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스트리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스트리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방송에서 모교 방문한 이수지 감돌
- 20~35세 ‘홍대·합정’, 60대 ‘반포’에서 지갑 열었다 묘냥이
- 은평구 한옥마을 (ZFC 무보정 jpg) 꼬꼬닥
- 스파 스프린트&퀄리파잉 직관 후기 및 정보 23조용호
- 싱글벙글 2020년대의 북한군 막사생활..jpg ㅇㅇ
- 싱글벙글 역사상 시대를 대표하는 강대국 ㅇㅇ
- 우주선자랑) 우주배박이의 밀리라 컨셉 모선 (스압) ㅇㅇ
- '트럼프 돌풍' 빼다박은 日 참정당의 대약진 묘냥이
- 헐 옛날 만원은 이렇게 생겼대요 묘냥이
- 사진 찍은거 평가좀 이런엔딩
- 홍준표 "박근혜 털던 윤석열·한동훈...업보는 못 피해" 빋갤러
- 어제 한강 일몰 노모크롬
- 어느 미국팬의 케이팝콘서트여정, 그리고 벌어진 일 ㅇㅇ
- 소니 픽처스에서 만든 일본제국 영화.gif leeloo
- 야마토미치 미니2 후기 (feat.북알프스) yama
싱글벙글 최근의 거실 인테리어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거실 인테리어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tv의 설치 유무이다. 예전에는 tv를 거실에 설치하는 게 필수였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만, 요즘은 굳이 tv를 볼 필요가 없기도 하고 이동식도 있기 때문에 굳이 거실에 두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창이 넓게 나 있거나 전망이 좋은 집의 경우 집주인 취향에 따라 쇼파를 창 쪽으로 배치하고, tv를 두지 않거나 이동식 tv(스탠바이미 등)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음. 아이들의 정서발달 등을 이유로 tv를 아예 두지 않는 집들도 있는데, 더 나아가 거실을 서재처럼 운용하는 '거실서재화'라는 키워드로 유행하고 있다. tv없앤다고 공부하겠냐? 하는 비판도 당연히 있겠지만 요즘의 거실서재화 트랜드의 핵심은 부모의 솔선수범이다. 과거에 강압적으로 tv를 없앤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거실에 소파만 두는 게 아니라 넓은 책장과 독서를 위한 4~6인 책상을 두고, 가족이 모여서 각자의 공부를 한 테이블 위에서 하는 것이다. 아이는 부모에게 모르는 것을 물어볼 수 있고 부모는 아이의 모범이 되어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블에서 폰만 보고 있는 부모라면 거실서재화니 뭐니 꼴값 떨지말고 그냥 대형 tv달고 같이 아동만화라도 보는 게 낫다는 걸 명심하자 여튼 tv가 없는 인테리어 수요가 생기면서 거실을 좀 더 다채롭게 꾸밀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거실은 티비와 소파 사이에 시청을 방해할 물건이 있으면 안되기에 낮은 선반이 들어오는 게 최선이었다. 하지만 tv가 사라지면서 월패널에는 무지주선반 등을 달아 벽을 다채롭게 꾸밀 수도 있고, 시야에 대한 제한이 사라져 소파나 책상 앞에 리클라이너나 빈백 같은 휴식용 가구를 리듬감 있게 두는 배치도 가능해진다. 이런 배치는 기존에 비해 좀 더 자유로운 인상을 준다. 여러 기능을 가진 가구가 한 공간에 적절하게 들어오면 가족 간의 상호작용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소파-tv구조에서는 가족의 시선이 획일적으로 tv를 향할 수 밖에 없지만 위 사진 처럼 여러 가구를 적절한 방향으로 배치하면 자연스럽게 대화가 오갈 수 있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필요할 때만 tv를 보고 평소에는 닫아두는 인테리어도 있다.또 하나의 특징은 홈바이다. 커피머신이나 간단한 쿠커를 두어 다과를 준비하는 용도로 쓰면서, 감도를 주어 장식용 물품을 전시하기도 한다. 와인 냉장고+와인잔 장식장 구조의 배치로 고급화 하는 경우도 있음 이는 기존의 베란다를 거실로 확장하고 난방을 깔면서, 철거할 수 없는 내력벽(사진의 흰 기둥)을 어색하지 않게 만들기 위함이다.(그냥 수납장을 짜고 홈바는 주방에 두는 경우도 많음) 이렇듯 거실에서 같이 모여 공부도 하고 담소도 나누고 커피도 내려마시는 등 가족이 함께 모여 생산적인 활동을 하고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최근의 거실 인테리어 트렌드이다. 읽어줘서 고맙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서울시립대, 서울시민으로서 알차게 사용하기 꿀팁1 테니스장편
서울시립대는 서울시 예산으로 운영되므로 공공기관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서울시민이 서울시립대의 주인으로서 서울시립대의 시설을 자유롭게 누릴 권리가 있다.이 게시물은 서울시민의 권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작성되었다.먼저 서울시립대에는 테니스장이 있다.실내와 실외로 나뉘는데 실내 테니스장은 시설이 좋아 예약이 빡세다고 한다.블로그 글을 보니 예약이 정말 풀로 차 있다 ㄷ ㄷ (예약제이다 보니 보다 한적하게 테니스장을 이용할 수 있다.)실내 코트는 A로 갈 수록 천장이 높아지는 구조이며근처 학군단에 주차를 할 수 있으며 웰니스센터와 법학관에도 주차가 가능하다고 한다.들어가자마자 보이는 카운터에서 예약 확인후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실내 테니스장은 예약이 빡세다는 것만 제외하면단점이 없다고 한다. 정말 좋은 시설을 저렴한 가격에 사용할 수 있느니 서울시민이라면 꼭 이용해보자다음은 실외테니스장단독코트인 C코트가 가장 좋다고 하는것이 공통적인 의견이었으며인조잔디로 구성되어있다고 한다.언무관이라는 건물을 찾아오면 되고 실내 테니스장과 마찬가지로이렇게 생긴 카운터에서 예약확인후 바로 이용가능하다고 한다.실외는 다른코트에 비해 공이 잘 안 튀고 가장자리에 수풀이 무성하게 자라 공을 찾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지만역시 서울시민을 위해 구성된 학교 아니랄까봐 타 시설 대비여전히 좋다고 한다.또한 바로 옆에는 시립대생들이 공부하는 중도가 있는데시립대생들 학업에 방해가 되지 않게 조용히 쳐야한다고 한다^^시립대생들은 테니스장 바로 옆에서 공부를 하나보다또한 시립대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면 테니스 개인 레슨을 받을 수 있다.시립대생들과 별반 차이 나지 않은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니참고 바란다.마지막으로 테니스를 치고 나서 시립대 교내 카페에서 쉬는 것이그렇게 꿀잼이라고 하니 서울 시민이라면 알차게 서울시립대를 이용해보자다음으로는 시립대 도서관 이용편과 교내 산책로 이용편으로돌아오도록 하겠다.- 서울시립대, 서울시민으로서 알차게 사용하기 꿀팁2 도서관편서울시립대는 서울시 예산으로 운영되므로 공공기관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서울시민이 서울시립대의 주인으로서 서울시립대의 시설을 자유롭게 누릴 권리가 있다.이 게시물은 서울시민의 권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작성되었다.이번편은 서울시립대 도서관 이용법 편이다.시립대의 경우 2015년부터 교내 도서관을 서울시민들에게 개방하였다.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882789?utm_source=perplexity 서울시립대, 지역주민에게 도서관 개방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mediahub.seoul.go.kr<최기호 서울시립대 중앙도서관 관장은 “대학의 학술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고자 이번에 도서관 개방을 결정하게 됐다”며,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식정보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서울시립대에는 크게는 중앙도서관과 백주년기념관도서관이라는2곳의 도서관이 존재하며(이외에도 경영경제도서관과 법학도서관이 존재)먼저 백주년기념관도서관 이용법에 대해 설명해보겠다.정문으로 들어와서 왼편 붉은 벽돌 건물을 따라 안내판을 보면 해당 건물을 찾을 수 있다.이곳에는 다양한 DVD자료실과 미디어 감상실이 있어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원하는 미디어를 찾아 감상이 가능하다.사용법은 다음과 같다.또한 도서관이라는 이름에 맞게 다양한 책들이 있으며원하는 책을 찾아서 재학생들과 같이 도서관 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도서관 내 와이파이는 시립대 홈페이지 무선랜 이용란에 들어가면쉽게 사용가능하다.시립대는 이러한 서비스 외에 다양한 인문학콘텐츠를 서울시민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수요일과 목요일에는 서울 시민들을 위한 영화도 볼 수 있다고 한다.<도서관은 대학구성원 및 지역주민의 문화생활을 도모하고 정서를 함양하는 복합문화공간의 역할을 다하고자 100주년기념도서관 AV룸에서 수요영화제를 개최합니다.>다음으로는 중앙도서관이 있다.전편 테니스장 이용편에서 말한 것처럼 실외테니스장 바로 옆에 있는 것이 중앙도서관이다.이곳은 한번 서비스 이용 제도가 바뀐 곳이다.기존에는 동대문구 주민들과 협정회원제를 통해 서울시민도 이용이 가능했으나 24년 5월부터는 도서관회원제를 시행소정의 예치금을 납부하면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지금은 백주년 기념관에서 하고 있는 영화 관람도 기존에는 중도에서 매주 금요일마다 이루어졌다고 한다)서울시립대 도서관회원가입은 아래와 같다.제도 시행 이전에 가입한 회원의 경우 지금도 이용이 가능하며회원탈퇴시 본인의 계좌로 예치금이 반환된다고 한다.서울시립대는 서울시 공공의 이익에 봉사하며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설립 정신에 따라교내 다양한 시설을 서울 시민들과 함께 이용하고 있다.다음에는 서울 시립대 산책로 이용방법과 테니스장 이외의 다양한 치육시설 이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