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선생님! 일본 경제를 가르쳐 주세요.

네이버펌 2006.10.03 15:05:43
조회 627 추천 0 댓글 23


선생님! 일본 경제를 가르쳐 주세요. 선생님 : 네. 학생 여러분! 일본 경제는 세계 2위 입니다. 몹시 훌륭하네요. 하지만......일본은 곧 무너집니다... 학생 : 어째서 입니까? 선생님 : 조금 , 일본의 채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oecd 가입국의 채무 비율 입니다. 1 일본 158.9% 2 이탈리아 117.1% 3 그리스 102.9% 4 벨기에 102.4% 5 캐나다 75.6% 6 프랑스 69.5% 7 오스트리아 66.8% 8 독일 65.3% a 9 미국 63.4% 10 스페인 63.3% 11 스웨덴 62.5% 12 포르투갈 59.8% 13 네델란드 54.1% 14 영국 53.5% 15 핀란드 52.6% 16 덴마크 50.7% 17 폴란드 45.4% 18 슬로바키아 43.8% 19 아이슬랜드 41.5% 20 뉴질랜드 38.4% 21 아일랜드 32.5% 22 노르웨이 23.7% 23 오스트레일리아 18.4% 24 한국 16.0% (현재30.7%) -외환위기 이후 국채발행으로 증가 25 룩셈부르크 4.9% (2005년말 통계) -2005년 말 OECD주요국 국가채무- <주요국의 국가채무/GDP 비율> (05년 말 기중, 단위 : %) 한국 30.7 / 미국 63.8 / 일본 158.9 / 독일 69.9 / 프랑스 76.7 / 영국 46.8 / OECD 평균 76.9 *외국자료 출처 : OECD Economic Outlook '05년 12월 응? 재정 빚의 증가로 경제 위기를 항상 떠들고 있는 미국의 채무 비율도 63%네요.^^ 그리고 일본이 단연 , 압도적으로 1위를 하고 있네요. 축하합니다. ^^ 응? 한국은 24위에 머물고 있다. 한국도 조금 더 힘내! 하지만 , 한국은 24위가 좋습니다.^^ 학생 : 하지만 , 채무를 낮추려면 , 의료 보험을 중단하고 , 소비세를 100%로 상승 시키고 , 대규모 dankai세대의 연금 , 퇴직금 지불을 중단하면 좋지 않습니까? 선생님 : 네. 확실히 좋네요. (웃음) 하지만 , 우선 오부치 내각이 발행한 40조엔 채권이 2008년에 만기일이 끝납니다. 그것을 당장 무엇으로 견딜까? ^^ 학생 : 확실히 시간이 없네요. 하지만 , 일본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기 때문에 , 어떻게든 견딜지도... 선생님 : 절대 불가능 합니다. 학생 : 하지만 , 일본인은 일본 정부의 채무 비율은 걱정이 없다! 외국에 빚을 만든 것이 아니야! 일본 정부는 일본국민에게 채권을 판매했기 때문에 , 문제가 없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 채권을 제외해도 , 많은 투자 방법이 있는데 , 굳이 채권을 구입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선생님 : 외국 국민은 자국의 채권을 자주 잘 구입하지 않는데 , 일본국민은 어째서 일본의 채권을 구입 했습니까? 거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닛케이 증권은 10년도 넘게 상승하지 않았습니다. 금리는 마이너스. 일본 국민은 투자하는 곳이 없었습니다. 채권 이외에는 투자하는 곳이 특별히 없었습니다. 울면서 채권을 구입했지요. 덧붙여서 , 일본의 금리는 마이너스 or 제로 금리 입니다. 학생 : 대단하네요. 국민이 자본을 은행에 예금해도 , 금리 소득을 전혀 받지 않습니까? 선생님 : 그렇습니다. 마이너스 금리 은행에 자본을 예금하면 , 오히려 스스로의 예금이 조금씩 축소합니다. ^^ 학생 : 미국 , 영국 , eu , 한국의 금리를 가르쳐 주세요. 선생님 : 변동이 계속있지만 현재 미국의 금리는 4.75% 영국의 금리는 4.75% eu는 2.25% 한국은 , 4.7% 입니다. 일본을 제외한 외국 금리는 비교적 높네요. 개발도상국은 10% 금리인것 같지만... 10년도 넘게 불황으로 금리 제로 , 마이너스 , 닛케이 지수 제자리의 일본도...최근 , 경제가 조금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닛케이 지수도 조금씩 상승하고 있고 , yen도 평가절상 되고 있네요. 금리는 변함없게 보입니다만...게다가 , fx , 펀드 , 해외 펀드 , els , 새로운 여러가지 투자 방법도 21세기가 도래하면서 , 일반 국민에게 알려지고 있습니다. 채권을 구입하는 이유보다 더 좋은 투자 방법이 등장하고 있어서 , 이제 일본 국민은 자국의 채권을 구입하지 않네요. 학생 : 하지만 , 애국심의 강한 일본 국민은 계속해서 일본 채권을 구입한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雪だるま 만들겠지요.  200%가 돌파하는 순간이 기대됩니다. 선생님 : 경제에는 애국심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스로의 이익이 최우선의 판단 기준 입니다. 채권을 구입하는 이유보다 더 좋은 투자 방법이 나오면 , 일본 국민은 이제 자국의 채권을 구입하지 않습니다. 학생 : 그러면 , 일본정부는 일본 정부는 국민에게 빚을 갚기 위해서 대량의 yen을 발행해서 유통하면 좋은데... 선생님  : 그렇게 된다면 , 일본은 yen이 가득 흘러넘쳐서 , 가방에 가득 담긴 지폐를 맥주 한병을 구입하는 것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1920년대의 독일이 좋은 기준입니다.^^ 학생 : 일본은 $ 보유가 세계 1위인데...많은 $를 사용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 일본의 $는 확실히 많지만 , 일본 경제의 1/2.2의 중국과 $ 보유가 동일합니다. 일본 경제의 1/6.4배의 한국의 $보유는 1/3.8 , 일본 경제의 1/13의 대만의 $보유는 1/3.5 입니다. 게다가 , 일본의 채무는 7조$ 그러니까 , 8000억$는 의미가 없네요.^^ 학생 : 하지만 , 일본은 미국의 채권을 많이 구입했기 때문에 , 그것을 판매하면 좋은데... 선생님 : 전세계의 국가를 보세요. 모두 필사적으로 미국 채권 , 미국 $를 보유하려고 노력하지만 , 절대로 판매하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째서 입니까? 미국 $ 보유와 미국 채권 보유는 , 자국의 경제의 펀더멘털 , 자국의 증시 , 헤지펀드로부터의 방어 , 자국 화폐의 가치 유지를 위해서 입니다. 미국$ 미국 채권을 판매하는 국가는 온세상에 아무도 없고 , 시도하는 국가는 경제 붕괴하네요^^ 모라토리엄 , 지불 불능 선언 , 파산의 위기를 맞은 국가는 , $보유가 없었고 , 채무가 많았군요. 학생 : 하지만 , 일본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기 때문에 , 미국 채권을 판매해도 견디지 않습니까? 선생님 : 기축통화$의 의미를 잘 알아주세요. 전세계는 기축통화$로 국제 자원 , 무역 , 국제 금융...etc 하고 있습니다. 기축통화를 제외하면 의미가 없습니다. 게다가 , 만약 , 일본이 미국 채권을 판매하면 , 미국은 몹시 싫어하네요^^ 열심히 $를 늘린 전세계의 국가도 힘들게 보유한 $의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 일본을 싫어하네요^^ 특히 $보유가 많은 중국 , 한국은 더욱 일본을 싫어하네요^^ 고립 일본^^ 학생 : 그렇다면 , 일본은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금리를 마이너스 10%로 설정하고 , 닛케이 지수를 붕괴시킨 다음에 , 민간인의 해외 투자를 중단시키고 , 강제로 일본 국민에게 채권을 판매하면 좋습니까? 선생님 : 방법은 없습니다. 안녕히 가세요. 입니다.^^ 경제는 올바른 정의는 없습니다. 나쁘면 , 좋은 부분도 있고 , 좋으면 , 나쁜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빚이 늘어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해도 나쁜 것으로 좋은 것은 없습니다.^^ 사요나라~~~~~~~~~~~ 네이버 인조이재팬 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60781 인천 151 빌딩 사진 [1] ㅋㅋㅋ 07.01.24 380 0
60770 눈팅하다 글남기는데, 솔직히 63빌딩이 층수때문에 랜드마크? [10] 훔.. 07.01.24 393 1
60769 달구벌대로에서 [5] 타조알 07.01.24 277 0
60768 서대전역이 누웠네 [3] ㅁㄴㅇ 07.01.24 426 0
60758 내가 부산을 싫어하는 이유. [8] 들리들리 07.01.24 406 0
60756 ● 대한민국의 CBD는 종로, 강남, 중앙동뿐.... [8] 박동래 07.01.24 393 0
60751 아 근데 대구에 말이지. [3] 글선 07.01.24 239 0
60748 인천공항철도 [5] ㅇㅇ 07.01.24 342 0
60746 울산 정자바닷가 일출 alde 07.01.24 186 0
60744 울산 남구쪽 [2] alde 07.01.24 173 0
60743 대구 신천(新川=間川)의 일각 - 가야인의 적반하장을 보고... [13] 미도파 07.01.24 394 0
60742 울산 달동-삼산동 alde 07.01.24 197 0
60741 9호선이 완공되면 [6] ㅇㅇ 07.01.24 329 0
60740 울산 현차,현중 [3] alde 07.01.24 306 0
60737 ● 분당, 일산, 인천, 대구 전부 잘나면 뭐합니까???? [7] 박동래 07.01.24 416 0
60735 어흥이를 버로우 시키는 짤방. [5] 절너 07.01.24 197 0
60734 중국 우루무치VS 간지서울 [10] 가야인 07.01.24 496 0
60731 내셔날지오그라픽선정 죽기전 꼭 가봐야 할 곳 14 07.01.24 201 0
60730 ■ 세계적 항구 부산 VS 리우데자네이루 [6] 박동래 07.01.24 349 0
60727 원주 VS 서울 [2] 가야인 07.01.24 214 0
60724 닥치고 원주 중앙동 VS 부산 서면 [4] ㅋㅋ 07.01.24 269 0
60723 ● 거침없이 하이킥의 보금자리... [1] 박동래 07.01.24 179 0
60721 깔끔서울 vs 지저분 부산? 2탄 [20] 태생 07.01.24 438 0
60720 ● 거침없이 하이킥 재밌네요........... [4] 박동래 07.01.24 228 0
60719 서울에 바다가 없으면 바다를 만들면 되지 않나? [4] 눈팅 07.01.24 249 0
60718 인천타워에서 비상탈출하려면 어떻게 하죠? [3] 눈팅 07.01.24 231 0
60717 서울과 부산의 깔끔함 비교? [16] 태생 07.01.24 518 0
60716 인천타워는 단일형 건물? 암튼, 2012년 완공. [5] 굿맨 07.01.24 317 0
60715 서울 vs 釜山 [7] 눈팅 07.01.24 365 0
60713 서울신촌앞 옷골목 VS 부산 부대앞 옷골목 [17] 가야인 07.01.24 682 0
60709 인천타워말야. [16] 굿맨 07.01.24 334 0
60703 부산하면 해운대 바닷가 아니겠어? [10] ㅋㅋㅋ 07.01.24 423 0
60701 부산은 바다와 낭만이 있는 곳... [15] 부산조아 07.01.24 420 0
60696 부산의 랜드마크 빌딩 [3] 흠... 07.01.24 433 0
60689 부산대 상권 규모 자료(부대앞 노래방만 100여개 의류점 400여개) [2] ㅡㅡ 07.01.24 819 0
60686 똥푸산놈들은 서울깔라면 이거보다 간지나는사진가지고와라 [10] 수도권민 07.01.24 368 0
60685 부산의 중심가2 [27] 수도권민 07.01.24 545 0
60684 부산사람이 느끼는 부산의 부족한 점 [5] 부산사람 07.01.24 313 0
60683 요즘 대구 오페라하우스 사진이 안올라오네 [5] ㄱㄱㄱ 07.01.24 280 0
60682 부산 서면 일번가예요~^^ [8] 수도권민 07.01.24 368 0
60676 부산, 실내스키돔ㆍ사파리, 나비박물관등 잇단 개장 예정 [3] ㅡㅡ 07.01.24 342 0
60675 뭐 각자 자기사는곳에서 분수껏 능력껏 사는거죠...뭐... [1] 세글자 07.01.24 92 0
60674 부산시, 세계 굴지 車부품업체 투자 유치 [4] ㅡㅡ 07.01.24 311 0
60673 부산 ↔ 中·日 바닷길 ‘활짝’ [8] ㅡㅡ 07.01.24 510 0
60672 이쯤에서 머리를 식혀주는 범어사 사진 [3] 동래구민 07.01.24 224 0
60671 미도파가 나온 학교 사진 [4] ㅁㅇㄴㄹ 07.01.24 347 0
60670 대전의 상대는 광주가 맞지.. [8] 수도권민 07.01.24 514 0
60669 대구의 경쟁상대는 인천이 아니라 대전 과 광주네요. [11] ㅋㅋㅋ 07.01.24 647 0
60667 일본은 그렇다치고 대만보다 아스팔트가 구린이유는? [8] mm 07.01.24 409 0
60666 한국 금융+방송가의 산실...여의도 전경... [9] 세글자 07.01.24 44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