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8%가 넘는 고금리 적금 상품을 판매했다가 지점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거액 자금이 몰려 파산 위기에 처했다.
지난 5일 농협중앙회 등에 따르면 경북 경주에 위치한 동경주농협은 고금리 적금 가입자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몰려 파산 위기라고 전했다. 이에 동경주농협 측은 가입자에게 가입 해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건의 발달은 2022년 1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동경주농협은 비대면으로 연 8.2% 고금리 적금 상품을 판매했다. 해당 적금의 목표액은 100억원이었지만, 인터넷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100억을 훨씬 넘어선 9000억원이 몰렸다.
사진=동경주농협 홈페이지
동경주농협은 비대면 계좌 개설이 폭증하던 초기에 상품 판매를 중단해야 했지만, 적절한 시기를 놓치면서 전국에서 상품 가입자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자산 규모가 1670억원밖에 되지 않는 동경주농협은 1년 이자 비용으로만 수백억 원을 납부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이에 동경주농협은 적금 가입 바로 다음날인 2022년 12월부터 가입자들에게 해지를 호소해 왔다. 동경주농협 측은 "많은 분들께서 해지해 주셨으나, 여전히 우리 농협 지점이 감당하기 힘들 만큼 큰 금액이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비대면 특판 적금의 계약금은 약 2330억원으로 알려졌다. 당초 9000억원 가입액에 비해 25% 수준이지만, 동경주농협은 여전히 파산 위기에 놓여 있다. 현재 농협 측에서 부담해야 할 총이자는 348억원으로 파악됐다.
농협 파산 시 가장 피해 보는 건 '경주 농민들'
사진=동경주농협 홈페이지
동경주농협은 "지난해 결산 결과 다행히 적자는 면했다. 하지만 적금으로 인한 적금이자 지급액이 약 20억원 증가했다"라며 "매년 흑자가 5억~6억원인데 이러한 소규모 구조를 가진 지역농협이 감당하기에는 큰 금액"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도 매월 약 30억원이 불입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2월에는 55억원이 불입됐다. 올해 1년간 부담해야 할 지급 이자만 약 66억원으로 예상된다. 올해는 적자결산이 될 것"이라며 울상을 지었다.
이어 "불철주야로 전 임직원이 경비를 절감하고 대출 증대 등 업무에 매진했다. 하지만 금융 당국의 지속적인 금리 억제 정책과 더불어 부동산경기 불황, PF대출 부실화 등 대외적인 상황이 좋지 않다"라며 염치 불고하고 해지를 부탁했다.
마지막으로 동경주농협은 "2024년에는 적자 결산이 불 보듯 뻔하다. 존폐 갈림길에 섰다. 적금 계좌를 해지해 주시면 피해 보상금을 지급하겠다"라며 고개를 숙였다.
이에 한국 후계농업경영인 경주시연합회 문무대왕면지회에서도 동경주농협을 위해 나섰다. 관계자는 "농협이 파산한다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건 지역 농민 조합원들이다. 농협 직원들은 괘씸하겠지만, 농민과 지역 농업을 생각해서라도 파산하지 않도록 적금을 해지해달라"라고 덧붙였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