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에서 수석 부총재를 역임했던 앤 크루거 스탠퍼드대 석좌교수가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날 27일 신한은행은 세계경제연구원과 함께 서울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해당 컨퍼런스에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에서 부총재를 지냈던 앤 크루거 스탠퍼드대 석좌교수가 모습을 드러내 이목을 집중시켰다.
크루거 교수는 "미국이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수도 있다"라는 충격적인 진단을 내렸다.
그는 "현재 미국은 금리 인하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다 노동시장도 완전고용 수준이다"라고 근거를 나열했다. 이에 따라 연준에서는 급하게 금리를 인하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시장 흐름을 보여 인하 시점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MBC뉴스
이어 "연준은 단기간 내 금리를 인상하진 않을 거다. 동시에 금리 인하 여부도 결정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아직 해소가 안 됐다. 노동시장도 물가 상승폭보다 임금 상승폭이 더 큰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크루거 교수는 "올해 연준에서 금리를 인하하지 않더라도 결코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라며 "이와 같은 연준의 결정에 전 세계 모든 중앙은행이 무조건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나라마다 현재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미국을 따라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는 조언이었다. 크루거 교수는 "어떠한 결정을 연준이 내리더라도 그 결정 배경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전 세계 거시경제 상황과 현재 자국 상황에 맞는 결정을 현명하게 내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국, 중국 시장말고 제3시장 찾아봐야
사진=MBC뉴스
그러면서 한국의 상황에 대해서는 "한국은행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미국과는 완전히 다른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 한은은 경상수지, 무역수지를 중점으로 에너지가격 등 지표도 봐야한다"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원화 약세에 대해서는 "원화 자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원화 약세는 향후 중국의 무역과 관련한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진단 내리며 "한국은 중국과의 무역 규모가 워낙 크다. 따라서 미·중관계가 악화하면 무역 측면에서 한국이 영향을 받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라고 전했다.
결국 원화 약세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한국이 제3시장을 찾는 등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히며 "지금으로선 인플레이션, 거시경제 문제를 보면서 대응해야 할 거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높게 유지되는데 한은은 이에 적절히 대응법을 찾아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크루거 교수는 "내년까지 미국 경제는 2.5% 안팎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아직 초과 수요 현상과 방대한 재정적자 문제가 불확실하지만, 전반적으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