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gpt랑 대화한 내용 (이눔시키.. 지어낸 말은 아니겟지...)앱에서 작성

쉽지않은식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1.01 15:09:10
조회 246 추천 0 댓글 6

쉽식린:
(영어 사이트에서 긁어온 유기질의 탄소/질소비율과 박테리아의 탄소/질소 비율 어쩌고 글)
이거 번역하고, 뭔 내용인지 쉽게 설명해줘.


​GPT:
번역:
식물 잔재물은 분해되면서 토양에서 이용 가능한 영양분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더 일반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그림 3.1**에 나타난 질소의 예에서 볼 수 있다. 질소는 바람직한 식물과 다른 생물들 모두가 대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 영양소 문제 중 가장 큰 문제로 자주 꼽힌다. 가장 좋은 조건에서도 식물에게 이용 가능한 질소는 종종 부족하다.

**그림 3.1.** 높은 탄소/질소 비율(C/N 비율)을 가진 잔재물이 토양에 포함될 때 발생하는 일시적인 질소 손실 예.

식물 잔재물이 토양에 포함되면, 위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분해가 시작된다. 어느 시점에서 박테리아가 활동을 시작하는데, 이들이 식물 잔재물을 먹이로 사용할 때, 잔재물이 제공할 수 있는 질소보다 더 많은 질소가 필요하다. 이는 **탄소-질소 비율(C/N)**을 살펴보면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비율은 식물 물질, 토양, 또는 생물에 있는 탄소의 무게와 질소의 무게 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톱밥의 C/N 비율은 약 500/1이다. 이는 톱밥에 1파운드의 질소에 대해 약 500파운드의 탄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비해 밀짚의 C/N은 약 80/1, 부패한 거름은 약 20/1, 어린 알팔파 건초는 약 13/1이다. 네브래스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표토의 유기물은 C/N이 약 11/1이다. 반면에 박테리아는 약 5/1의 C/N 비율을 가지므로, 이들이 "먹는" 식물 물질로부터 얻는 질소보다 훨씬 더 많은 질소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

간단한 설명:

이 내용은 식물 잔재물이 분해될 때 질소가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 **핵심 문제:** 
  식물 잔재물이 토양에 섞이면,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면서 질소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잔재물 자체에 질소가 충분하지 않으면, 토양에서 질소를 가져갑니다. 이로 인해 토양에서 식물이 쓸 수 있는 질소가 일시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 **탄소-질소 비율(C/N 비율):** 
  - **C/N 비율이 높다:** 톱밥처럼 질소가 적고 탄소가 많은 물질은 분해하는 데 더 많은 질소가 필요합니다. 
  - **C/N 비율이 낮다:** 젊은 알팔파처럼 질소가 많으면, 박테리아가 별도로 질소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 **박테리아의 필요:** 
  박테리아는 C/N 비율이 약 5/1인데, 이는 식물 잔재물보다 훨씬 낮습니다. 그래서 부족한 질소를 토양에서 가져와야 합니다.

**결론:** 
잔재물의 C/N 비율이 높을수록, 박테리아가 토양의 질소를 더 많이 가져가서, 식물에게 이용 가능한 질소가 줄어드는 문제가 생깁니다.



쉽식린:
오키아타 바크는 c/n이 몇이야?



​GPT:
오키아타 바크(Okiata Bark)는 주로 나무 껍질로 구성된 유기물질로, 일반적인 **탄소-질소 비율(C/N 비율)**은 약 **100/1에서 200/1** 사이입니다. 이는 톱밥(약 500/1)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질소 함량이 적어 분해 과정에서 토양의 질소를 소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활용 시 주의점:
- **질소 부족 보완**: 
  오키아타 바크를 토양 개량제로 사용할 때는 질소 비료(예: 우레아, 질산암모늄 등)를 함께 추가하여 질소 부족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C/N 비율 조정**: 
  C/N 비율을 낮추기 위해 질소가 풍부한 재료(예: 녹색 잔디, 음식물 쓰레기)와 섞어서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정확한 C/N 비율은 사용하는 바크의 종류와 상태(처리 여부, 분해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쉽식린:
(이어지는 글을 보여주며) 이것도 번역하고 간단하게 설명해줘.



​GPT:
번역:
한 가지 대안은 단순히 분해 속도를 늦추고 식물 잔재물을 한꺼번에 모두 분해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일부 식물 재료가 다른 것보다 더 천천히 분해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박테리아가 잔재물을 빠르게 분해하는 데 필요한 질소를 충분히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옥수수 줄기(C/N 약 60/1)와 나무 조각은 이런 이유로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토양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분해 속도를 늦추는 것 외에도, 박테리아는 매우 효과적인 탐색자가 된다. 그들은 토양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질소(대부분 질산염과 암모늄 형태)를 "채굴"한다. 문제는 작물이 자라는 시기에 작물도 질소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박테리아는 제한된 질소 자원을 두고 작물보다 더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가 죽고 내부에 저장한 질소를 토양으로 다시 방출할 때까지 작물은 질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식물 재료, 특히 높은 C/N 비율을 가진 재료는 바람직한 식물이 질소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 토양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된다면, 식물에 일시적인 질소 결핍이 발생한다. 처음에 잔재물이 추가될 때 질소가 토양에 들어갔더라도, 토양이 식물에게 충분한 질소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가는 데는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식물의 성장이 크게 억제되어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상황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분명한 답은 식물 잔재물을 토양에 넣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식물 잔재물을 토양에 되돌리는 것이 가져오는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고려할 때 최선의 해결책은 아닐 것이다. 대안은 식물이 질소를 많이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에 잔재물을 토양에 넣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잔재물을 봄에 파종 직전에 넣는 대신, 수확 후 가을에 넣는 것이다. 잔재물을 포함하기 전에 추가적인 질소를 적용하면 유기물 분해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작은 규모에서는 식물 잔재물을 미리 퇴비화하여 높은 C/N 비율로 인한 일시적인 질소 결핍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퇴비화는 박테리아가 잔재물을 미리 분해할 시간을 제공하며, 퇴비가 포함되기 전에 C/N 비율을 낮춘다. 이 방법은 낙엽이나 잔디깎기와 같은 정원 폐기물을 처리하는 주택 소유자에게 가장 실용적일 것이다. 좋은 목표 C/N 비율은 토양과 같은 11/1이지만, C/N이 20/1까지인 식물 재료를 포함해도 토양 질소에 심각하거나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

간단한 설명:

1. **문제점**: 
   - 높은 C/N 비율의 식물 잔재물을 토양에 넣으면,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는 동안 토양에서 질소를 가져가게 됩니다. 
   - 작물이 같은 시기에 질소를 필요로 한다면, 작물이 질소 부족으로 제대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해결 방법**: 
   - **잔재물 추가 시기 조정**: 
     봄 파종 직전이 아닌 가을 수확 후에 잔재물을 토양에 넣어 질소 부족 시기를 피합니다. 
   - **추가 질소 공급**: 
     잔재물을 넣기 전에 질소 비료를 더해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 **퇴비화**: 
     잔재물을 미리 퇴비화하여 C/N 비율을 낮춘 후 토양에 추가합니다.

3. **C/N 비율 목표**: 
   - 11/1 (토양과 같은 비율)이 이상적이며, 20/1까지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결론**: 
식물 잔재물을 제대로 관리하면 질소 결핍 문제를 피하면서도 토양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쉽식린:
그러면 나무에 착생하는 난초같은 애들은 어떤 이유로 c/n의 문제를 극복하고 잘 살 수 있는 걸까?




GPT:
​난초와 같은 착생식물이 높은 C/N 비율의 환경에서도 잘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가진 특별한 생리적, 생태적 적응 때문입니다. 착생식물은 토양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나무나 다른 구조물에 붙어서 자라며, 자원 확보와 영양소 이용 방식이 독특합니다. 

착생식물의 C/N 문제 극복 원인:

1. **영양소 의존도 낮음** 
   착생식물은 나무 껍질이나 부엽토(데드 브랜치 등에서 형성된 분해된 유기물)에 의존하는데, 이 환경은 전반적으로 질소가 적습니다. 하지만 착생식물은 **영양소 요구량이 낮아** 높은 C/N 비율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2. **공생관계 (미생물과의 협력)** 
   - **미코리자 균류**: 많은 착생식물은 뿌리에 공생하는 균류(미코리자)와 협력하여 질소와 다른 영양소를 얻습니다. 균류는 나무 껍질이나 부엽토에서 질소를 분해하여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줍니다. 
   - **질소 고정 세균**: 일부 착생식물은 질소 고정 박테리아와 공생하여 대기 중 질소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효율적인 물과 영양소 흡수 구조** 
   착생식물의 뿌리는 일반적인 뿌리와 달리 흡수력이 매우 높은 **벨라멘(velamen)**이라는 조직으로 덮여 있습니다. 이 조직은 공기 중 수분, 빗물, 유기물 잔재물에 포함된 영양소를 빠르게 흡수합니다. 이는 토양이 아닌 환경에서도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저속한 성장과 에너지 효율성** 
   착생식물은 일반적으로 성장이 매우 느리며, 필요한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생존합니다. 이는 자원 부족 환경에서 살아남는 데 유리합니다.

5. **광합성과 탄소 이용의 최적화** 
   일부 착생 난초는 **CAM 광합성(Crassulacean Acid Metabolism)**이라는 독특한 광합성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물과 탄소를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부족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6. **환경의 재순환 자원 활용** 
   착생식물은 나무 표면에 쌓이는 낙엽, 먼지, 유기물 등을 분해해 얻은 영양소를 활용합니다. 비록 높은 C/N 비율을 가진 환경이더라도, 이러한 자원은 미생물과의 협력으로 분해되어 점진적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

요약: 
착생식물이 높은 C/N 비율의 환경에서도 잘 사는 이유는 자원 요구량이 낮고, 미생물과의 공생, 특수한 뿌리 구조, 효율적인 물질 이용, 그리고 환경 자원 재활용 능력 덕분입니다. 이러한 독특한 적응 덕분에 이들은 토양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번성할 수 있습니다.


쉽식린: 그럼 실내에서 기르는 식물을 기준으로, 오키아타바크를 흙의 30%정도 섞었다고 가정했을 때, 박테리아가 (바크에서 얻는 질소가 부족해서) 토양의 질소를 뺏어가기까지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까?
10%만 섞었을 때는?


​GPT: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30% 섞었을 때,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며 토양의 질소를 뺏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시간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지만, 아래의 주요 변수들을 고려해 대략적인 흐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

박테리아가 질소를 소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오키아타 바크의 C/N 비율** 
   - 오키아타 바크는 일반적으로 C/N 비율이 200~500:1로 매우 높습니다. 
   - C/N 비율이 높을수록 분해 속도가 느려지고, 박테리아가 질소를 소모하는 과정도 천천히 진행됩니다. 
   - **초기 박테리아 활성화 시점**: 일반적으로 1~2주 내에 분해 활동이 시작됩니다.

2. **토양 내 질소 농도** 
   - 박테리아는 바크에서 얻는 질소가 부족할 경우, 토양 내 질소(주로 질산염(NO₃⁻)과 암모늄(NH₄⁺))를 이용합니다. 
   - 토양 질소가 풍부하다면 박테리아가 빠르게 질소를 소비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질소가 부족한 토양에서는 경쟁이 덜하며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3. **환경 조건** 
   - **온도**: 따뜻한 환경(20~30°C)에서 미생물 활동이 활발하므로, 질소 소모 속도가 빨라집니다. 
   - **습도**: 적당한 습도(50~70%)에서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기 쉬워지며, 건조한 환경에서는 분해가 느려집니다. 
   - **pH**: 중성(pH 6~7) 환경에서 미생물 활동이 최적화됩니다.

4. **바크 입자 크기** 
   - 바크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 박테리아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분해 속도가 빨라집니다. 
   - 큰 입자의 경우 분해 속도가 더 느립니다.

5. **혼합 비율** 
   - 흙에 오키아타 바크가 30% 혼합된 경우, 바크 비율이 낮아 전체적으로 질소 경쟁이 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바크가 높은 C/N 비율을 가지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양 질소에 의존하게 됩니다.

---

대략적인 시간 추정:
1. **초기 활성화 (1~2주)** 
   -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기 시작하며 질소를 필요로 하는 단계. 초기에는 바크 자체에 포함된 미량의 질소를 사용.

2. **질소 소모 시작 (3~6주)** 
   - 바크 내 질소가 부족해지면 박테리아가 토양 내 질소로 전환. 
   - 이 시점에서 토양 내 이용 가능한 질소가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3. **질소 고갈 효과 (6주~3개월)** 
   - 토양 내 질소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작물의 생장이 둔화될 가능성 있음. 
   - 이 단계는 바크의 분해 속도와 토양 내 초기 질소 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질소 부족을 완화하는 방법:
1. **추가적인 질소 비료 공급** 
   - 바크를 섞기 전에 토양에 질소 비료를 추가해 미생물과 작물 모두에게 충분한 질소를 공급. 
   - 일반적으로 **1kg 바크당 6~8g의 질소 비료**를 추가하면 효과적.

2. **바크 사전 퇴비화** 
   - 바크를 미리 퇴비화해 C/N 비율을 낮춘 후 사용하면 질소 경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바크 혼합 비율 조정** 
   - 바크 비율을 줄이거나, 질소 요구량이 적은 식물과 함께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요약: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30% 혼합한 경우, **3~6주** 정도 지나면 박테리아가 바크에서 질소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토양의 질소를 뺏어가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미리 질소 비료를 보충하거나 바크를 퇴비화한 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10%**만 섞는 경우, 바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적으므로 박테리아가 토양 질소를 소모하는 속도와 영향이 크게 완화됩니다. 이는 바크의 C/N 비율이 높더라도 전체 토양 내 질소와의 상대적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

10% 혼합 시 질소 소모 과정과 예상 시간:

1. **초기 활성화 (1~2주)** 
   - 박테리아가 바크를 분해하기 시작하며, 바크 내 미량의 질소를 우선 사용. 
   - 바크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이 단계에서는 토양 질소 소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

2. **질소 소모 시작 (4~8주)** 
   - 바크 내 질소가 점차 고갈되면서 박테리아가 토양 질소를 사용하기 시작. 
   - 그러나 10% 혼합 비율로 인해 질소 소모 속도와 경쟁이 느리고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음.

3. **질소 고갈 영향 (8주 이후)** 
   - 박테리아가 토양 질소를 계속 사용하지만, 바크의 양이 적으므로 전체 토양 질소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음. 
   - 이 단계에서 작물에 질소 결핍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음. 만약 발생하더라도 경미한 수준일 가능성이 큼.

---

10% 혼합 시 추가 질소 보충이 필요한가? 
바크의 비율이 10%로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별도의 질소 보충이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추가 질소 공급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1. **질소 요구량이 높은 작물 재배 시** 
   - 예: 채소, 곡물, 또는 빠르게 자라는 관엽식물. 
   - 이 경우 소량의 질소 비료를 추가하면 성장을 최적화할 수 있음.

2. **질소가 이미 부족한 토양** 
   - 만약 토양 자체가 질소가 부족하다면, 박테리아의 활동으로 인해 질소 경쟁이 심화될 수 있으므로 보충이 필요.

---

대략적인 시간 비교: 
- **30% 바크 혼합**: 박테리아가 질소를 본격적으로 소모하기 시작하는 데 약 **3~6주**가 소요. 
- **10% 바크 혼합**: 박테리아의 질소 소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더라도 약 **6~8주 이상**이 걸리며, 영향은 더 제한적.

---

요약:
오키아타 바크를 흙에 10%만 섞으면 박테리아가 질소를 뺏어가는 속도가 크게 줄어들며, 실질적인 질소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이 경우 질소 추가 보충 없이도 대부분의 식물이 문제없이 자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토양이 질소가 극도로 부족한 상태이거나 질소 요구량이 높은 식물을 재배한다면, 소량의 질소 비료를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끝-




이 말대로면 바크는 지생식물은 소량만 섞는게 좋겠네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공지 식린이를 위한 분갈이 하는 방법 [46] 치즈케이크사주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1 109542 216
공지 식물 갤러리 이용 안내 [559] 운영자 06.02.24 248621 921
879900 `정보 ) NPaY 2ㅇ 만 `받기 4 식갤러(218.232) 01:07 0 0
879899 19) 파이즈리 치는녀 실시간.gif 식갤러(222.109) 01:05 2 0
879898 선생님들이거 혹시 아스파라거스 나누스 인가여? ㅇㅇㅇ(223.38) 01:04 6 0
879894 이거 가지 뻗으려는거다 그지 [1] ㅇㅇ(182.215) 00:44 43 0
879892 스킨답서스 이거 왜 이런거여 [5] ㅇㅇ(121.158) 00:36 56 0
879890 몬스테라 신엽이 한달째 줄기(?)에 붙어있어요 식갤러(118.235) 00:14 38 0
879889 마감프k랑 다이나그로 같이 써도 됨? ㅇㅇ(118.235) 00:13 24 0
879888 밀리언벨 오렌지 바다소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57 0
879886 겉씨식물(구과식물) 분류 체계 이거 언제 바뀐거임?? [2] HFL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49 0
879885 사과 1년 추가스압 [4] 식갤러(118.235) 04.25 138 5
879883 익숙한 성장이구나... [3] 네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14 0
879881 네펜데스 근본은 어떤거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61 0
879879 파편화된 귤 씨앗에서 뿌리 2개가 날 수 있음???? [2] 반쪽멜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9 0
879876 노란 떡잎 [3] 식갤러(58.148) 04.25 98 1
879875 몬스테라 진짜 찢잎 보고가요 [9] 땅트리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1 3
879874 날씨가 추워서 베란다 창문 닫아야 하나 [1] 식갤러(223.38) 04.25 121 1
879873 오늘의 꽃 [2] _0u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94 4
879871 끈주 와따!!!!!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11 0
879870 공작 고사리 미모는 사기야 [12] 리비키스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80 2
879869 황새냉이? [10] 나만없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0 0
879868 12시간동안 7년간 내릴 비가 전부 내린 사막,.jpg [3] 을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40 1
879867 오잉 우리집 습지야가 공 하나를 또 달려나봄 [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42 4
879866 테라리움에 이름모를 식물이 자라. [10] 1003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64 0
879865 식물콘 1.01 [7] 지나가던고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2 4
879864 락스가 부식성이 있었구나 [6] Elberet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4 0
879863 시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퍼런거 [20] 치즈케이크사주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391 12
879862 적겨자에 붙은 이 벌레 종류 알 수 있을까요? (벌레사진주의) [9] ㅇㅇ(106.101) 04.25 102 0
879860 이 선인장 살릴수있을까요? [1] 식갤러(125.247) 04.25 82 0
879859 얘는 무늬몬인가요 알비몬인가요 [2] 식갤러(211.226) 04.25 93 0
879857 방토 파종하고 새싹 일주일동안 안나오면 실패지?? [5] ㅇㅇ(1.248) 04.25 87 0
879856 알로카시아 마하라니 꽃대 동시에 3개뭐냐 [8] 수박먹는댕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93 1
879855 녹태고 신엽이 이상하다 [6] 김네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01 0
879853 아이비 살살 녹는다 [8] 김네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7 0
879852 (스압) 메인 리파리움 변천사 [13] 리파리움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75 9
879851 수생식물 뿌리정리 해도 되나요? [3] 식갤러(118.235) 04.25 91 0
879849 혹시 식물등 필립스 par38 플리커 현상 있어? [1] ㅇㅇ(106.102) 04.25 91 0
879848 이거 못살릴까요? [6] 식물살리기(106.101) 04.25 113 0
879847 프라이덱 자구 근황... [1] 아글레오네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7 0
879845 아 키우는 식물 사이에서 달팽이 나왔는데 어케 해야해요???? [3] 식갤러(121.169) 04.25 86 0
879844 2022-06-30~2022-07-28 주황혀버섯, 딸기 러너, 이사 [5] 툐먀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9 0
879839 해바라기 줄기가 반이 끊어졌는데 [4] ㅇㅇ(121.140) 04.25 103 0
879837 딸기 열매열렸을때 안따고 계속놔두면어떻게됨? [1] 무말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5 0
879834 애기똥풀 [4] 겨울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15 2
879833 루꼴라 과습이야??? [5] 식갤러(223.39) 04.25 137 0
879832 구멍 없는 토분 어때요? [4] 식갤러(106.101) 04.25 123 0
879831 개화 시작한다 [9] 리파리움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5 3
879830 바질 싹 언제 나와? [6] 식갤러(121.186) 04.25 94 0
879829 개화중입니다 [3] 식갤러(211.198) 04.25 98 1
뉴스 멜로망스, ‘로망스 익스프레스’ 하이라이트 메들리 공개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