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최근 “코믹 북 팬들 vs 할일 없는 엄마들”이라는 페이스북 페이지에 가입하라는 권유를 받았다. 이 그룹은 DC네이션과 마블에 “우리는 코믹스에 나올 동성애자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의 등장을 철회해줄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독자들에게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을 통해 올바른 성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게 해주도록 해주십시오.”라는 메세지를 보낸 어머니들에게 대항하기 위한 페이지였다. 확실히, 백만명의 어머니들은 자신의 아들들이 동성애자 캐릭터가 나오는 만화를 보면 그 아들들도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듯 보인다. 마블과 아카이브는 이에 굴하지 않았고, 이는 곧 소셜 미디어 그룹에서 이슈가 되었다.(즉, 양 진영의 편에 서는 소셜 미디어 그룹들이 형성되어지기 시작했다) 최근의 뉴스에 따르자면, 100만명의 어머니들은 그들의 안티 게이 페이스북 페이지를 삭제했다고 한다.
이러한 갈등은 언제나 존재하여 왔었다. 예를 한번 들어보도록 하자. 당신은 공동체의 안정과 보호를 추구(특히 자신들을 보호할 수 없는 아이들)하고 싶을 것이다.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당신은 근본적으로 당신이 뭐라고 말하던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보호받을 수 있는 자유, 다시 말해 표현의 자유 역시 추구하고 싶을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첫번째 그룹의 선의의 행동이 2번째 그룹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가 잦다는 것이다. 첫번째 그룹이 두번째 그룹의 권리 추구를 방해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첫번째 그룹이 주장하는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매우 간단한 해결책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1940년대에 부모들이 그들의 자식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화책들을 불살라버리려는 운동을 벌이는 운동으로서 나타난 전례가 있다. 필자는 이 주제, 즉 “만화책 불태우기 운동”으로 CBLDF(Comic Book Legal Defense Fund)의 첫 “공식” 칼럼을 쓰려 한다.
역사상 최초로 정책적으로 책을 태운 것은 기원전 213년 중국의 진시황에 의해서였다. 이후, 역사적으로 책들은 언제나 불타는 신세였다. 책들은 다양한 이유로서 불태워졌다. 종교적인 동기에서 시작해서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높은 수준의 검열 가운데에 정부, 종교 지도자, 그리고 사서들에 의해서 불태워졌다. 심지어 2차 대전에서의 나치는 자신들의 사상에 부합하지 않는 책들은 모두 태워버렸다. 나치는 2차 대전에 패해 1945년에 사라졌다. 그러나, 약 3년 뒤 진시황은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그들은 이제 만화책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1948년은 세계의 분위기가 완전히 뒤바뀐 해였다. 세계 2차 대전은 끝났지만, 냉전이 새로 도래했다. 핵스칼리버를 가진 트루먼 대통령은 16 국가에 50억 달러를 지원하는 마셜 플랜을 제의했고, 국제 연합(UN)은 WHO(세계 보건 기구)와 세계 인권 선언문을 발족시켰다. 과학자들은 빅뱅 이론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내놓았고, 컬럼비아사社는 새로운 레코드를 내놓았다. 문화계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었다. 이처럼 세계가 빠르게 변화하는 때, “선의를 가진 부모들과 시민들”은 자식들을 설득해 만화책들을 미국에 있는 모든 만화책들을 불태우려 했다.
연합군은 3년 전 히틀러를 패배시켰다, 그리고 사람들은 새로운 적을 찾아 나섰다. 여기에 독일 출신의 심리학자이자 할렘가 범법청소년 치료부분에서 일하고 있던 Charitable 병원 프레드릭 웨덤 박사가 바로 이에 불을 지폈다. 프레드릭 웨덤 박사는 많은 범법청소년이 만화책을 질겨 읽는다는것을 발견했다. 이에 웨덤 박사는 만화책이 아이들이나 청소년들이 범죄를 저지르게 만든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연구에는 심각한 오류가 하나 있는데, 바로 이와 같은 연구 방식을 적용할 시 “범죄 청소년들은 모두 신발을 신으므로 신발을 신으면 범죄 청소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라는 결론을 내릴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따라서 본래는 이와 같은 연구를 할 시에는 여러가지 요인들을 살펴보아야 한다, 역자 주) 그는 만화책만을 연구 대상으로 국한해버리고 말았다.
1948년, 월텀은 “보육소 안의 공포”라 불리는 칼리어의 매거진에서의 인터뷰에서 만화에 대해 공격을 시작한다. 그 후, 그는 “The Psychopathy of Comic Books“라는 학술 토론회를 제안했다. 이후 1948년 5월, <em>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나 Saturday Review of Literature와 같이 위의 연구와 비슷한 관점을 지닌 글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한다.(excerpts would later be included in the August issue of Reader’s Digest,필자 주) 월텀은 만화책을 읽으면 사람들이 비정상적으로 폭력적이 된다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로 인해서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른다고 보았다. 이제, 월텀은 그 이론을 주장하고 있지 않는다. 실제로도 1954년, 그는 미국 상원 의회 공청회에서 “아마도 우리가 한 일의 시초는 아마도 히틀러인 것 같다.”라는 발언을 하였다. 문제는, 그가 “만화책이 아이들에게 매우 해롭고, 그를 자꾸 주장한” 매우 공신력 있던 심리학자였다는 것이었다. 이제 월튼이 불을 지폈으니, 미국은 새로운 미국의 적을 때려 잡는 일만이 남았다.
이에 대응하여, 여러 커뮤니티들이 법안을 통과시키거나, 서점이 청소년 유해 조류의 원인으로서 지목받은 만화책들을 팔지 못하게 하라고 압력을 넣기 시작했다. 1948년 10월 26일, 사태가 점점 악화되면서 웨스트 버지니아주의 작은 마을 스펜서에서는 아이들이 목사, 교사, 그리고 부모들이 보는 앞에서 천여개의 만화책들을 불태웠다. 몇달 뒤 학생들은 책들을 모은 뒤, 학교 운동장에 약 1.8미터 정도의 높이로 책들을 쌓은 뒤, 6천만명의 아이들이 둘러싼 가운데에서 슈퍼맨 코믹스의 커버에 불을 지핀 뒤, 그것을 만화책들을 쌓은 곳 맨 위쪽에 던졌다.
David Hajdu의 책인 <em>The Ten Cent Plague </em>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자세히 나와있다.
그 불꽃은 25피트가 넘게 피어 올랐다, 아이들의 선생과, 교장, 그리고 지역 신문의 두 리포터와 사진 기자가 한 시간도 넘게 그 불꽃을 바라보고 있었다…
지역 사회에서 기삿 거리를 잡았을 때, 워싱턴 포스트와 시카고 트리번, 그리고 여러 지방 신문들의 독자들은 세계 대전에 끝난지 3년 만에, 미국 시민들이 어떻게 책을 태웠는지 알게 되었다.
스펜서에서 책 화형식-사실상 분서갱유에서 갱유만 뺀 짓거리-이 이러난 지 얼마 되지도 않아 뉴욕 빙햄톤의 주민들은 집집마다 만화책들을 모으고 다니면서 공개적으로 화형식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