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컴퓨터 본체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컴퓨터 본체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벤츠 안가고 비엠사는 이유 ㄹㅇㅍㅌㅋㅋㅋ ㅇㅇ
- 로또에서 지옥으로 변했다, 입주자도 없는데 계속 지어.jpg ㅇㅇ
- 보육원에 자주 가는 송소희 ㅇㅇ
- 국민연금 月 500만원 넘게 받는 '부부 수급자' 처음 나왔다.jpg ㅇㅇ
- 팔굽혀펴기 FM으로 했다가 여초에서 융단폭격 맞았던 유튜버 ㅇㅇ
- 창원시설공단 책임 떠넘기기 들통 엔갤러
- 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jpg 화난송은이
- 사람들이 잘 모르는 버튜버 시청연령대 ㅇㅇ
- 38살에 3천 모았다는 블라녀 관심종자
- 안성재의 캠핑 바베큐 이븐하게 굽는 꿀팁 ㅇㅇ
- 김수현 vs 가세연 싸움에 멱살 잡힌 차은우 ㅇㅇ
- 승리, '패배' 조롱에 심경 토로 "날 욕하는게 재미있나" ㅇㅇ
- 네이버 라인 영상 올렸다가 저작권협회에서 연락받은 유튜버 ㅇㅇ
- 싱글벙글 존중심을 얻는 방법.jpg ㅇㅇ
- 블라) 85년생 인기 있는 와인녀 관심종자
와들와들 IMF를 거쳐 해체당한 재벌과 현재 남은 그들의 유산
1. 쌍용그룹 - 창업주 김성곤지주회사 (주)쌍용 : GS그룹에 최종적으로 인수되어 현재의 GS글로벌쌍용양회 : 현재 쌍용C&E국민레미콘 : 탁재훈의 부친 배조웅 씨가 인수쌍용건설 : 캠코 → 두바이 투자청 → 글로벌세아그룹 순 인수쌍용자동차 : 대우자동차 → 상해기차 → 마힌드라 → KG그룹 순 인수, 현재 KG모빌리티로 사명 변경쌍용정유 : 2대주주 S-Oil이 인수쌍용중공업 : 사원 출신 강덕수에게 인수되어 STX가 됐으나 이 또한 해체쌍용투자증권 : 최종적으로 신한금융지주에 인수돠어 현재의 신한투자증권2. 진로그룹 - 창업주 장학엽진로 : 2003년 법정관리를 거쳐 2005년 하이트맥주에 매각진로종합식품 1) 식품사업부문 : 펭귄종합식품으로 분사 2) 유제품사업부문 : 빙그레에 매각JR종합건설 : 구 진로건설 토목/건축 부문. 하이트맥주와 대우조선해양을 거쳐(이때 대우조선해양건설로 사명 변경) 한국테크놀로지(고양 데이원 사태의 주범)로 넘어감청주 진로 맥카스 : 1997년 창단 예정이던 그룹 산하 농구단이였으나 그룹의 위기로 SK그룹에 매각(현 서울 SK 나이츠)3. 동아그룹 - 창업주 최준문동아건설산업 : 프라임개발을 거쳐 SM그룹이 인수(현 SM동아건설산업)대한통운 : 금호그룹을 거쳐 CJ그룹으로 넘어감(현 CJ대한통운)동아증권 : 세종기술투자를 거쳐 농협에 인수되어 현재의 NH투자증권이 됨동아생명 : 2000년 금호생명에 인수대전프로축구단 : 대전시티즌을 운영하다 계롱산업을 거쳐 2006년 시민구단으로 전환 → 최종적으로 하나금융지주에 인수되어 현재의 대전 하나 시티즌3. 신동아그룹 - 창업주 최성모대한생명 : 한화에 인수되어 현재의 한화생명(사옥도 같이 인수되었는데 사옥이 63빌딩)신동아화재 : 대한생명과 같이 인수되어 현 한화손해보험신동아건설 : 원래는 89년도에 원칙상으로는 계열분리되었으나 사실상의 계열사로 운영되어오다 2001년 일해토건으로 넘어감한일약품 : 최종적으로 CJ에 매각, 이후 합병4. 기아그룹 - 창업주 김철호기아그룹은 특이하게 창업주 사후 2세 경영인들이 비대해진 기아그룹 경영에 부담을 느끼고 삼천리자전거만 따로 계열분리해 그 쪽의 경영을 맡음 → 기아는 자연스레 오너가 없는 재벌이 되었음기아자동차 : 현대그룹으로 매각되어 이후 현대자동차그룹으로 계열분리. 현재의 기아기아중공업 : 현대그룹으로 매각 후 계열분리되어 '위아'가 되었으나 곧바로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기아기연 : 대림공업에 인수합병기아전자 :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 후 현대오토넷에 합병5. 해태그룹 - 창업주 박병규, 민후식, 신덕발, 한달성해태제과식품 : 제과사업본부를 따로 2005년 크라운에서 인수, 이후 아이스크림 부문만 따로 분사해 빙그레에 매각해태음료 : 최종적으로 2010년 LG생활건강에 인수되어 해태htb로 사명 변경, 자회사로 코카콜라음료(주) 보유해태산업 : 국순당에 매각되어 합병해태전자 : 2006년 풍안방직 컨소시엄으로 넘어가 현재의 inkel해태타이거즈 : 2001년 기아에 매각6. 한보그룹 - 창업주 정태수(주)한보 1) 주택사업부문 : 2002년 한보건설로 분사 후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다 최종적으로 2010년 LIG건설에 합병 2) 부산제강소 : 2002년 일본 야마토공업에 매각되었다가 2020년 대한제강으로 다시 매각한보건설 : 한보 주택사업부문과 별개. 최종적으로 호반건설에 매각되어 호반건설산업과 합병한보철강공업 : 최종적으로 현대제철 당진공장이 되어 명맥을 잇고있음상아제약 : GC녹십자에 인수되어 녹십자와 합병한보상호신용금고 : 제일화재를 거쳐 한화그룹에 인수 후 한화저축은행으로 사명 변경대동조선 : STX에 매각되어 STX조선해양으로 사명 변경7. 대우그룹 - 창업주 김우중지주회사 (주)대우 1) 무역부문 : 대우인터내셔널로 분사되어 캠코 → 포스코 순으로 인수되어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 2) 건설부문 : 대우건설로 분사되어 금호아시아나 그룹에 인수되었다가 우여곡절을 겪은 후 현재 중흥그룹에 인수되어 산하 계열사가 됨 3) 섬유사업부문 : 대우인터내셔널로 분사되었다가 이후 다시 분사되어 박연차(노무현과 연관된 그 박연차 맞음)의 TKG태광그룹에 인수되어 현재의 TKG에코머티리얼 4) 극장사업부문(영상사업본부) : 대우시네마네트워크와 메가플렉스로 분사 후 동양그룹에 인수, 이후 동양-오리온 분사 과정에서 오리온으로 넘어갔다가 시네마네트워크는 CJ로, 메가플렉스는 중앙그룹에 인수되어 각각 OCN과 메가박스가 됨 5) 물류부문 : 대우로지스틱스로 분사되어 현재까지 존속 중대우증권 : 산업은행에 넘어갔다가 2015년에 미래에셋금융지주로 넘어가 미래에셋증권을 역인수, 미래에셋대우가 되었다가 다시 미래에셋증권으로 사명 변경대우자동차 1) 자동차사업부문 : GM에 매각되어 GM대우가 되었다가 현재의 한국GM이 출범됨 2) 트럭사업부문 : 인도 타타자동차에서 인수해 현재의 타타대우상용차 3) 버스사업부문 : 대우버스로 분사 후 영안모자에 매각되어 자일대우버스로 사명 변경 후 2022년 폐업대우자동차판매 건설부문 : 중국 신흥사업개발유한공사에 매각대우중공업 1) 기계부문 : 두산그룹에서 인수해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했으나 2016년에 공작기계 부문을 사모펀드에 매각, 이후 본체는 HD현대에 매각 2) 조선해양부문 : 2000년 대우조선해양으로 분사 후 산업은행 산하에 있다가 2022년 한화에서 인수(현 한화오션) 3) 항공사업부문 : 1999년 한국항공우주산업으로 양도 4) 철도차량사업부문 : 한국철도차량으로 양도 후 현재의 현대로템다이너스클럽코리아 : 2001년에 현대자동차그룹에 매각이외에도 대농, 거평, 극동 등등 많지만 네임드 정도만
작성자 : 싱글벙글참치캔고정닉
빈자의 조기경보기 이야기: 아드난과 바그다드
[시리즈] 조기경보기 · 빈자의 조기경보기 이야기: 이라크 · 빈자의 조기경보기 이야기: 소련 비록 미국과 소련 양쪽에서 외면받은 이라크였지만, 그들의 든든한 구원투수인 프랑스가 있었다. 프랑스는 이라크의 오랜 상업적 파트너였으며, 1924년부터 이라크 석유공사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970년대에 이라크는 프랑스 석유의 24%를 공급했고, 프랑스는 이라크에 무언가를 수출하고 싶어했다. 이라크의 관점에서 볼 때, 동유럽 국가들처럼 소련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서방세계의 물주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프랑스와 이라크의 대(對)중동정책은 달랐다. 하지만 이라크의 집권세력이었던 바트당의 이념은 근본적으로 반공주의 성향을 띄었고, 이라크와 소련은 동맹국이었으나 항상 공통적인 정치/외교적 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프랑스는 이라크에 점차 무기를 팔아재끼기 시작한다. 이라크는 1977년에 프랑스로부터 133대의 미라지-F1을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프랑스는 미라지-F1의 갭 필러용으로 자국의 쉬페르-에탕다르 함상공격기를 은쾌히 임대해줬다. 잘만 맞추면 구축함도 보내버리는 165kg짜리 고폭-파편탄두를 탑재한 AM-39 엑조세 대함미사일 1발을 장착하고 마하 1.3으로 비행이 가능한 이 경공격기는 이라크가 이란의 유조선들을 사냥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이후 프랑스에서 교육받은 조종사들과 함께 이라크에 도착한 미라지들은 이라크 공군의 기대를 결코 저버리지 않았다. 투박한 동구권 전투기들과는 다르게 유려한 동체와 프랑스인의 미적감각을 한껏 발휘한 기체형상은 최대출력이 16,000파운드에 육박하는 스네크마 Atar 9K-50 터보젯의 추력과 맞물려 15톤에 달하는 기체를 마하 2.2까지 가속시켰고, 장착된 SUPER 530F 미사일은 잘만 조준한다면 이란 공군의 F-14도 격추를 노려볼 수 있었다. 이라크가 운용하던 소련제 전투기들에 달린 RWR은 F-14의 AWG-9가 쏘는 전파를 잘 탐지하지 못했기에 당시 이라크 공군의 Mig-21/23으로는 F-14한테 흠집조차 낼 수 없었는데, 이라크 공군은 미라지를 도입한 이후 궁여지책이긴 했지만 Mig-23이나 Mig-21같은 기체들을 띄워놓고 이란군의 F-14가 미그기들을 피닉스로 사냥하는 동안 미리 저공에서 대기하고 있던 미라지-F1 편대들이 F-14의 후방에다 미사일을 쏴버리는 전술로 꽤나 많은 톰캣들을 격추했다.이라크 공군은 Mig-29나 Mig-25같은 걸출한 성능의 소련제 전투기들이 도입된 이후에도 미라지-F1을 계속해서 주력기로 써먹었고, 제일 우수한 조종사들만 골라 미라지에 태웠을 정도로 기체를 신뢰했다. 이라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당시 최신예 전투기였던 미라지-2000 60여대를 구매하려고 협상 중이었을 정도로 프랑스 무기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는데, 이것 말고도 이라크가 사들인 프랑스제 무기로는 85대의 AU-F1 자주포와 100여대의 AMX-30 전차 30대의 크로탈, 60대의 롤랜드 지대공미사일을 포함하여 400발 이상의 AM-39 엑조세 대함미사일과 AS-20 공대지유도폭탄 200개 등이 있다. 애초에 이란-이라크전 당시 제 2의 무기수출국이 다름아닌 프랑스였으니 뭐.... 하지만 이라크군이 도입했던 프랑스제 무기들 중에서 제일 인상적인 무기체계는 따로 있었으니.... 바로 프랑스의 톰슨-CSF가 개발한 TRS-2105 '타이거-G' 대공탐지레이더였다. 단거리 방공 지원에 특화되어 111km의 탐지거리를 가지는 '타이거-S'(S-밴드 사용)에서 파생된 타이거-G 레이더는 탐지거리 70km 정도로 꽤나 준수한 성능이었고, 대함 미사일 유도에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었다. 이라크군은 이 레이더의 성능에 꽤나 만족했는지 자국에 녹다운 생산시설을 세워버리고 1991년까지 40기 이상의 TRS-2100/2105 레이더를 생산했다. 여기에 더해 이라크는 수많은 Il-76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1980년 기준으로 12기의 Il-76이 이라크에 있었고, 1988년이 되면 40+기의 Il-76이 이라크에서 운용중이었다. 이들은 이란-이라크전 기간 동안 외국에서 귀중한 무기부품들을 이라크로 수입하거나 밀수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전쟁이 끝나버리면서 딱히 써먹을데가 없어진 기종들이었다. 이라크군은 이 프랑스제 레이더를 남아도는 Il-76에다가 얹어서 조기경보기를 만들어보자는 정신나간 생각을 하고 말았고, 그 결과로 만들어진 물건이 바로 이라크 최초의 조기경보기, '바그다드-1'이었다. Il-76 수송기의 후미 램프도어 위치에 유리섬유 소재로 만들어진 레이돔을 설치하고 톰슨-CSF의 타이거-G 레이더를 거꾸로 매달아 집어넣은 후 록웰-콜린스사의 IFF 장비와 마르코니의 전자장비 시스템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이 프랑켄슈타인 조기경보기는 위장을 위해 이라크 항공의 표준 도장으로 도색되었고, 사명와 등록 로고는 페인트로 칠해졌다. 레이더 오퍼레이터용 콘솔 4대가 화물칸에 설치되어 이라크 엔지니어들의 뇌피셜로는 한번 레이더 빔을 조사할때마다 180도 가량의 범위에서 최대 350km 거리에 있는 표적을 탐지, 식별, 추적할 수 있었다. 바그다드-1은 실제로 1988년 말에 작전에 투입되었지만, 그 효과성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사실, 보고가 있는게 더 이상한 수준이었다. 바그다드-1은 성능적으로 딱히 뛰어나지 않았다 당시 이라크 항공기술력과 자금의 한계로 인해 꼬리 부분에 장착된 레이더는 항공기 뒤쪽과 측면, 매우 제한된 구역만을 모니터링할 뿐이었고, 지면의 클리터를 걸러내는 능력이 부족했다. 애초에 지상에서 쓰이던 타이거-G 레이더의 탐지범위가 100km 미만이었고, 바그다드-1에 장착된 타이거-G의 경우 별도의 개조를 통해 120km의 탐지범위를 가졌다지만... 소련의 A-50에 장착된 레이더가 저고도 비행하는 전투기 사이즈의 표적을 250km 밖에서 탐지할 수 있었고, 고고도에 있는 대형 표적의 경우에는 600km 밖에서도 탐지가 가능했던것을 생각해본다면 이건 뭐.... 게다가 데이터링크 장비도 부실했다. 10개의 VHF 통신 채널과 2개의 HF 통신 채널을 통해 전투기나 지상관제소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었지만, 레이더 이미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장비가 바그다드-1에는 없었고, 오로지 라디오를 통해서만 상호간에 교신이 이루어졌기에 효과적인 작전은 어려웠다. 거기다가 별도의 차폐막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승무원을 레이더에서 나오는 고주파 방사선과 강력한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단이 전무하다는 것도 문제였다. 아무리 이라크군이 개병신 유사군대였다고는 하지만... 이런 산업폐기물급 물건을 쓸 생각은 추호도 없었다. 바그다드-1에 설치된 레이더의 위치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은 이라크군은 A-50이나 E-3같은 조기경보기처럼 동체 상부에 유리섬유 로토돔을 장착한 '아드난' 조기경보기를 새로 개발했다. 참고로 원래 이 조기경보기의 이름은 '바그다드-2' 였으나, 1988년 5월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한 당시 이라크의 국방부 장관 Adnan Khajrallah Talfah를 기리기 위해 아드난-1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아드난의 생김새는 A-50과 너무나도 비슷했지만, (레이돔 지름까지 A-50과 별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 이 항공기에도 바그다드-1에 사용된 타이거-G 레이더가 장착되어 있었고, A-50과는 다르게 레이돔이 훨씬 높았다. 또한, 로토돔을 장착함으로써 생기는 불안정한 난기류를 억제하기 위해 중국판 A-50인 KJ-2000이나 E-7처럼 동체 후측면에 2개의 길고 편평한 사다리꼴 모양의 스트레이크가 장착되었다. 장착된 TRS-2105(타이거-G) 레이더는 조기경보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특수한 개조를 받았고, 이라크 공군의 Tu-22 폭격기에 설치되었던 RWR과 ECM 장비들까지 탈거해 장착했다. 바그다드-1처럼 아드난-1/2에도 록웰-콜린스사의 IFF 장비와 마르코니의 전자장비 시스템이 내부에 장착되었고, 톰슨-CSF가 시스템 통합을 담당했다. 소련이 전반적인 설계에 도움을 주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Tu-22의 전자전 시스템을 아드난에다 이식하는데 최소한의 도움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완성된 아드난 AWACS는 도저히 못써먹을 물건이었던 바그다드-1과 비교한다면 상당히 발전된 성능을 보여줬고, 실전에서 써먹을만한 조기경보기로 평가받았다. 일단 탐지거리가 아무리 잘쳐줘봐야 120km에 불과했던 바그다드-1과는 달리, MiG-21 사이즈의 표적에 대해 최대 200km 밖에서도 탐지가 가능했고, 여러가지 조건이 맞아떨어진다면 장착된 타이거-G 레이더는 350km 밖에서도 RCS(레이더 반사면적)가 2m²인 항공기를 탐지할 수 있었다. 이게 어느정도인지 체감이 잘 안된다면 1997년에 출시되어 태국과 스웨덴 등지에서 운용중인 사브-340 AEW&C랑 비슷한 성능으로, 얘가 PS-890 AESA 레이더를 장착하여 20,000피트(약 6,100m)의 고도에서 300~400km 거리의 비행기를 포착할 수 있었다. 심지어 사브-340은 항공기 앞뒤로 레이더가 탐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있어 240º의 탐지각만을 가졌던걸 생각한다면 아드난-1이 어느정도 우위인 부분도 있었기에 E-3만큼은 아니더라도 꽤나 쓸만한 녀석이었던 셈 그러나 이건 하드스팩만 비교했을때의 이야기였고, 장비 구성과 레이더 성능 측면에서 아드난-1/2는 타국의 조기경보기에 비해 상당히 열등했다. 일단 타이거-G 레이더의 발열량이 엄청나서 비행 중에 탐지거리를 늘리기 위해 최대 출력으로 레이더를 작동하면 레이돔 내부 온도가 엄청나게 올라가 내부에 설치된 전자장비들이 녹아내리기 시작했고, 이는 레이더의 전반적인 신뢰성에 꽤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뭐 E-3이나 A-50은 에어컨이라도 있었지만, 그것조차 없는 Il-76의 화물칸에 탑승해 레이더를 조작하는 이라크 공군의 레이더 오퍼레이터들은 진짜 죽을 맛이었다. 이라크 기술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레이돔에 공기 순환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내에 에어컨과 에어덕트를 추가로 장착했지만 레이더를 최대출력으로 작동시키면 기체 내부가 찜통으로 변하는건 여전했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라크는 일단 쓸만한 조기경보기가 자신들의 손에 들어왔다는 사실에 만족하기로 했으며, 이따끔씩 자국에 머물고 있던 외교관들에게 이 신무기를 자랑하기도 했다. 아드난의 성능에 매우 만족한 사담 후세인은 5대의 조기경보기를 추가로 제작할 것을 명령했지만, 8년간의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황폐해진 이라크는 더 이상 그런 비싼 무기를 만들 수 없었기에 1991년에 걸프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완벽한 실패작으로 끝난 바그다드-1 1기와 아드난 AWACS 3기를 확보하는데 만족해야만 했다. 그리고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발발한 걸프전에서 쿠웨이트 침공 초기에 항공관제를 담당했던것 빼고 이들은 그 어떠한 활약도 하지 못했다. 냉전기가 막 끝나고 넘치는 힘을 주체하지 못한 미국이 이라크를 작정하고 줘패기 시작하자, 다들 알다시피 이라크군은 미군에게 전쟁 시작부터 끝까지 숨도 못쉬고 쳐맞는다. 이라크의 조기경보기들은 성능이 좀 메롱하긴해도 일단 전략자산이긴 해서 미군의 주요한 표적으로 지정되었기에 1991년 1월 23일, 사막의 폭풍 작전 6일만에 바그다드로부터 서쪽으로 74km 떨어진 알-타카둠 공군기지에 배치되어 있던 아드난-2 1기가 연합군의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되었고, 나머지는 파괴를 피해 이란으로 향했다. 이렇게 이란으로 대피한 이라크 공군 항공기들은 아드난-1 말고도 꽤나 많았는데, -미라지-F1EQ 24기 -Su-20/22계열 33기 -Su-24 36기 -Su-25 7기 -Mig-23 12기 -Mig-29 4기 -Il-76 15기로, 거진 이라크 공군 전력의 30%가 이란으로 도피했다.당시 이라크와의 협상대로라면 걸프전 종전 후에 이들을 다시 이라크로 반환해주기로 했는데, 이란은 이 항공기들이 이란-이라크 전쟁의 배상금이라는 해괴한 논리를 펼치며 그대로 꿀꺽한다.... 이중 바그다드-1은 이란이 봐도 폐기물 수준이라 지금도 테헤란의 메흐라바드 공항에서 방치되는 중이고 아드난-1/3의 경우 좀 쓸만하다고 판단했는지 3기중 1기만을 러시아 기술자들에게 개조를 의뢰하고 2기는 부품용으로 창고에다 쳐박았다. 친절한 러시아인들은 이란 공군을 위해 베리에프 A-50을 참고하여 레이더도 러시아제로 교체하고 러시아제 전자전 시스템을 장착해줬고, 'Simorgh'라고 불린 이 이란-이라크제 조기경보기는 꽤나 쓸만했다고 한다. 이후 이 AWACS는 이란 공군의 유일한 조기경보기로써 간간히 비행을 이어나가다가 2009년 9월 22일에 열린 이란군의 군사퍼레이드에서 비행 중 원인불명의 사고로 파괴된다. 호위기로 같이 비행하던 F-5와 충돌했나거나, 레이돔이 피로파괴로 인해 떨어져 나가 수직미익을 날려버려서 추락했다는 등의 설이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확인된건 없다. 결국 이라크의 조기경보기들은 어떠한 활약도 하지 못하고 다국적군의 레이저 유도폭탄에 터져나가거나 땅에 쳐박히거나...창고에서 썩어가는 운명을 맞았다. 제공권을 장악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조기경보기는 상대방에겐 그저 좋은 표적에 불과했다. 다음 이야기 '장군님께서 보아주신 조기경보기'
작성자 : 우희힝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