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서울 교과 면접 복기앱에서 작성

임갤러(211.108) 2025.01.24 20:45:31
조회 480 추천 0 댓글 1

전반적 태도 : 컷플이 좋아서 긴장을 안함. 덕분에 계속 웃으면서 면접관을 돌아가면서 쳐다봤고, 제법 웃어주면서 나를 평가해주는 느낌을 받았음. 세 분 다 여자분이셨고 엄마미소느낌이 났음. 마지막에 5초 남겼고, 구상형 다 했을 때 5분 씀.

<구1>

서울시교육청의 이번 슬로건은 미래를 여는 협력교육. 기후위기가 심각하기에 생태환경교육을 통하여 미래를 여는 협력적 인재를 길러야 한다

고려
1. 이론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며 이에 대한 실천이 부족하다. b 교사의 의견처럼 학생들이 수업은 열심히 참여하나 이를 실천하지 않음.
2. 특정 교과에 적용하지 못한다. 이에대한 사례로 c교사는 자신의 교과와 생태환경교육을 연계할 수 없다는 것을 듦.
3. 활동에 대한 자기 성찰 과정이 부족. 이에 대한 사례로 c 교사는 ~~


구체적실천방안
1. 마을과 연계한 실천 중심 수업. 이론 뿐 아니라 실제 배운 내용 적용. 마을 내에서 이를 적용하여 마을 내에서의 소속감을 기르고, 실천적 지식을 기를 수 있다.
2. 교과 융합형 수업을 통해 생태교육 실시. 이를 통해 융합적 지식을 토대로 한 창의성을 기를 수 있고, 몇몇 과목이 생태환경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는 단점 극복 가능
3. 활동 과정에 대한 반성 실시. 잘한 점과 못한 점을 생각하여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고 잘한 부분을 심화하여 느낀점을 적어보는 시간을 갖게 한다


<구2>
가. 문제. 진로와 교과목을 연계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사례로 학생 A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고, 학생 B는 진로는 있으나 이에 걸맞는 진로를 모르고 있다.
나. 문제. 교사의 수업 부담이 과중화되었다. [나]와 같이 너무 많은 과목을 맡는다면 수업 준비를 제대로 할 수 없고 수업의 내실화를 다질 수 없다.

해결
1. 진로교사 및 전문가 초청을 통한 진로교육 실시. -> 자신의 진로를 찾고, 자신의 진로와 연계하여 어떤 과목을 수강해야할 지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이를 통해 학생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인재로 거듭나게 되며, [가]의 B학생과 같이 자신의 진로에 맞는 수업을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2. 고교학점제 전문 강사 초빙 -> 학교 상황에 따라 몇몇 학생은 자신의 진로에 맞는 교과목을 들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과 강사를 초빙하여 소수 신청 과목에 대한 개설까지 고려해 [가]의 A학생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3. 교사 당 교과목을 맡는 수에 제한을 둔다. -> 정해진 시수 내에서 지나치게 많은 수업을 맡게 된다면 수업에 대한 준비가 열악해 수업 전문성이 떨어지고 효율적인 지도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교사 당 맡는 과목수에 제한을 두어 교사가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온전히 기를 수 있게 한다.

<구추>
문제점. 교사와 학생이 친밀감을 갖지 못할 수 있다. 학생이 학교에 왔을 때 교사는 학교에서만큼은 학생의 어머니이고 아버지의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학생을 수업에서 마주하지 못한다면 학생과 함께하는 시간이 적어 학생과 친밀감을 갖는 시간이 줄어든다. 학교에서 학생은 믿을만한 성인이 있어야 하고 담임이 이런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것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해결방안
1. 상담.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학생과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평소에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의 긴장감을 완하시켜 학생이 언제든 교사와 학교 생활이나 본인의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게 하고, 교과 수업에 집중하며, 담임과의 시간을 유연하게 보낼 수 있게 한다.
2. 함께 한끼. 점심시간 한번씩 밥을 같이 먹는 시간을 갖는 것으로 평소에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많이 하여 학생과 친밀감을 쌓을 수 있다. (1이랑 겹침)
3. 자신의 진로 발표. 학급 자치 시간에 학생이 진로에 대한 발표를 듣고 이야기나누는 시간을 가지며 학생의 특성에 대해 알아가고 이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까지 실시할 수 있다.

<즉1>
최근 교사들이 교직을 많이 떠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다양한 것이 있을 것이며 다채롭게 대처해야 한다.
1. 학부모와 지속적 소통. 학부모도 온전히 교육의 대상이며, 학부모를 먼저 설득해야 학생도 교사를 믿고 따르며 공교육에 신뢰를 가질 것이다. 또한 이는 민원의 소지까지 줄게 하는 효과가 있다.
2. 교과 전문성 기르기. 공교육에 대한 불만 중 하나는 온전한 교과교육을 하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교과 전문성이 뛰어날 때 학생들로부터 존경을 받으며 학생들과 교사는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교과목을 어떻게 수업할지 꾸준히 연구해야 한다.
3. 학생 인성교육. 과거 잘못된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이 인권을 침해받았고 학생인권 신장으로 인하여 이것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학생 인권을 잘못 악용하는 경우가 잦아 교사가 정신적인 피해를 받고 있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가령 1교사 1브랜드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의에 대한 브랜드를 채택한 교사는 어떻게 예의있게 행동할 수 있을지 가르치고 예의에 대한 장점을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즉추>
더불어사는 사람
1. 학급단합. 문화예술활동이나 미니체육대회를 통해 의지를 다지며 소통하고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행복도 느낄 수 있으며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중 하나는 관계형성에 있다. 관계형성을 하기에 학급단합이 적절하다
2. 사제동행 프로그램. 교실내서는 굉장히 구조화된 공간이기에 서로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또한 비구조화된 공간에서 갈등을 충분히 겪을 수 있으나 이를 문제가 아닌 기회로 삼아야 한다. 갈등은 살아가며 누구나 겪으며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고 이를 통해 갈등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창의적인 사람
1. 독서. 교과목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과목만으로 창의성을 기르기에 부족하다. 독서는 그 분야의 최고의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며 내가 미쳐 생각치 못한 부분을 알 수 있기에 이는 창의성을 기르기에 적합하다.
2. AI, 에듀테크 연계 교육. (심하게 버벅임. 시간도 얼마 안남아서) AI 에게 질문을 하며 교육을 받게 된다면 미쳐 생각치 못한 부분을 AI가 가르쳐주어 이에 따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이슈 [디시人터뷰] LPBA의 차세대 스타, 당구선수 정수빈 운영자 25/04/02 - -
AD 국가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시 해커스가 10억 쏜다! 운영자 25/03/30 - -
공지 임용고시 갤러리 이용 안내 [48] 운영자 22.02.17 16824 185
107893 교권 진짜 추락해가네 임갤러(175.116) 10:17 2 0
107892 근데 수업이 제일 중요하긴함 임갤러(211.228) 10:13 10 0
107891 요새 신규들 근데 진짜 병신 많긴함 [1] 임갤러(211.228) 10:10 20 0
107890 "페미충들 여성이기주의 심각" ^^J♥(118.235) 09:19 13 0
107889 너네 진심 임고생때가 낫냐 지금이 낫냐 [3] 임갤러(118.235) 08:48 46 0
107888 임고갤에도 빨갱이 많음? [2] ㅇㅇ(106.101) 08:41 49 2
107887 요즘 신규들 왜이리 병신이 많냐 [2] 임갤러(223.62) 08:30 68 1
107885 사립은 진심 줘도 안감 [3] 임갤러(115.139) 02:04 138 0
107883 ㅇㅈㅇ [1] (104.28) 00:53 63 3
107882 국교랑 윤교 중에 국교 골랐는데 [7] ㅇㅇ(58.125) 00:16 165 0
107881 탄핵이 왜 나옴 ㅇㅇ(223.39) 00:00 68 0
107880 니들 친목회비 걷는거 어떻게 생각하냐? [4] 임갤러(180.92) 04.03 154 0
107879 재판볼까 수업할까 이딴소리부터가 [2] 임갤러(223.39) 04.03 154 4
107877 신규 남교사 몸평좀 [2] 임갤러(117.111) 04.03 260 7
107872 특정 쉽게나오는 과목 비판좀 할게 [4] ㅇㅇ(39.7) 04.03 213 0
107871 기여금 안내는법 [1] 임갤러(104.28) 04.03 105 0
107869 법정의무연수는 왜 의무임? [5] 임갤러(118.235) 04.03 137 0
107868 점심시간에 축구하는게 잘못이냐? [14] 임갤러(117.111) 04.03 280 4
107867 탄핵 생중계 유의사항. [4] 임갤러(106.101) 04.03 275 0
107866 탄핵 공문은 또 시발 뭐야 [1] 임갤러(106.101) 04.03 300 3
107865 우리부장 ㄹㅇ천산가? [2] 임갤러(211.36) 04.03 195 2
107864 주수선자학수피수파 [2] 임갤러(118.235) 04.03 52 0
107863 와 근데 교수가 진짜 개꿀직업이긴 하구나 [9] ㅇㅇ(121.151) 04.03 282 0
107862 한녀들 더럽게 돈밝혀서 그놈의 재벌 지겹다 [1] ^^J♥(182.31) 04.03 49 0
107860 법정의무교육 이거 진짜 다듣는사람 잇음? [5] 임갤러(211.36) 04.03 150 0
107858 내일 11시에 수업할거임? [1] 임갤러(49.168) 04.03 128 0
107857 정컴 꿀통 맞긴한데 임갤러(106.101) 04.03 102 1
107855 이제 기간제 자리 얼마없다 [3] 임갤러(121.182) 04.03 224 0
107854 교대원은 근데 나와서도 적성 안맞아서 다른쪽 가는사람 개많음 [3] ㅇㅇ(118.235) 04.03 101 1
107853 보통 교과서 지도서는 어떻게 얻음?? [3] ㅇㅇ(163.152) 04.03 137 0
107852 강원도 정교사 형이 과목별 전망 알려준다 [2] 임갤러(135.125) 04.03 432 2
107850 50살 노총각 기간제 토나오네 [7] 임갤러(39.7) 04.03 225 0
107849 공부안하고 텝스 이정도면 잘하는건가여? 임갤러(115.139) 04.03 62 0
107847 강원도 정교사 형이 과목별 전망 알려준다 임갤러(135.125) 04.03 99 0
107846 근데 교대원 -> 비교과 정컴 예체능 정도만 가는게 제일 낫긴함 [2] 임갤러(211.228) 04.03 96 0
107845 9급 교도관 vs 상명대 광운대 문과 입학 ㅇㅇ(118.235) 04.03 28 0
107844 건동홍 사범대부터는 [5] 임갤러(223.39) 04.03 208 2
107843 앞으로는 부장 지시도 다 확인해봐야겟노 ㅇㅇ(106.101) 04.03 85 0
107842 기간제가 갠플하기엔 꿀통이긴 함 임갤러(112.169) 04.03 114 0
107841 간호사되라 ㅇㅇ(113.130) 04.03 58 0
107839 이거 ㄹㅇ 맞는말만 했네 [4] starbuck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268 0
107838 기간제니까 상관없겠지? [2] 임갤러(118.235) 04.03 134 1
107837 정교사2급 따고 학원하는 경우는 왜 그런거? [3] ㅇㅇ(211.235) 04.03 141 0
107835 13시수 꼴통중학교 vs 내신컷 높은 고등학교 [2] 임갤러(211.234) 04.03 117 0
107834 솔직히 하루 수업 3시간이 마지노선같음 [2] 수건왕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206 0
107833 [진실] 한국은 전세계 가장 범죄율 낮은 나라중 하나이다 ^^J♥(118.235) 04.03 34 0
107830 휴직하고 재임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2] ㅇㅇ(106.101) 04.03 124 0
107829 친인척이 사립 이사장이면 [2] 임갤러(118.235) 04.03 81 0
107828 정교사도 병가 3일 연속으로 쉬면 산재처리돼서 쓰면 안됨? ㅇㅇ(180.81) 04.03 37 0
뉴스 ‘식스센스' 하윤경, 햇살 같은 존재감으로 예능까지 접수! ’리액션 요정 등극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