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신재생만 믿다 전기료 10배 뛴 유럽…원전 다시 켠다

ㅇㅇ(118.41) 2024.11.22 18:48:33
조회 179 추천 1 댓글 3



유럽 강타한 '녹색 정전'
글로벌 천연가스값 폭등

이달 날씨 '어둡고 바람 멈춰'
태양광·풍력발전 사실상 스톱
가스 수요 늘면서 가격 치솟아


글로벌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유럽에서 흐리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이 이어지면서 ‘대체 에너지원’인 가스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유럽 가스 가격은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고, 공급 과잉 우려로 하락세를 보이던 미국 천연가스도 5개월여 만에 최고가를 나타냈다.


2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유럽 천연가스 벤치마크인 TTF 12월물 가격은 메가와트시(㎿h)당 48.720유로를 찍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가격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헨리허브(HH) 천연가스 선물은 MMBtu(열량 단위)당 3.509달러를 기록했다.

겨울철 한파를 앞두고 난방용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한 데다 유럽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가 불거져 가스 가격을 밀어 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상 조건에 따라 전력 생산이 오락가락하는 간헐성은 신재생에너지의 고질적 문제로 꼽힌다. 특히 이달 초중순부터 유럽에서는 ‘어둡고 바람이 멈춘 상태’라는 의미의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풍속이 급격히 떨어져 풍력 터빈에서 전력 생산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하늘이 흐려 태양광 패널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녹색 정전’으로도 불린다.

녹색 정전 사태는 유럽에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대폭 늘린 뒤 매년 반복되고 있다. 이달 들어 약 2주간 영국과 독일, 북유럽 일부 국가를 연이어 강타했다. 이 기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메우기 위해 석탄과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발전량이 급증했다. 독일 아고라에네르기벤데에 따르면 통상 40~50%이던 독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지난 6일 19.5%로 쪼그라들었다.

신재생에너지 전력공급 불안…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로 대체
독일서 100만원 넘는 요금폭탄…英·북유럽서도 동시다발적 정전

독일은 이달 6일 육상풍력 일일 발전량이 0.14GWh(기가와트시)로 사실상 전무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발전량도 각각 6.82GWh, 42.64GWh로 연중 최저치를 보였다. 신재생에너지에서 모자란 전기를 대신하기 위해 경질 석탄과 갈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사용량을 대폭 늘렸다. 독일 프라운호퍼ISE에 따르면 이달 4일부터 10일 사이 신재생에너지는 전기 생산의 30%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70%는 전부 화석연료 에너지였다. 바람이 불지 않고 햇빛이 거의 나지 않는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의 여파였다.

🌕獨 전기 기업 대표의 경고

독일 유틸리티업계에서는 “기저전원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는 경각심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최대 유틸리티 기업 RWE의 마르쿠스 크레버 최고경영자(CEO)는 21일(현지시간) 링크트인에 “이달 초 독일의 전력 공급이 한계에 도달했다”며 “지난 6일 저녁 시간대에 전기요금이 ㎿h(메가와트시)당 800유로를 넘어섰고, 이는 평소보다 약 열 배 비싼 가격이었다”는 글을 올렸다. 그는 “다시 안정화되긴 했지만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둥켈플라우테에 대응하고 전력 수급 시스템 및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화석연료 등 기존 발전원의) 발전 용량을 축소하면서도 신재생에너지에 ‘백업 에너지’를 제공하지 않으면 어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지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업 에너지란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와 양수발전 등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확충하고, 전력 수입을 포함한 대체 공급원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이 무너졌을 때 가스와 석탄, 장작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체계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점에서다.

독일에서는 이달 중순 이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다시 안정화됐다. 하지만 녹색 정전 사태와 이에 따른 가스 발전 확대는 영국과 북유럽 국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가스 가격을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달 초 영국에서는 풍력 발전이 오전과 저녁 최대 전력 수요 시간대에 전력 수요의 3~4%만 충족했고, 이에 따라 가스 발전소가 가동돼 약 60%의 전력 수요를 충당했다. 나머지 전력은 원자력, 장작 등 바이오매스와 전력망 연결을 통한 수입 전력 등이 채웠다.

🌕탄력받는 원전 르네상스

유럽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가 부각되자 다시 원전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있다. 하비에르 블라스 블룸버그 에너지·원자재 전문 칼럼니스트는 9일 X(옛 트위터)에서 둥켈플라우테 문제를 지적하며 “메스메르 씨가 고마울 따름”이라고 적었다. 1972~1974년 프랑스 총리를 지내며 프랑스를 원자력발전 강국으로 키운 피에르 메스메르를 지칭한 것이다.

‘녹색 정전 사태의 친환경적 해결책은 원자력뿐’이라는 공감대가 퍼지면서 유럽 국가는 잇달아 원전 복귀 및 확대를 선언하고 있다. 스웨덴(1980년 탈원전), 이탈리아(1987년), 스위스(2017년) 등 과거 탈원전을 결정한 국가는 원전 건설에 나서고 있다. 체코를 비롯해 프랑스 영국 폴란드 네덜란드 핀란드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등도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가스 가격은 계속 오름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에서 천연가스가 석탄을 제치고 1위 발전원으로 올라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전력 구성에서 석탄 비중은 15.8%로 떨어졌고 대부분 저렴한 천연가스로 대체됐다. 가스는 전년 대비 6.5%포인트 증가한 4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978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839821 일반 민주당이 돈 풀까봐 걱정이다.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38 0
839820 일반 키도 관리 못하면 줄어들 수 있어.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30 0
839819 일반 테슬라 FSD가 중국 시장에 들어가려면 중국 자율주행도 미국에 들어가야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68 3
839818 일반 트럼프가 유럽에 방위비 인상하라는 진전한 뜻은 [2] ㅇㅇ(211.36) 02.15 64 1
839816 일반 러시아도 경제, 인력 측면에서 한계에 봉착한듯 [2] ㅇㅇ(221.148) 02.15 94 0
839815 일반 러우전으로 달러 휴지된거 맞음? [2] ㅇㅇ(221.148) 02.15 90 0
839813 일반 이시하라 신타로 이새끼는 북한에서 암살조 보내 뒤질뻔 했다는데 러갤러(210.96) 02.15 41 0
839812 일반 흐미 불맛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25 0
839810 일반 ㅋㅋ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7 0
839809 일반 새로운 주사가 나와따 [1]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40 0
839807 일반 미러가 나눠먹는게 아니라 러시아가 통채로 먹는거야 [1] ㅇㅇ(119.198) 02.15 66 0
839806 일반 빨리 가 ㅎ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21 0
839805 일반 이상한 오토바이 ㅎ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39 0
839803 일반 비오는 날 헛짓 ㅎ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22 0
839802 일반 미구라 ㅋ 우구라 버릴 준비하노 ㅋ ㅇㅇ(124.56) 02.15 86 0
839801 일반 한국은 러시아 기술 무시할 자격이 없지. [1] 도시타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95 0
839798 일반 개그맨 ㅋㅋ 트럼프한테 개존나 빡쳤나보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ㅇㅇ(124.56) 02.15 139 4
839797 일반 헌법을 3연임 가능 으로 바꾸고... ? [1] 러갤러(180.70) 02.15 58 3
839796 일반 러시아는 기술없이 앞으로 어떡하려고 그러냐 [1] 러갤러(148.113) 02.15 51 0
839795 일반 트럼프가 자신의 경제공약을 고대로 실현할 경우 미국의 모습 러갤러(39.117) 02.15 48 0
839794 일반 러시아가 이긴건 인정해 ㅇㅇ(124.49) 02.15 66 0
839793 일반 블룸버그 "일본 gdp의 9프로 군사력에 써도 중국에 대참패" [6] 러갤러(210.96) 02.15 125 1
839792 일반 나토가 전나 웃기잖아 ㅇㅇ(175.223) 02.15 40 2
839791 일반 우주 기술을 과학자들이 자기 기술로 선전하는 것 뿐. [2]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29 0
839790 일반 태양광.5G.드론.전기차.딥시크 ai까지 서방은 이제 반도체만 남았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74 3
839789 일반 삼위일체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와 같아.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6 0
839788 일반 예수님을 예언자로 인정하지 않는 자는, 이슬람교가 아니다.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27 0
839786 일반 주우미군 배치 대가로 희토류 절반 상납 제안 [2] ㅇㅇ(1.245) 02.15 85 0
839785 일반 미국은 원래 좋은 나라였다. [4] Hospitall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68 0
839784 일반 젤렌스키가 희토류를 안준다고? [2] ㅇㅇ(118.235) 02.15 89 0
839783 일반 중국이 어느날부터 자율주행 차량만 등록을 허용하는 상황이 오면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57 0
839782 일반 BYD 자율주행 수준 (테슬라 중국에서 운전 할 수 있겠어?)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24 0
839781 일반 러뽕들은 뭉쳐도 모자란데 왜 친중 혐중으로 갈려 싸우냐? [3] 러갤러(175.192) 02.15 74 0
839780 일반 러시아 회사순위보니까 쓸만한 회사가 안보임 러갤러(92.119) 02.15 48 0
839779 일반 러뽕들이 환장할 우크라이나 지도 [6] 러갤러(175.192) 02.15 111 3
839778 일반 군첩들이 환장할 우크라이나 지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85 2
839777 일반 유대인들이 기생하는 국가들의 운명은 다 정해져있음 [1] 러갤러(115.137) 02.15 130 3
839776 일반 저 밑에 호구새끼 삼성이 우리나라 회산줄 아노ㅋㅋㅋ [1] 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94 2
839775 일반 우크라가 정상화되면 첫번째할일 ㅇㅇ(175.223) 02.15 40 0
839774 일반 트럼프 '우크라이나 전쟁 24시간 안에 종결' ㅇㅇ(39.124) 02.15 72 1
839773 일반 러시아, 우크라이나에서 유대인 인구감소 [5] 러갤러(106.102) 02.15 107 2
839772 일반 러우전 관련 미국과 서방의 가장큰 손해는 ㅇㅇ(180.70) 02.15 58 0
839771 일반 21세기의 러다이크 운동 러갤러(39.117) 02.15 24 0
839770 일반 반데라주의가 뭐가 문제인 지 알어? [1] 러갤러(39.117) 02.15 45 0
839769 일반 우크라는 그냥 형식상 중립만 지켰어도 되는거 아니냐 [4] ㅇㅇ(39.126) 02.15 71 2
839768 일반 젤렌스키땜에 유대인들의 정계진출이 더 어렵게 되었음 [3] ㅇㅇㅇ(218.238) 02.15 91 1
839767 일반 한국이 얼마나 대단한 나라인지 러우갤럼만 모르고있지 ㅋ [4] 러갤러(148.113) 02.15 99 0
839766 일반 결국 미국 러시아 둘이서 우크라이나 나눠먹은거네 ㅋㅋㅋ [6] 러갤러(124.5) 02.15 103 1
839765 일반 젤렌스키가 하려는 일은 이미 인민의 종이라는 드라마에 나왔지. [2] 러갤러(39.117) 02.15 80 2
839764 일반 유럽보면 천연자원 ㅈ도없는것들이 [1] 러갤러(106.102) 02.15 84 0
뉴스 김제동, 3년 만에 토크콘서트로 돌아온다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