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사우디, 페트로달러 협정 갱신않기로 결정

시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22 05:57:39
조회 131 추천 4 댓글 0


https://www.atlanticcouncil.org/blogs/econographics/what-the-end-of-petrodollars-means/


페트로달러의 종말이 의미하는 것

By 흥 트란
-
-

페트로달러의 시대는 끝났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24년 6월 13일, 1974년 6월에 미국과 체결한 획기적인 협정 - 안전 보장을 대가로 미국 달러로만 석유를 판매하기로 한 협정 - 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 협정은 달러가 세계 석유 무역을 지배하는 것을 보장해 왔는데, 그것의 종식은 브릭스 국가들과 중동 및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국가 간 결제에서 현지 통화를 장려하고 그 과정에서 국제 금융에서 달러의 중요성을 점차 감소시켜 온데 따른 탈달러화 추세의 가장 최근의 결과물이다. 페트로달러의 종말은 미국-사우디 관계의 중대한 변화만이 아니라 글로벌 파워 밸런스 상의 중대한 변화 또한 반영한다.


1974년 미국과 사우디 아라비아
닉슨 행정부 시절로 돌아가 보겠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높은 인플레이션과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로 인해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고 미국의 금 보유량이 고갈될 위기에 처해 있었다. 1971년, 미국은 고정환율제인 브레튼우즈 국제 통화 시스템의 핵심이었던 달러의 금 태환을 종료했다. 1973년부터 주요 통화들이 서로에 대응해 변동하기 시작했다. 그해 가을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석유 생산량을 줄이고 대미 수출을 금지하면서 오일쇼크가 발생했고, 욤 키푸르 전쟁이 발발했다.

--
금 태환을 종료했다
https://www.federalreservehistory.org/essays/gold-convertibility-ends

서로에 대응 변동하기 시작했다
https://www.imf.org/external/about/histend.htm
--

워터게이트 청문회가 막바지로 치닫는 등 경제적, 정치적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 달러 협정을 체결했다. 리야드는 석유를 달러로 판매하는 것 외에도 대중의 반발을 우려해 비밀리에 이 달러를 미 재무부 채권 시장에 다시 투입해 미국의 재정 적자를 메우는 데 도움을 주기로 합의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사우디에 군사 장비를 공급하고 국가 안보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미국은 혼란스럽고 불안정한 상황이었지만, 이 협상을 통해 국제 의제를 설정할 수 있는 힘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협정은 달러에 대한 수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 외에도 석유 및 원자재 거래에서 달러 사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미국 국채에 대한 꾸준한 수요를 창출했다. 이것은 세계의 주요 준비 통화, 금융 및 거래 통화로서 달러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
우려해
https://www.meed.com/washington-reveals-saudi-holdings-of-us-debt/
--

용감한 신세계
50년이 지난 지금, 한때 미국이 누렸던 글로벌 지배적 지위는 눈에 띄게 약화되었다. 세계 GDP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0년 40%에서 25%로 감소했다. 중국 경제는 구매력 평가 기준에서 미국을 넘어섰다. 이제 미국은 점점 더 단호하게 자기주장을 하는 중국과 영향력 경쟁을 벌여야 하는 한편, 금융 및 외교 정책에서 미국으로부터 보다 자율성을 확보하려는 유럽 등 동맹국들의 압박에도 직면해 있다. 특히, 많은 국가들이 미국의 경제 및 금융 제재 강화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달러화를 대체할 수 있는 국가 간 결제 수단을 개발하려고 노력해 왔다.

동시에 미국은 사우디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훨씬 낮아졌다. 셰일 혁명 덕분에 미국은 이제 세계 최대 산유국이자 순수출국이 되었다. 여전히 사우디에서 석유를 수입하고 있지만 그 양은 훨씬 적다. 반면 중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최대 석유 고객이 되었다. 중국은 미국의 영향력이 약화된 중동 전역에서 무역 중심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왔다.

--
그 양은 훨씬 더 적다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487478/us-crude-oil-imports-per-day-from-saudi-arabia/
--

사우디아라비아가 페트로달러를 폐기하고 석유 판매에 사용되는 통화를 다변화하기로 한 결정은 미국과 유럽을 넘어 국제 관계의 초점을 확대하려는 더 큰 전략과도 일치한다. 브라질은 신흥국 클럽인 BRICS에 가입할 계획이며, 중국 및 기타 국가와 협력하여 국경 간 결제에 각국의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를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mBridge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페트로달러 협정의 종말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감소라는 보다 광범위한 지정학적 맥락과도 맞닿아 있다.

--
중국과 협력하여
https://www.coindesk.com/policy/2024/06/06/saudi-arabia-joins-bis-cbdc-project-mbridge-as-a-full-participant/
--

달러의 글로벌 딜레마
사우디아라비아의 결정은 탈달러화를 향한 작지만 상징적인 발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국가 간 무역 및 투자 거래에서 자국 통화를 사용하는 국가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은 전적으로 강대국의 영향력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참여 중앙은행 간에 합의된 통화 스왑 라인과 국가 결제 및 결제 시스템의 연결이 포함된다. 현재 국경 간 결제에 현지/국가 통화를 사용하는 것은 달러화 없이 현지 통화 쌍을 직접 교환하기 위해 유동성이 낮은 현지 외환, 화폐 및 헤징 시장에 의존하기 때문에 효율성 비용이 수반된다. 위에서 언급한 많은 국가들은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이 비용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토큰화와 같은 디지털 결제 기술의 발전은 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디지털 결제 생태계는 "토큰화"로 알려져 있는 것 - 달러나 주요 통화들에 고정된 CBDC나 스테이블코인, 기준 자산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 같은 교환 유닛들 - 을 향해 크게 발전해 왔다. 이 토큰화된 유닛들은 상업 은행과 같은 중개자의 계좌를 거치지 않고도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토큰화된 통화가 널리 채택되려면 아직 멀었지만, 이러한 생태계는 참여자들이 적절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준비금을 보유할 필요성을 크게 줄여 국제 금융에서 달러의 지배적 지위를 뒷받침하는 핵심 축으로서의 깊고 유동적인 미국 재무부 증권 시장의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다. 실제로 글로벌 외환보유고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9년 71%에서 현재 58.4%로 이미 하락했으며, 이는 여러 주요 통화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
"토큰화"로 알려져 있는 것을 향해 크게 발전해 왔
https://www.bis.org/publ/work1178.htm

이미 하락했으며
https://www.imf.org/en/Blogs/Articles/2024/06/11/dollar-dominance-in-the-international-reserve-system-an-update
--

가까운 미래에도 달러의 지배력은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 환경의 점진적인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더 많은 현지 통화가 국제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계에서는 달러의 영향력은 여전히 두드러지겠지만, 중국 위안화, 유로화, 일본 엔화와 같은 통화가 각국 경제의 국제적 입지에 걸맞은 방식으로 추가되면서 막강한 영향력은 잃게 될 것이다. 이 맥락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페트로달러 폐지 결정은 50년 전 페트로달러가 탄생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다가올 금융의 미래를 예고하는 것일 수 있다.

-----
흥 트란은 대서양위원회 지리경제센터의 비상임 선임연구원으로 국제금융연구소의 전무이사, 국제통화기금(IMF)의 부국장을 역임한 바 있다.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2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9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766418 일반 北에 애니메이션 외주한 이탈리아 회사, 대북제재 위반으로 벌금 ㅇㅇ(14.45) 06.27 49 0
766417 일반 러뽕들 슬슬 불안하지? ㅇㅇ(218.50) 06.27 75 5
766416 일반 브라질, 세계 최대 대마초 비범죄화 국가됐다…“마약 정책 실패 인정” ㅇㅇ(14.45) 06.27 79 0
766415 일반 “나치 집단학살은 거짓말”…獨 90대 극우 할머니 또 실형 선고 [1] ㅇㅇ(14.45) 06.27 72 1
766414 일반 네타냐후나 VS. 두창견이나 ㅇㅇ(58.140) 06.27 40 0
766413 정보 "윤 대통령 탄핵 요구 청원" 말한 박찬대 "내각제면 총리 물러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69 0
766412 정보 국회 ‘윤대통령 탄핵 국민청원’ 법사위 회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126 0
766411 정보 박찬대 "尹 탄핵 청원 20만 넘어…국민은 참지 않을 것"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62 0
766410 정보 6·25 맞아 청년 계급 교양…”윤석열 탄핵 투쟁에 합세해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34 0
766409 일반 짱개들은 너무 한심함 ㅋㅋㅋ OO(115.88) 06.27 31 0
766408 정보 "대한민국 전 분야 총파산"‥'尹 탄핵청원' 법사위 회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45 1
766407 정보 원희룡 "한동훈, 野 '탄핵 초시계'에 말려드는 위험한 정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41 0
766406 일반 짱개들 진짜 웃기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1] OO(115.88) 06.27 57 1
766405 정보 "윤 대통령 탄핵 요구" 청원 23만명 육박…법사위 회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123 3
766403 일반 우크라이나 지금 러시아가 봐주고 있다던데 [1] 러갤러(223.62) 06.27 74 4
766402 일반 “극우 정책 집행 못한다” 프랑스 공무원들 ‘불복종’ 준비 [1] ㅇㅇ(14.45) 06.27 76 0
766401 일반 보잉의 문제는 보잉의 문제가 아님 할랄포크(166.198) 06.27 51 1
766400 일반 미국에 못가면 몸살이 나는 종미 중국 공산당 [1] 러갤러(64.31) 06.27 48 1
766399 일반 중공은 약탈한 영토를 모두 반납해야 한다 [2] 러갤러(121.159) 06.27 43 1
766398 일반 유로2024) 우크라이나 나치놈들 조별딱 ㅇㅇ(211.244) 06.27 30 0
766397 일반 트럼프는 트로츠키주의자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31 0
766396 일반 러시아 푸틴, 정말 마음에 안든다. [5] OO(115.88) 06.27 74 1
766395 일반 푸틴은 폼잡으려다 망한거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48 1
766393 일반 우크라이나에 있는 유럽 의용군놈들은 다 러시아군이 비료로만들것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54 1
766392 일반 미군철수하고 중국의 속국이 되는게 한국인에게 맞지 않을까? 솔직히 한국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49 1
766391 일반 볼리비아 의거 실패가 말이 되냐 케말파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57 0
766390 일반 사실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은 불안한거다 OO(115.88) 06.27 67 1
766389 정보 대규모 핵무기 사용을 수반하는 러시아-미국의 전쟁을 경고 - 전문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34 0
766388 일반 후티 이스라엘 선박 상대로 최초의 극초음속 미사일 사용을 주장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117 5
766387 정보 러시아, 시리아의 불법군 철수 요구 지지, 특사 발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50 1
766385 일반 볼리비아 쿠데타 시도에 대해 알려진 것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82 1
766384 일반 볼찬스크 회복은 개뿔 계속 죽어나가고 있구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61 3
766383 일반 한국인 87%, "조선족은 동포 아니다" [2] ㅇㅇ(211.219) 06.27 70 2
766382 정보 볼리비아 경찰이 미국의 노예-반역자를 체포하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54 0
766380 일반 짱개들은 주제를 전혀 모른다 OO(115.88) 06.27 30 0
766379 일반 원래 한국 회초리, 감동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34 0
766378 일반 조센징들은 국민들이 러시아 적대를 선동했으니.이제 전쟁 위협이라는 공포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30 1
766377 일반 조선족 븅신들아 돈 좀 벌었으면 니네 나라로 꺼져 [1] 조옷족(211.219) 06.27 29 2
766376 일반 조선족들의 정신 분열 ㅋㅋㅋ [1] 조옷족(211.219) 06.27 36 1
766375 일반 조센징 특징-경제 망하고 저출산으로 멸망 확정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42 2
766374 정보 이스라엘은 ㄹㅇ중동국가 맞음? [1] 러갤러(146.70) 06.27 51 0
766373 일반 조선족 븅신들아, 니네 나라로 안 꺼지냐? 조옷족(211.219) 06.27 18 1
766372 일반 조센징들은 작은 나라고.가스.석유를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44 1
766371 일반 그나마 믿고 따를만한 착한나라들. ㅇㅇ(59.6) 06.27 31 0
766370 일반 볼리비아 쿠데타에 미국이 관여했다는 증거가 나왔냐? [2] 33567(112.168) 06.27 63 0
766369 일반 조센징의 외교-행정 판단력은 가치가없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34 0
766368 일반 일본의 국력은 한국보다 약하다 러갤러(66.111) 06.27 30 0
766367 일반 대한민국 안보전략연구원 보고서.. OO(115.88) 06.27 28 0
766366 일반 더러운 미국놈들이 볼리비아에서 반란 시도했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7 53 0
766365 일반 일본은 민폐의 나라 ㅇㅇㅇ(218.238) 06.27 36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