 사업의 지속 가능성은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들이 증명할 문제입니다. 몇 가지 사전에 살펴봐야 할 위험 요소도 있습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미술품의 소유권을 지분 형태로 팝니다. 그런데, 이것은 법률로 인정을 받는 증권이 아닙니다. 기업의 소유권을 나눠 판매하는 주식은 법률로 인정합니다. 하지만, 미술품 소유권은 그렇지 않아 자칫 분쟁을 일으킬 소지가 있습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 ‘아트투게더’는 그 대안으로, 구매자에게 ‘온라인 권리증’을 발급합니다. 테사는 블록체인으로 소유권을 관리하고, 미술품 실물을 갤러리에 전시하며 실물 인증서도 제공합니다. 구매자들은 이들이 제공하는 권리증이나 소유권이 어떤 효력을 가졌는지, 행여나 기업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떤 대응책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이 소비자에게 투자 외에 어떤 미술적 가치를 주는 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이들은 비싼 미술품을 소액으로 투자하도록 돕는다고, 이름난 미술품을 소장하고 문화를 즐길 기회를 준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가운데 투자는 실제로 이뤄지지만, 소비자가 미술품을 소장하거나 즐길 기회는 극히 일부의 기업을 제외하면 거의 제공하지 않습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소투 메인 화면. 출처 = 소투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이 미술품 투자를 앞세워 시장 참여자를 늘리고, 시장 규모도 키운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미술의 본질과 가치는 ‘관람’에서 나옵니다. 소비자가 미술 시장과 작품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고, 직접 보고 평가하며 적극 참여하도록 이끄는 것이 바람직한 미술 시장의 모습입니다. 그래야 오늘날 미술 시장이 자리 잡은 것처럼,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이 소비자를 꾸준히 확보하고 사업을 오래 지속 가능합니다.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은 투자를 앞세워 소비자를 이끌고 시장 규모를 키우는 한편, 미술 문화와 시장의 유의미한 질적 성장도 이끌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투자뿐 아니라, 미술품 소비자들이 전시 관람을 활발히 하도록, 미술품 자체에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소비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는 지금은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에게 중요한 시기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그래서 미술 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치고 안정적으로 자리 잡느냐에 따라 이들의 평가와 미래가 정해질 것입니다.

글 / 아트파이낸스그룹 류지예 팀장

※ 아트파이낸스그룹은 뉴노멀 시대를 맞아 금융의 영역을 예술 산업으로 넓혀 신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위험 대비 수익을 제공할 투자처를 발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홍익대학교 동아시아예술문화연구소와 예술금융 교육, 다양한 세미나도 엽니다. 주 업무는 예술품 거래 데이터 분석, 예술 부문 비즈니스 컨설팅 및 연구이며 아트 펀드도 준비 중입니다.

정리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예술·지역·스타트업을 잇는 LAS 예술창업▶ 떠오르는 '예술품 조각 투자', 국내외 주목할 만한 사례는?▶ [아트테크 활용하기] 4(완) 미술품의 가치, 이제는 데이터로 객관적으로 판단하자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651 진화 거듭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상공인 스마트 상점 마중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43 0
650 [뉴스줌인] HDR 600 인증 획득한 MSI 써밋 MS321UP 모니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50 0
649 은밀하게 진행되는 횡령사고, "CMS를 통해 사전 차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94 0
648 [리뷰] '콘텐츠 감상도, 간단한 작업도 OK' 에이수스 비보북 13 슬레이트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66 0
647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주차 로봇의 등장, 이젠 주차 걱정 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034 3
646 [IT신상공개] 한국인에겐 그림의 떡, 삼성 갤럭시 S21 FE 5G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591 2
645 숨은 보험금만 '12조원', 숨은 보험금도 빠짐없이 찾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80 0
644 [리뷰] 와이파이6E 품은 첫 차세대 공유기, 넷기어 RAXE5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46 0
643 [IT신상공개] 무드등? 조명? 프로젝터? 삼성전자 '더 프리스타일' 국내 예판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307 1
642 카카오·네이버가 택한 '뉴스 구독'... 포털의 사회적 책임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10 0
641 천차만별 가습기, 브랜드보다 먼저 따져봐야 할 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51 0
640 [리뷰] 책상에 주는 공간의 여유, 카멜마운트 고든 프로 UMA-2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219 0
639 2022년 폴더블 스마트폰 2R '삼성전자 vs 중국 연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18 0
638 [주간투자동향] 번개장터, 82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24 0
637 [CES2022] IoT 생태계 구축, 확대에 팔 걷은 글로벌 기업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54 0
636 [BIT 인사이트저널] 2022년이 기대되는 택시합승 서비스 '반반택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514 1
635 음향 기기에서 '개성의 아이콘' 될까? 무선 이어폰은 변신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85 1
634 실감 통화, 가상 스포츠 중계…2022년 등장할 차세대 광학 기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97 1
633 [IT하는법] 혼자 쓰는 윈도 PC, 부팅할 때마다 로그인 귀찮다면?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890 2
632 [CES2022] "IT 혁신이 한 자리에", CES2022가 뽑은 혁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21 1
631 [CES2022] 올해 CES의 새로운 화두 NFT, 시장에 가져다 줄 변화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9 0
630 [CES2022] 중국 사라진 유레카 파크, 대한민국이 휩쓸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00 0
629 [기고] 아트테크가 뭐에요? 많이 묻는 질문과 답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62 0
628 [CES2022] 롯데 실감형 메타버스 CES 서 극찬.. '이것이 진짜 메타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03 0
627 [리뷰] OTT 중심 시대에는 가정에도 프로젝터를! - 벤큐 4K UHD 프로젝터 'TK700ST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68 0
626 [CES2022] 혁신과 전통 사이, 노트북 소비자들의 선택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332 0
625 [CES2022] 코로나로 활짝 핀 게임 시장, 대형 업체들도 라인업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285 0
624 [CES2022] 국내 게이밍 기어 제조사 마이크로닉스, 글로벌 대기업 사이에서 '존재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8 0
623 [CES2022] 파나소닉의 미래 키워드는? '사회적책임', '스마트 라이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85 0
622 [CES2022] 현대차, '미래차'아닌 '로보틱스 비전' 발표··· '더 큰 그림 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3 0
621 [모빌리티 인사이트] 알아서 나를 따라다니는 '쇼핑카트'가 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620 0
620 [CES2022] 전기차 혁신에 시동 건다··· '미래 모빌리티 쇼'로 떠오른 CE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76 0
619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0 0
618 [CES2022] 엔비디아, 자율주행차 플랫폼 생태계 넓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00 0
617 [CES2022] '모바일 넘어 모빌리티로' 자동차에 방점 찍은 퀄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74 0
616 [CES2022] 삼성전자의 미래, '지속가능성' '고도의 연결성' '맞춤형 경험'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117 5
615 [CES 2022] 엔비디아, GPU 라인업 확장··· RTX3050부터 3090 Ti까지 등장 [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235 3
614 [CES2022] LG전자가 제시한 비전은? '스마트홈', 'ESG', '모빌리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43 0
613 [CES2022] 인텔, 노트북 및 데스크톱 12세대 코어 라인업 모두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164 1
612 [CES2022] AMD, 신형 노트북 CPU·GPU 공개··· 올 하반기 '젠4 CPU'도 공개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671 19
611 [CES2022] CES2022에서 볼 수 있는 '올해 기술 트렌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06 0
610 [리뷰] 니콘의 부활 이끌 미러리스 카메라 Z9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761 5
609 "경쟁사 진출 환영" 자신감 드러낸 LG, OLED TV 1위 입지 굳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58 0
608 [리뷰] 다 함께 노래 즐기는 파티용 스피커, JBL 파티박스 온더고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925 0
607 [리뷰] 업계 최고들을 위한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프로 듀오 UX582HS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1386 0
606 [리뷰] 눈 편안한 ‘웰빙’ 모니터, 벤큐 GW2785TC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12 0
605 [IT애정남] 애플케어+와 통신사 보험, 어떤 게 이득 클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493 2
604 돌아온 이루다, '불편하지 않은 답변'이 가능하려면 [8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5870 13
603 '더 나은 경험' 위해 온·오프라인 경계 허문 LG전자, CES 2022에서 빛날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561 0
602 박인서 에이비씨써클 "토양 병해 진단 키트로 세계 농업 부흥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5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