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니들이 걱정해야 하는건 3차세계대전

ㅇㅇ(121.88) 2021.04.14 18:12:09
조회 87 추천 0 댓글 1

우크라이나, 대만… 러시아, 중국에 대한 미국의 두 갈래 침략

Ukraine, Taiwan… Two-Prong U.S. Aggression Toward Russia, China
By Strategic Culture Foundation
Apr 11, 2021 - 3:38:46 AM

https://www.strategic-culture.org/news/2021/04/10/ukraine-taiwan-two-prong-us-aggression-toward-russia-china/

바이든 행정부가 러시아 및 중국과 위험한 긴장을 일으키고 있는 방식과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앞잡이 전초 국가 proxy는 각각 우크라이나와 대만입니다.

미국은 러시아와 중국이 동맹국을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을 인용하여 미국이 도발적인 행동을 강화할 구실을 제공합니다. 통제불능 상태로 핵 보유국 간의 전면전으로 이어질 심각한 위험에 처한 악순환입니다.

 

There is a close parallel in the way the Biden administration is riling up dangerous tensions with Russia and China. The proxy in both cases are the Ukraine and Taiwan, respectively.

Washington is citing claims that Russia and China are threatening its allies which, in turn, provides a pretext for the United States to step up its own provocative actions. It's a vicious cycle that is at grave risk of spinning out of control into an all-out war between nuclear powers.

 

제 46 대 미국 대통령 취임 후 불과 3 개월 만에 조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무모한 교전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정치역학은 바이든 Biden이 1 월 20 일에 취임하기 전에 여러 논평과 인터뷰에서 전략문화 재단 Strategic Culture Foundation에 의해 예측되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이러한 체계적인 적대감은 이전 트럼프 백악관과 그 이전에 바이든 Biden이 부통령을 역임했던 오바마 행정부를 포함한 여러 과거 행정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제 대통령으로서 바이든은 더욱 열정적으로 지속적인 침략 정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변함없는 호전성의 방향은 미국 정치의 본질을 증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통령은 왔다가 가고, 선거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권력과 정책 결정은 특정 정당에 대한 충성심이 아니라 미국의 추정되는 세계적 지위와 특권에 관한 제국 목표를 증진하는 깊은국가 계획가들과 함께 합니다.

 

In just three months after his inauguration as the 46th U.S. president, Joe Biden's administration has embarked on a reckless course of belligerence toward Russia and China. This dynamic was predicted by Strategic Culture Foundation in several of our commentaries and interviews before Biden was inaugurated on January 20.

However, this systematic hostility from the United States has been underway from several past administrations, including the previous Trump White House and before that the Obama administrations in which Biden served as vice president. Now as president, Biden is taking up a continuous policy of aggression with even more gusto. This invariable direction of belligerence tends to prove the real nature of U.S. politics. Presidents come and go, elections take place periodically, but the power and policymaking resides with deep state planners whose loyalty is not to any particular party but rather to the furtherance of imperial objectives regarding America's presumed global position and privileges.

 

현 대통령과 그의 최고 보좌관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특정 문체 이미지를 근본적인 무력의 행사로 가져옵니다. 바이든 팀은 역경의 수사를 날카롭게 했으며, 모스크바와 중국을 "실존적 위협"으로 반복적으로 표시했습니다. 유럽과의 북방 송유관 Nord Stream 2 프로젝트에 대해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실질적인 적대 행위가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신장의 위구르족 인구에 대한 "학살"이라는 근거없는 주장을 제기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냉소적인 속임수나 현실 세계에 대한 자체인지 부조화를 통해 현실을 현실로 바꾸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깊은국가 계획가에게는 전자이고 정치계 꼭두각시 인사들에게는 후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The current president and his top aides, like before, bring a certain stylistic image to the underlying thrust of power. Team Biden have sharpened the rhetoric of adversity, repeatedly labelling Moscow and China as "existential threats". Practical acts of hostility have followed, including imposing sanctions on Russia over its Nord Stream 2 gas project with Europe; and on China over baseless claims of "genocide" against its Uyghur ethnic population in Xinjiang.

The Biden administration is turning reality on its head, either through cynical deception or from its own cognitive dissonance regarding the real world. (Most certainly the former for the deep state planners, maybe the latter for the politician puppets.)

 

그것은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군대를 구축함으로써 러시아를 침략했다고 비난합니다. 키예프의 미국 지원 정권이 우크라이나 동부의 불안정한 휴전을 연속적으로 위반하고 민간인 센터를 포격하고 인도주의적 위기를 확대하는 동안입니다. 러시아는 국경 내에서 군사력을 배치할 모든 권리가 있습니다. 모스크바는 다른 나라에 위협이 된다는 주장을 거부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주 크렘린은 동부 우크라이나 (돈바스)의 악화된 안보 상황으로 인해 범죄적 공격에 직면한 러시아 민족을 방어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공격은 미국과 NATO 군사 동맹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있는 키예프 정권에 의해 수행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만 바이든 Biden 행정부는 우크라이나에 1 억 2,500 만 달러의 치명적인 무기를 추가로 공개했습니다. 이는 키예프 정권이 2015 년 민스크 평화 협정을 거부하고 이미 7 년 동안 벌어진 전쟁에서 13,000 명 이상의 사망자를 초래한 더 많은 갈등을 촉구하는 진격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전쟁은 미국, EU, NATO가 2014 년 2 월 키예프에서 쿠데타를 지원하여 나치 독일과 역사적으로 연계된 반 러시아 정권을 강화한 후 시작되었습니다.)

 

It accuses Russia of aggression by building up military forces on the border with Ukraine. This is while the U.S.-backed regime in Kiev has been serially violating a shaky ceasefire in Eastern Ukraine, shelling civilian centers and escalating a humanitarian crisis. Russia has every right to deploy military forces wherever it deems within its borders. Moscow has rejected claims that it is posing a threat to any other country. Nonetheless, this week the Kremlin said the deteriorating security conditions in Eastern Ukraine (the Donbass) may oblige it to defend ethnic Russians facing a criminal offensive. That offensive is being waged by the Kiev regime which has the full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NATO military alliance. Only last month, the Biden administration released a further $125 million in lethal weaponry to the Ukraine. That can be seen as a green light for the regime in Kiev to reject the 2015 Minsk peace accord and to push for more conflict in what has already been a seven-year war, causing more than 13,000 deaths. (The war was instigated after the U.S., EU and NATO backed a coup d'état in Kiev in February 2014 which brought to power an anti-Russian regime with historic links to Nazi Germany.)

 

그러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관점에서 워싱턴, 유럽 연합 및 나토는 러시아에 의해 공격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중국과 대만에 관해서 : 바이든 Biden은 이전 트럼프와 오바마 행정부에서 중국 영토 근처의 군사 증강에 대해 동일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바이든이 취임한 이래로 네 번째 미국 유도 미사일 구축함이 대만 해협을 통과했습니다. 그 좁은 바다는 분리된 섬과 중국 본토를 분리합니다. 중국은 소위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최근까지 미국을 포함한 대다수 국가에서 인정하는 대만에 대한 영토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든은 그의 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와 마찬가지로 공식 방문시 대표단을 섬에 파견하고 무기 판매를 늘리며 미국이 중국군에 의한 "침략 전쟁"시 대만을 "방어할"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함으로써 의도적으로 하나의 중국 One China 정책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Yet in the Alice-in-Wonderland view of Washington, as well as the European Union and NATO, the aggression is being instigated by Russia.

As for China and Taiwan: Biden is advancing the same policy under the previous Trump and Obama administrations of military buildup near China's territory. This week saw the fourth U.S. guided-missile destroyer passing through the Taiwan Strait since Biden took office. That narrow sea separates the breakaway island from China's mainland. Beijing has sovereign territorial claim to Taiwan which is recognized by the vast majority of nations, including up until recently the United States under its so-called "One China" policy. Biden, like his predecessor Donald Trump, is deliberately eroding the One China policy by sending delegates to the island on official visits, increasing weapons sales and most provocatively making public declarations that the U.S. will "defend" Taiwan in the event of "an invasion" by Chinese forces.

 

우크라이나와 마찬가지로 바이든 Biden 행정부의 수사와 행동은 대만 지도자들의 더욱 도발적인 입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고위 관리는 섬의 군대가 영토에 접근하는 중국 항공기를 격추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것은 중국의 영토 보전과 주권에 대한 명백한 도전일 뿐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만과 중국 간의 긴장을 불 태우는 것은 워싱턴의 말과 행동입니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다른 사람들을 "공격"이라고 비난하고 "방어"를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Similar to the Ukraine, the Biden administration's rhetoric and conduct is serving to fuel an ever-more provocative stance by the Taiwanese leaders. This week, a senior official warned that the island's forces would shoot down Chinese aircraft that approach the territory. This is nothing but a flagrant challenge to China's territorial integrity and sovereignty. As in the case of the Ukraine and Russia, it is Washington's words and actions that are inflaming the tensions between Taiwan and China. Yet the Americans accuse others of "aggression" and claim to be providing "defense".

 

이 모든 것에 대한 더 큰 그림은 물론 워싱턴이 제로섬 도전으로 보는 지정학적 거대한 게임입니다. 워싱턴의 전략가들은 글로벌 권력과 지배를 위한 미국의 야망을 추구하는 미국의 명령이 러시아와 중국의 부상과 다극적인 세계 질서를 막는 것임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파트너십, 상호 존중, 그리고 무엇보다도 국제법 준수를 바탕으로 국가 간의 평화적 공존을 거듭 요구해 왔습니다. 요컨대 유엔 헌장의 표명입니다.

 

The bigger picture for all of this is, of course, the geopolitical great game which Washington sees as a zero-sum challenge. Strategists in Washington have made it abundantly clear that the American imperative for pursuing its ambitions for global power and dominance is to prevent the rise of Russia and China and a multipolar world order. Moscow and Beijing have repeatedly called for a peaceful coexistence among nations based on partnership, mutual respect and above all adherence to international law. In short, the manifestation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그러한 다극 평등의 세계는 미국과 단극 지배에 대한 제국주의적 추구에 대한 혐오입니다. 후자의 구성은 달러를 세계의 준비 통화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미국 경제를 지원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역사적 이유로 미국 자본주의는 성장을 위한 세계의 엔진으로서의 이전의 강력한 기량에서 약해지고 있습니다. 사회 발전을 지향하는 공적 소유와 사적 소유의 혼합을 기반으로 한 사회주의 계획 경제의 대안 모델을 제공하는 중국과 유라시아로 조류가 이동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성공한 반면 수백만 명의 미국인이 빈곤에 빠졌다는 것은 "미국 세기" 의 종말을 의미합니다. 미국은 지배적인 기업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떠오르는 다극 질서와 경쟁할 수 없습니다. 역사적 쇠퇴를 되돌리려는 시도를 통해 미국은 다극적 비전을 지지하는 두 개 주요 지지자인 러시아와 중국을 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맞서 군국주의를 강화해야 합니다.

 

Such a multipolar world of equals is anathema to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erialist pursuit of unipolar dominance. The latter configuration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the dollar as the world's reserve currency which, in turn, is vital for propping up the U.S. economy. For historical reasons, American capitalism is waning from its previous formidable prowess as the world's engine for growth. The tide is shifting to China and Eurasia which offer an alternative model of socialistic planned economies, based on a mix of public and private ownership, which are directed at progressing societal development. China's success in lifting millions of its people out of poverty while millions of Americans fall into poverty indicates the end of an "America Century". The United States, under its prevailing corporate capitalist system, cannot compete with the emerging multipolar order. By way of trying to reverse the historic decline, the U.S. is compelled to resort to increasing militarism against what it perceives as its nemesis - Russia and China - the two main proponents of a multipolar vision.

 

따라서 미국이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충돌 경로에서 가속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실행 가능하지는 않지만 논리적입니다. 속도와 무모함은 미국 제국이 종말에 멸망하고 있다는 인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대만은 미국에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두 갈래의 공격을 제공하고 있으며, 워싱턴이 눈앞에서 사라지고 있는 세계를 포착할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무모하고 망상적인 도박은 세계를 극도로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하고 있습니다. 그 통치자들과 그들의 정치적 추종자들은 화약 통에서 성냥을 휘젓고 있습니다.

세계의 모든 사람들은 다극적인 세계 비전이 우세하고 파괴적인 미국 이데올로기가 실패하기를 희망해야 합니다.

 

It is therefore logical, if not execrable, that Washington appears to be accelerating on a collision course against Russia and China. The speed and recklessness is correlated with the growing sense that the American Empire is in terminal demise. The Ukraine and Taiwan are providing the U.S. with a two-prong attack against Russia and China and what Washington views as its last chance to grasp on to a world that is disappearing before its eyes. America's reckless and delusional gambling is placing the world in an extremely dangerous situation. Its rulers and their political flunkies are flicking matches at a powder-keg.

All people of the world should hope that a multipolar world vision prevails and the destructive American ideology fails - definitively.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이슈 [디시人터뷰] 모델에서 배우로, 떠오르는 스타 이수현 운영자 25/02/21 - -
AD [베이비챗] 제약 없는 AI 채팅, 숨김없이 솔직하게 운영자 25/02/20 - -
796981 근데 솔직히 ㅇㅇㅇ(39.7) 21.04.15 29 0
796980 하 cpu 결정했다 [14] ㅇㅇ(121.132) 21.04.15 130 0
796979 제조사에선 내년까지도 장담 못한다는 말만 하는데 [1] ㅇㅇ(212.102) 21.04.15 55 0
796978 솔직히 켕기는게 없으면 미련이 없을만도 한데 ㅇㅇㅇ(39.7) 21.04.15 24 1
796977 이 블로그 디시질 하는데 되게 유용하네 [3] 세느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78 0
796976 어젠 추웠는데 오늘은 덥네 ㅋㅋㅋ ㅇㅇㅇ(39.7) 21.04.15 19 0
796975 프로게이머가 말하는게 그래픽카드마다 반응속도 체감이 틀리대 [5] ㅇㅇ(211.34) 21.04.15 99 0
796974 수염제모해도 또 난다 ㅇㅇ(118.42) 21.04.15 80 0
796971 글카 싸게 사는방법 ㅇㅇㅇㅇㅇ(223.62) 21.04.15 39 0
796970 시발 형들이 램 접촉불량이라매 [9] 후루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81 0
796969 3080fe 딱 한대만 팔아준다. [1] ㅇㅇ(180.80) 21.04.15 88 0
796968 본인 69에 3070삼 ㅋㅋ 역사(221.142) 21.04.15 54 0
796967 아직도 의미없는 작년 가격 가지고 딸딸이 치는 새끼들 [2] ㅇㅇ(212.102) 21.04.15 70 1
796966 1060때 가격 폭등한거 1년 5개월은 갔었으니까 ㄹㅇ ㅋㅋ 퍄하(175.223) 21.04.15 85 0
796965 글카 값 떨어지는건 시간문제지 [5] ㅇㅇ(175.223) 21.04.15 131 0
796964 아수스는 왜 튜닝램에 진출을 안하지 ㄹㅇ.. ㅇㅇ(223.39) 21.04.15 31 0
796962 3600 vs 10400f ㅇㅇ(223.39) 21.04.15 55 0
796961 레이저제모 씨발 존나아프다 새끼들아 [4] ㅇㅇ(211.225) 21.04.15 80 0
796960 나보고 탈모 라는 새끼 봐라 [8] 이삭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125 2
796959 글카비싸지는 이유를 아직도모른는건가 [7] dd(210.220) 21.04.15 107 0
796958 ㅋㅋㅋㅋㅋ 존버충들 대가리 아직도 안깨졌노 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14.44) 21.04.15 49 0
796957 본인컴퓨터 해킹해갈게 없음.. [3] 위니(110.9) 21.04.15 47 0
796956 3080 못 산 새끼들 오열중이네 ㅋㅋㅋ [3] ㅇㅇ(180.80) 21.04.15 153 0
796955 고시나 전문직시험 떨어진 사람들은 보통 어떻게 되는거임? [3] ㅇㅇ(211.206) 21.04.15 42 1
796954 요즘은 왜 태연 아이유같은 존재가 없냐 ㅇㅇ(118.42) 21.04.15 82 1
796953 3080 110에 샀는데 발열도없다 [4] 컴알못(106.101) 21.04.15 82 1
796952 페이커같은 게이머들은 컴퓨터 1년마다 교체할것같냐 [2] ㅇㅇ(180.71) 21.04.15 44 0
796951 글카만 봐도 미래 혜택은 부자들만 누리게될거임 [4] ㅇㅇ(121.172) 21.04.15 79 0
796950 글카 가격 올라가는 이유 [2] ㅇㅇ(114.203) 21.04.15 65 0
796949 3080 언제 가격 떨어지나 존버한지 2달째인데 ㅅㅂ [10] 얄땅충신(122.35) 21.04.15 82 0
796947 5800x에 rc400따리 추천해준 병신은 봐라 [1] ㅇㅇ(220.94) 21.04.15 152 0
796946 5600x 메인보드 파워 케이스 추천 좀 [4] ㅇㅇ(121.133) 21.04.15 189 0
796945 hdmi 케이블을 더 많이 씀? dp 케이블을 더 많이 씀? [4] ㅇㅇ(223.39) 21.04.15 50 0
796944 3070 어마 백플 금속임? [3] ㅇㅇ(49.161) 21.04.15 60 0
796943 나스 포트 열어두는 거 좀 미개한 짓 아닌가 세느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80 0
796942 툰드라앰씨 커엽노ㅋㅋㅋㅋㅋ ㅇㅇ(175.195) 21.04.15 34 3
796941 반도체가 매물이 없어서 글카 비싸지는게 이해가 안돼? [1] ㅇㅇ(223.38) 21.04.15 95 0
796940 3070 3080 으로 뭔게임을 하는거냐? [2] dd(210.220) 21.04.15 103 0
796939 속보) 반도체 공급난 [2] ㅇㅇ(180.80) 21.04.15 70 1
796938 2080 너무 느리다 ㅇㅇ(106.101) 21.04.15 30 0
796937 세잔 4코어 기대중임 ㅇㅇ(223.62) 21.04.15 40 0
796936 오 씨팔 갤럭시 3060 리사이즈바 미지원이네 [2] ㅇㅇ(49.166) 21.04.15 72 0
796935 이거 NAS 설치위치 바꿀 메리트 있음? [1] ㅇㅇ(175.223) 21.04.15 60 0
796933 4k 120hz 모니터는 이미 팔고 있음 [1] 세느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79 0
796932 쿨러 굳이 좋은거 왜쓰는지 모르겠음 ㅇㅇ(223.38) 21.04.15 46 0
796931 3080 99만에 샀다 손떨린다ㄷㄷ [6] ㅇㅇ(223.38) 21.04.15 151 0
796930 윈도우 깔려있는 ssd 새 컴에 걍 갖다 꽂아도 되나? [5] ㅇㅇ(211.109) 21.04.15 63 0
796929 32인치 4K 144주사율 모니터 올해 출시한다는데 언제 나오냐 [1] ㅇㅇ(180.71) 21.04.15 34 0
796928 써멀맛을 본 타임이 현재상황 [1] 위니(110.9) 21.04.15 49 0
796926 견적좀봐주라 [46] ㅇㅇ(106.101) 21.04.15 215 0
뉴스 ‘마녀’ 막강 특별 출연, 이번엔 진선규다! 통계학과 교수로 박진영과 호흡 예고 디시트렌드 02.2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