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전국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9.5%는 이직을 고려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이들의 비중은 높았다.
20대 응답자의 83.2%, 30대 응답자의 72.6%, 40대 응답자의 58.2%가 이직을 고려하고 있었다.
이직을 고려하는 사유로는 '금전 보상에 대한 불만족'(61.5%)이 가장 컸다.
그 외 '과도한 업무량'(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25.7%) 등 응답이 있었다. 이직 고려 사유는 복수 응답이 가능했다.
응답자 3명 중 2명은 이직 유경험자였다. 전체의 67.8%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현 직장이 첫 번째 직장이라는 응답은 32.2%에 불과했다.
연령별로 보면 '이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0대 79.8%, 30대 67%, 20대 49.6%로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 유경험자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직 유경험자의 이직 횟수는 평균 2.8회였다. 이직을 해본 이들 중 절반에 가까운 47.1%는 3회 이상 이직을 했다고 답했다.
이직 성공 요인으로는 '직무 관련 경력'이 56.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차별화된 직무 역량'(27.9%), '직무 관련 자격증'(7.3%), '인맥 관리'(5.8%) 순이었다.
응답자 절반은 이직을 '연봉 인상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직이 갖는 의미를 묻자 '연봉 인상 수단'이라는 응답이 49.5%로 가장 많았고, '개인적 성장 기회'(31.8%), '역량 검증 수단'(12.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 유경험자의 68.5%는 직전 직장보다 높은 연봉으로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전 연봉과 비교했을 때 '1∼10% 상승'은 33.8%, '11∼30% 상승'은 27%, '30% 초과 상승'은 7.7%로 집계됐다.
직전 직장과 연봉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졌다는 응답은 31.5%였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이직을 계획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점차 옅어져 가는 상황"이라며 "이직의 가장 큰 동기가 금전적 보상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된 만큼 기업은 우수 인재 이탈 방지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 공정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