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케일업] “중대재해 없는 건설현장, 스마트인사이드가 물꼬 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28 17:14:47
조회 727 추천 0 댓글 1
[스케일업 X 대구대학교 창업도약패키지] 스마트인사이드 AI (4)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사업영역은 ‘건설 IoT(사물인터넷) 센서’와 ‘건설 특화 영상 AI(인공지능)’입니다. 지난 2018년 건설 현장 산업 재해 방지와 사후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성균관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인 박승희 대표가 스마트인사이드(전신)를 창업한 뒤, AI 스타트업 대표이자 고등학교 동창이었던 신주호 부대표가 합류해 지금의 스마트인사이드 AI로 재탄생했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출신의 김태헌 연구소장도 합류하며 내실을 다졌습니다.

다만, 저희 스케일업팀은 크게 2개의 사업영역으로 나뉘어 있는 스마트인사이드 AI에게 ‘선택과 집중’의 필요성을 전달했습니다. 스마트인사이드 AI도 보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는 무엇인지, 만약 투자를 유치한다면 어떤 사업을 투자자에게 제안하는 것이 유리할 지 고민하고 있었죠. 그리고 약 두 달이 지난 지금, 스마트인사이드 AI가 좋은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스케일업을 위한 마중물,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말이죠.


다시금 심각해진 코로나19로 인해 화상으로 만난 스마트인사이드 AI 신주호 부대표, 출처: IT동아


건설 IoT 사업 분야 경쟁력, 인정받았습니다.


스마트인사이드 AI는 스케일업팀과 만나기 전부터 IR(investor relations)을 준비하고 있었다. 지극히 실리적인 이유 때문이다. 건설 산업 특성상 건설 IoT 센서나 영상 AI 서비스 판매 계약을 맺더라도, 실제 회사 매출로 잡히기에는 꽤 시간이 필요했다. 교량, 고층 빌딩 등의 건설 기간을 떠올려보자. 첫 삽을 뜨더라도 실제 완성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교량의 건설 기간은 ‘개월’이 아닌 ‘년’ 단위다. 즉, 제품 납품 계약을 맺더라도 회사 통장에 돈이 들어오기까지 버틸 자금이 필요하다.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재무재표에도 이러한 상황은 고스란히 나타난다. 외부에 자세하게 공개하기 어렵지만, K건설, H2건설, D조선 등과 건설 IoT 센서 납품 계약 건은 ‘자금집행: 2022년’, ‘2022년 초 진행 예정’ 등으로 기입되어 있다. S기업, L건설과 맺은 딥러닝 영상인식 기반 사업장 안전관제 시스템 계약 역시 ‘추가 미팅 예정’으로 적혀있다. 지난 미팅에서 박 대표와 신 부대표 모두 “2021년 확정 매출과 이후 잡혀있는 예상 매출은 별개”라고 설명한 바 있다.


매립형 EM센서 적용 사례,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즉, 지난 IR은 이미 계약을 맺은 제품을 납품하기 위한 최소 경비이자 확정 매출을 위한 자금 확보 때문이었다. 그리고 지난 12월 20일, 어니스트벤처스와 프리-시리즈A 계약을 맺었다. 첫 외부 투자 유치로, 내년 상반기까지 시리즈A 투자를 진행 마무리할 예정이다.

신 부대표는 “건설업계에서 가장 큰 고객은 몇 없다. 이름을 들으면 알만한 공기업과 지자체, 대형 건설사 등이 대부분입니다. 1년에 대형 다리를 몇 개나 건설하는 일은 없잖아요. 교량 건설 기간은 최소 3~5년입니다. 때문에 건설 IoT 센서 계약은 대부분 년 단위로 맺죠”라며, “영상 AI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인공지능 챔피언십 2021’에서 한국전력공사가 제시한 ‘전력설비 점검 지능화 솔루션’ 부문에서 우승해 따낸 구매 연계 계약도 아직 진행 중이에요. 내년 1월부터 진행하는 계약도 여럿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리하자면, 스마트인사이드 AI는 개발한 제품과 서비스를 이제 막 시장에 선보이는, 판매하는 단계로 접어든 스타트업이다. 쉽게말해 이제 돈을 벌기 시작했다. ‘기술 좋네요. 우리 현장에 사용해보겠습니다’라고 고객이 찾아오는 단계다. 즉, 투자 유치 자금은 제품을 만들 자금, 제품을 만들 인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금이다.


인공지능 챔피언십 2021 한국전력공사 과제에서 우승한 스마트인사이드 AI,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신 부대표는 “여기까지 오는 기간이 길었습니다. 저희 제품과 서비스는 기존에 없던 것입니다.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현장에서 테스트하는 기간이 필요하잖아요. 특히 건설 관련 제품, 안전 관련 제품은 테스트 기간이 긴 편입니다. 지난 3년은 이를 설득하는 기간이었어요”라며, “지난한 시간을 거쳐 설득했습니다. 저희 제품과 서비스는 이제현장에 적용하는 단계로 접어들었어요”라고 웃었다.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 저희도 알고 있습니다


‘선택과 집중’에 대한 나름의 결론도 이야기했다. 신 부대표는 “저희도 알고 있습니다. IR을 준비하며 많은 VC를 만날 때마다 들었던 이야기에요. 두 사업 분야는 나눠 분리해서 접근해야 하는지도 심각하게 고민했습니다. 다만,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결론내렸어요. 현실적인 이유입니다”라며, “건설 IoT 제품은 실제 매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희의 캐시카우(Cash Cow), 수익창출원 사업이죠. 하지만 영상 AI는 아직 데이터를 학습하는 단계예요.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라고 설명을 이어갔다.

스마트인사이드 AI도 두 사업 분야의 각자 도생 방안을 고려했었다.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 잘 알고 있다. 하나에 올인해도 부족할 스타트업이 동시에 여러 사업에 도전한다는 부담을 체감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두 사업 분야 중 스마트인사이드 AI의 미래 핵심 사업은 무엇일까? 하나에 올인했을 때 실패하면 여파는 감당할 수 있을까?


스마트인사이드 AI 신주호 부대표, 출처: IT동아



“2022년을 보내고, 시리즈A를 마무리한 뒤에는 저희도 결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언을 받아들인 부분도 있어요. 내부적으로 사업부를 보다 명확하게 나눴습니다. 외부 VC의 조언을 받아들이기도 했죠. 보수적인 투자 시장의 시선에 맞춰 정비했습니다. 결론은 조금 시간이 지난 뒤에 알려드릴 수 있을 듯 합니다.”

이어서 신 부대표는 투자 자금 활용처에 대해 “인력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스타트업은 인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스케일업 단계에서는 같이 이끌어갈 수 있는, 경험 많은 경력자를 원하지만, 아무래도 조건을 맞추기가 어렵죠. 그래도 열심히 찾아보고 노력하는 중입니다”라며, “특히, 건설 시장은 워낙 폐쇄적이라 사람을 구한다는 게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 지인 추천이나 주변 네트워크를 활용하게 되는데, 문이 좁죠. 이 자리에서 이런 말을 해도 좋을지 모르겠지만… 관심을 부탁드려요”라며 미소지었다.

스마트 인사이드의 현재 직원은 총 10명으로, 오는 2022년 1월 2명을 추가 채용할 예정이다. 채용 면접은 계속 진행 중이라고. 영상 AI 사업부는 대부분 딥러닝 엔지니어로 총 5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건설 IoT 사업부에는 제품을 각 현장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개발 인력이 근무 중이다. 신 부대표는 “기술과 제품 개발쪽 인력보다 영업을 담당해줄 수 있는 경력자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대부분 박 대표가 네트워크를 살려 영업을 전담하고 있는데, 함께할 수 있는 분이 있으면 좋겠네요”라고 조심스럽게 부탁했다.


교량에 활용한 매립형 EM센서 사례,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중대재해 없는 건설 현장을 꿈꿉니다


“이제는 안전, 그리고 관리에도 신경써야 하는 시대잖아요. 저희 스마트인사이드 AI가 만들어가고자 하는 미래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스마트인사이드 AI를 처음 소개하는 자리에서 박 대표가 전한 말이다. 회사 설립 이유이자 꿈꾸는 미래다. 2021년 12월 27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발표한 ‘2021 사례로 보는 중대재해예방 가이드’를 살펴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중대재해 사망자 수는 2,708명에 달한다. 2018년 971명에서 2019년 855명, 2020년 822명 등으로 감소 추세이긴 하지만, 올해도 800명 수준(11월말 기준 790명)이 예상되는 등 최근 줄어드는 폭이 주춤한 모습이다.


중대재해 사망사고 현황, 출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특히, 3년간 발생한 중대재해 사망사고 중 절반 이상은 건설업종에서 발생했다. 사고로 사망한 2708명 중 1371명(50.6%)은 건설업이었고, 다음으로 기타업종 713명(26.3%), 제조업 624명(23.0%) 등의 순이다. 건설 현장에서 여전히 떨어짐과 끼임·부딪힘 등 안전 부주의에 따른 사고가 대부분이다. 산술적으로 하루 평균 2명 이상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다.

신 부대표는 “건설 사고로 목숨을 잃는 일은 아직 우리 주변에 여전합니다.. 알려지지 않는 상해 사고는 더 많지요. 하지만, 모든 사람의 주목을 이끄는 대형 사고가 아니면, 뉴스에도 나오지 않습니다. 이대로 지켜볼 수많은 없잖아요”라며, “IoT 센서와 영상 AI 분석 기술을 활용하면, 대형 붕괴사고,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바라고 꿈꾸는 미래의 건설 현장이죠. 이제 시작입니다. 다행히 현장의 인식도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저희 스마트인사이드 AI가 만들어갈 건설 현장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라고 전했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투와이 "인테리어 B2B 시장에도 디지털 혁신 필요"▶ [DU 스타트업] 엔테로바이옴 “유산균 뛰어넘는 차세대 장내미생물 개발, 우리가 독보적”▶ [스타트업-ing] 예간아이티 박병재 대표 "사진만 있으면 3D 가상현실을 만듭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702 [리뷰] ‘왕의 귀환’ 외친 인텔, 노트북용 12세대 코어 i9-12900HK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398 3
701 세기의 빅딜 터뜨린 마이크로소프트, 전례없는 게임 공룡 탄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96 1
700 [IT운영관리] 1. 디지털전환 성공 키워드는?.. "철저한 분석", "IT 인프라 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05 1
699 소상공인 생존 필수 ‘스마트 상점’, 도입에 앞서 알아야 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95 1
698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하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89 0
697 [리뷰] 성능과 휴대성 모두 잡은 초경량 고효율 노트북, 레노버 요가 슬림 7 카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26 0
696 [먹거리+IT] 풍기농장 김보형 대표, “홍삼에 타겟을 담았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323 0
695 [앱으리띵] 피가 되고 살이 된다! 정보 콘텐츠 구독 서비스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125 0
694 [BIT 인사이트저널] 우리 일상으로 한발 더 들어온 '가상 인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85 0
693 보라웨어 “세계 최초 검색 광고 AI 성과 관리로 광고주 고민 해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78 0
692 와이어바알리 "엔드포인트 보안, PC이용의 모든 단계 '강력보안' 노트북이 완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98 0
691 2월 9일 등장할 삼성 갤럭시S22 시리즈, 눈여겨볼 점 세 가지는?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1648 3
690 [리뷰] 스마트홈 조명 간단히 꾸미기, 나이트버드와 고선드 IoT 제품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1281 2
689 LG 가전은 진화(UP)한다.. "UP가전으로 맞춤형 고객경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63 0
688 미디어텍의 Wi-Fi 7 청사진 ‘속도·안정성↑, 메타버스와 자율차 마중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46 0
687 마이크로소프트, 윈도11 기반 '서피스' 신제품 국내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32 0
686 [IT애정남] 8년 지난 '빅시아 미니'가 아직도 인기, 사도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846 0
685 단순 보존 넘어 해킹까지 대처하는 NAS 기반 데이터 백업 이모저모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2048 3
684 [주간투자동향] 로앤컴퍼니, 23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4 221 0
683 [리뷰] 6천만 화소로 그려낸 모든 순간, 라이카 M11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4 1277 1
682 [리뷰] 와이파이6와 PoE+ 지원하는 AX3600급 무선 AP, 넷기어 WAX2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99 0
681 '팩트체크넷'으로 등장한 시민팩트체커 , "팩트체크 제안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01 0
680 [IT강의실] 드디어 시작된 웹 3.0의 시대.."근데 웹 3.0이 뭐지?" [4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4957 1
679 네이버 '윈쁠딜', 올해 이커머스 시장 활약이 기대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27 0
678 [BIT 인사이트저널] 인공지능이 관리하는 내 자산, '로보 어드바이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42 0
677 잡플래닛 "맞춤형 채용 서비스·IPO 토대로 HR 플랫폼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96 0
676 성균관대 캠퍼스타운 김경환 단장, "인문·사회 창업에도 기회··· 작년 투자만 80억"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689 0
675 2021년 중급형 스마트폰 시장 이끈 갤럭시 A52s, 후속 모델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199 1
674 [리뷰] 깐깐한 실내 공기질을 원한다면, 다이슨 쿨 포름알데히드 공기청정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94 0
673 '디지털 혁신' 열쇠 쥔 RPA, IT 운영 관리 분야에도 도입 급물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80 0
672 [모빌리티 인사이트 ] CES2022에서 찾은 미래 모빌리티 키워드 : 전동화, 스마트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102 0
671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1: 펀더멘탈 분석이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640 0
670 [IT신상공개] 삼성전자, '그래픽 성능' 약점 극복한 엑시노스2200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89 0
669 디지포레 “시제품 검증, 시연까지 메타버스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90 0
668 [앱으리띵] 넘치는 OTT 서비스, 알뜰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OTT 5종 비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379 2
667 한국과 넷플릭스의 '전략적 파트너십', "K콘텐츠 노하우가 곧 경쟁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67 0
666 [리뷰] 화장실의 공기질도 잡는다, 이누스 에어 새니타이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72 0
665 애플·삼성 스마트폰 양강 구도, 부품 수급난 속에 2022년에도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96 0
664 삼성전자도 나섰다··· 2022년, 폴더블 노트북 원년 될까?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499 0
663 구글 안드로이드 13, 어떤 기능 개선·추가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157 1
662 [뉴스줌인] 칩 하나로 저장에서 연산까지, ‘인메모리 컴퓨팅’에서 성과 낸 삼성전자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255 14
661 [IT신상공개] 12세대 인텔 P 시리즈 출시된다, 델 XPS 13 플러스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106 2
660 [뉴스줌인] '즉석 사진기'처럼 아날로그 감성 채워줄 스마트폰 프린터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80 0
659 [주간투자동향] 그린랩스, 1,7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188 0
658 눈 피로 줄이는 ‘아이케어’ 모니터, 무슨 원리?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5474 4
657 오퍼스엠 “블록체인이 열 신뢰의 시대, 대들보 되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95 0
656 본격 보급 시작한 와이파이6E, 와이파이6와의 차이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69 0
655 [IT신상공개] 6천만 화소로 담아내는 순간, 라이카 M11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107 3
654 고객 중심 전략은 어떻게?..."창업 첫날처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49 0
653 [알쓸신IT] 통신 업계의 '라스트 마일' 혁신, FWA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