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신재생만 믿다 전기료 10배 뛴 유럽…원전 다시 켠다

ㅇㅇ(118.41) 2024.11.22 18:48:33
조회 180 추천 1 댓글 3



유럽 강타한 '녹색 정전'
글로벌 천연가스값 폭등

이달 날씨 '어둡고 바람 멈춰'
태양광·풍력발전 사실상 스톱
가스 수요 늘면서 가격 치솟아


글로벌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유럽에서 흐리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이 이어지면서 ‘대체 에너지원’인 가스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유럽 가스 가격은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고, 공급 과잉 우려로 하락세를 보이던 미국 천연가스도 5개월여 만에 최고가를 나타냈다.


2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유럽 천연가스 벤치마크인 TTF 12월물 가격은 메가와트시(㎿h)당 48.720유로를 찍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가격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헨리허브(HH) 천연가스 선물은 MMBtu(열량 단위)당 3.509달러를 기록했다.

겨울철 한파를 앞두고 난방용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한 데다 유럽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가 불거져 가스 가격을 밀어 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상 조건에 따라 전력 생산이 오락가락하는 간헐성은 신재생에너지의 고질적 문제로 꼽힌다. 특히 이달 초중순부터 유럽에서는 ‘어둡고 바람이 멈춘 상태’라는 의미의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풍속이 급격히 떨어져 풍력 터빈에서 전력 생산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하늘이 흐려 태양광 패널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녹색 정전’으로도 불린다.

녹색 정전 사태는 유럽에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대폭 늘린 뒤 매년 반복되고 있다. 이달 들어 약 2주간 영국과 독일, 북유럽 일부 국가를 연이어 강타했다. 이 기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메우기 위해 석탄과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발전량이 급증했다. 독일 아고라에네르기벤데에 따르면 통상 40~50%이던 독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지난 6일 19.5%로 쪼그라들었다.

신재생에너지 전력공급 불안…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로 대체
독일서 100만원 넘는 요금폭탄…英·북유럽서도 동시다발적 정전

독일은 이달 6일 육상풍력 일일 발전량이 0.14GWh(기가와트시)로 사실상 전무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발전량도 각각 6.82GWh, 42.64GWh로 연중 최저치를 보였다. 신재생에너지에서 모자란 전기를 대신하기 위해 경질 석탄과 갈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사용량을 대폭 늘렸다. 독일 프라운호퍼ISE에 따르면 이달 4일부터 10일 사이 신재생에너지는 전기 생산의 30%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70%는 전부 화석연료 에너지였다. 바람이 불지 않고 햇빛이 거의 나지 않는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의 여파였다.

🌕獨 전기 기업 대표의 경고

독일 유틸리티업계에서는 “기저전원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는 경각심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최대 유틸리티 기업 RWE의 마르쿠스 크레버 최고경영자(CEO)는 21일(현지시간) 링크트인에 “이달 초 독일의 전력 공급이 한계에 도달했다”며 “지난 6일 저녁 시간대에 전기요금이 ㎿h(메가와트시)당 800유로를 넘어섰고, 이는 평소보다 약 열 배 비싼 가격이었다”는 글을 올렸다. 그는 “다시 안정화되긴 했지만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둥켈플라우테에 대응하고 전력 수급 시스템 및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화석연료 등 기존 발전원의) 발전 용량을 축소하면서도 신재생에너지에 ‘백업 에너지’를 제공하지 않으면 어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지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업 에너지란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와 양수발전 등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확충하고, 전력 수입을 포함한 대체 공급원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이 무너졌을 때 가스와 석탄, 장작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체계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점에서다.

독일에서는 이달 중순 이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다시 안정화됐다. 하지만 녹색 정전 사태와 이에 따른 가스 발전 확대는 영국과 북유럽 국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가스 가격을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달 초 영국에서는 풍력 발전이 오전과 저녁 최대 전력 수요 시간대에 전력 수요의 3~4%만 충족했고, 이에 따라 가스 발전소가 가동돼 약 60%의 전력 수요를 충당했다. 나머지 전력은 원자력, 장작 등 바이오매스와 전력망 연결을 통한 수입 전력 등이 채웠다.

🌕탄력받는 원전 르네상스

유럽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가 부각되자 다시 원전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있다. 하비에르 블라스 블룸버그 에너지·원자재 전문 칼럼니스트는 9일 X(옛 트위터)에서 둥켈플라우테 문제를 지적하며 “메스메르 씨가 고마울 따름”이라고 적었다. 1972~1974년 프랑스 총리를 지내며 프랑스를 원자력발전 강국으로 키운 피에르 메스메르를 지칭한 것이다.

‘녹색 정전 사태의 친환경적 해결책은 원자력뿐’이라는 공감대가 퍼지면서 유럽 국가는 잇달아 원전 복귀 및 확대를 선언하고 있다. 스웨덴(1980년 탈원전), 이탈리아(1987년), 스위스(2017년) 등 과거 탈원전을 결정한 국가는 원전 건설에 나서고 있다. 체코를 비롯해 프랑스 영국 폴란드 네덜란드 핀란드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등도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가스 가격은 계속 오름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에서 천연가스가 석탄을 제치고 1위 발전원으로 올라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전력 구성에서 석탄 비중은 15.8%로 떨어졌고 대부분 저렴한 천연가스로 대체됐다. 가스는 전년 대비 6.5%포인트 증가한 4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978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839693 일반 한국인은 왜 123(1.236) 02.15 35 3
839692 일반 망하는 국가: 망하는 나라를 망한다고 하면 발악 조선인 참수 작전(1.236) 02.15 47 2
839691 일반 지금 안전보장 받아야 할 나라는 러시아임 ㅇㅇ(124.49) 02.15 39 1
839690 일반 누가 자꾸 밑에 병신이 쓴 동북아 패권 얘기로 조작글 가는거냐? 조선인 참수 작전(1.236) 02.15 38 1
839689 일반 신냉전시대 머지않아 한국은 동북아 패권을 잡는다 [1] ㅇㅇ(223.38) 02.15 258 22
839688 일반 개말이는 관타나모로 ㅇㅇ(121.134) 02.15 26 0
839687 일반 오늘자 젤렌스키 근황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53 2
839686 일반 러시아가 드니프로 강 넘으려면 추가 모병을 할 수 밖에 없음 [1] 러갤러(14.52) 02.15 69 1
839685 일반 백광순씨 아시는 분? 러갤러(117.111) 02.15 23 0
839683 일반 한국이 경제 망해도 중앙아시아보다 망할일 없지? [5] ㅇㅇ(49.169) 02.15 66 0
839682 일반 이쯤 되면 그동안 러시아가 일부러 천천히 진격한다고 했던 [2] ㅇㅇ(124.49) 02.15 116 4
839681 일반 하이고 전쟁이 그리 좋으면 얼른 전쟁터에 가지 ㅇㅇ(118.235) 02.14 32 0
839680 일반 근데 금값 머냐?? 머 터진거냐? [1] 러갤러(125.133) 02.14 107 0
839679 일반 영국은 전쟁 계속한다고 미국은 발빼고 ㅋㅋㅋ 러갤러(117.111) 02.14 70 0
839678 일반 러뽕 새끼들 울부짖는구나 ㅋㅋㅋ [1] ㅇㅇ(124.49) 02.14 71 3
839677 일반 젤렌이는 죽어야 함 [2] ㅇㅇㅇ(218.238) 02.14 59 2
839676 일반 러시아군, 젤레노예 폴레와 다크노예 점령 ㅇㅇㅇ(218.238) 02.14 70 3
839675 일반 와 러뽕 새끼 면상 유출 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0 0
839674 일반 왜 둘은 맨날 싸우냐 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1 0
839673 일반 hospitaller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건담 인데예" 냠냠꾼(77.111) 02.14 28 0
839672 일반 독일이 숄츠 이후, 극우로 돌아설 것 같던데?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59 0
839671 일반 케말 박신우는 예수 처믿다 뒤져서 지옥 갔다. [1] 냠냠꾼(77.111) 02.14 31 0
839670 일반 케말이는 왜 안오냐?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 0
839669 일반 hospitaller 빨갱이 북괴간첩 종간나 새끼 조용 하라우! 냠냠꾼(77.111) 02.14 30 1
839668 일반 hospitaller = 공산주의자 빨갱이 북괴간첩 [1] 냠냠꾼(77.111) 02.14 35 0
839667 일반 냠냠꾼은 오면 요란함 ㅋㅋ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4 0
839666 일반 개독 = 등신들 등쳐먹는 사기극 냠냠꾼(77.111) 02.14 35 1
839665 일반 hospitaller 빨갱이 북괴간첩 새끼야 조용 하라우! [1] 냠냠꾼(77.111) 02.14 31 0
839664 일반 우크라이나 정보국이 러시아 시민들 보이스 피싱하네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8 0
839663 일반 군첩들도 개그맨 개무시하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124.56) 02.14 54 0
839662 일반 젠슨 황은, 원은 관계는 확실히 갚는 사람이다. 삼성 큰일난 거야.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9 0
839660 일반 우뽕은 사실, 우뽕이 아니고, 러뽕은 사실, 당연한 양심이야.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0 0
839659 일반 우뽕새끼들은 정말 너무나 혐오스럽다 [1] 땅콩버터(175.195) 02.14 49 3
839658 일반 한국인도 책임이 있어.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1 1
839657 일반 젤렌과 우크 군 수뇌부는 솔직히 동정이 안가.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6 0
839656 일반 러시아가 이긴건 맞음 [1] ㅇㅇ(124.49) 02.14 65 1
839655 일반 미국이 돈주며 부추기지만 않았어도, 그 많은 죽음은 없었을 텐데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33 1
839654 일반 이게 러우전쟁의 현실이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ㅇㅇ(124.56) 02.14 119 1
839653 일반 러시아가 지금, 우크라이나 가스 시설 공격중 [2]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81 0
839652 일반 숄츠 소식 떴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124.56) 02.14 85 0
839651 일반 머스크형에 따르면 USAID가 러우갤 작업쳤을수도 [1] 땅콩버터(175.195) 02.14 62 2
839650 일반 개그맨ㅋㅋ 지 살려고 개뻥치고 있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124.56) 02.14 61 2
839649 일반 유럽시키들 개존나 빡치겠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ㅇㅇ(124.56) 02.14 110 2
839648 일반 와 이 러뽕 새끼 보소ㅋㅋ [1] 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6 3
839647 일반 러우갤 망하게한게 도시타임 그 벌레 ㅅㄲ인데 [3] 러갤러(222.104) 02.14 72 2
839646 일반 Bee gees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3 0
839645 일반 진짜 화약고 [1] 러갤러(61.75) 02.14 42 0
839644 일반 땅콩버터는 걍 병먹금해라 [1] 러갤러(222.104) 02.14 45 1
839643 일반 젤렌스키 눈물의 똥꼬쇼 보고 있으면 썩을열이가 보인다 [3] 땅콩버터(175.195) 02.14 84 1
839642 일반 미국 유럽 둘다 십창이라는데 주가는 왜 [3] 코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8 0
뉴스 홍이삭, 오는 27일 미니앨범 'The Lovers Note' 발매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