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뻥 뚫린 'IoT 보안', 이젠 보안 플랫폼으로 안전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9.28 17:17:28
조회 54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정연호 기자] 규제는 오랫동안 철폐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최소화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다만 이로 인한 탈규제 정책이 성공적인 결과를 낳지 못하자, 효율적인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주장이 서서히 힘을 얻게 됐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등장한 이론이 바로 포터(Porter) 가설이다. 하버드 경영 대학원의 마이클 포터 교수는 “적절한 환경 규제는 기술을 발전시켜 기업의 생산성을 높인다”는 포터 가설을 내세웠다.

포터 교수는 기업이 실제로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선택을 하지 못한다고 가정했다. 그래서 환경 규제가 적용될 때, 수익성에 압박을 받게 된 기업은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기술을 혁신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가 자동차 배출 기준을 강화한 덕분에,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게 된 것처럼 말이다.

환경만큼이나 안전의 문제에서도 적절한 규제는 중요하다. 안전은 사고에 대한 주의 의식을 갖지 않는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민감도가 특히나 떨어지는 영역이다. 그래서, 위로부터의 규제를 통해 일정한 수준 이상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강화된 안전은 그 자체로도 기업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과 보안



4차 산업 혁명의 주요 화두 중 하나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이하 IoT]’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IoT 산업의 안전과 보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함께 커지고 있다. IoT는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적용해,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뜻한다. 사람이 기계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사물들끼리 센서로 통신하고 움직여 인간의 편의를 해결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발간한 IoT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조사 기관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IoT 산업이 2023년까지 연평균 12.3%씩 성장할 것이며, IoT에 대한 지출액이 2022년 1조 달러(한화 약 1,181조 원)에서 2023년에는 1조 1,000억 달러(한화 약 1,299조 원)까지 증가한다고 예측했다. 하지만, 빠른 성장 속도에 비해 안전에 대한 의식과 제도는 한참 뒤처져 있다.



과거엔 해킹(Hacking)의 피해라고 해봤자 정보 유출 피해 정도였지만, 이제는 IoT 기기가 오작동하면 인프라 마비가 나타나 사람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IoT 기기는 기본적으로 인터넷 기반이므로 모든 제품이 해킹의 대상이지만, 기기가 저사양·저전력인 경우가 많아 고전력·고성능 환경에서 제공하던 보안 솔루션을 탑재하기 어렵다. 한마디로, 중요한 정보를 다루는 IoT 기기는 해커들에게 좋은 먹거리가 된 셈이다.

IoT 기기는 제작 이후로 배포·설치됐을 때 보안 패치 등의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거나 큰 비용이 들어간다. 그래서, 최초 설계·개발 단계부터 보안 설정을 적용해야 한다. 다만, 일반적으로 IoT 제조업체는 중소기업인 경우가 많아 높은 수준의 보안 적용을 위한 투자가 쉽지 않다.

시큐리티 플랫폼의 보안 플랫폼

IoT 기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세계 각국에선 규제를 통해 안전한 생태계를 만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최초의 ‘사물 인터넷[IoT] 보안법(정식 명칭 SB 327)’이 2020년 1월부터 시행되면서, 이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모든 기기는 보안 기능을 필수로 탑재해야 한다. 유럽 연합[EU] 의회에선 ‘EU 사이버 보안법’이 통과되면서, 2023년 이후로 전력·수도·운송·의료·에너지 등 주요 시설의 제품 및 서비스에 보안 인증이 의무화된다.

우리나라도 인터넷진흥원에서 IoT 보안 인증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은 관련된 법∙제도가 준비되지 않아 이용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그렇지만, 국내에도 이런 IoT 기기 제조사를 위한 보안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례가 있다. Arm사와 협업으로 보안 플랫폼을 개발한 IoT 보안 솔루션 개발 기업 시큐리티플랫폼의 한전향 보안 전력량계 플랫폼이다.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는 2017년 국정 감사에서 1.7조 원 규모의 지능형 전력 개량 시스템[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은 뒤,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Arm과 제휴를 맺고 보안과 계량 기능이 강화된 전력량계를 개발하고자 했다. AMI는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으로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고, 전기 사용 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시설이다.

한전은 AMI에 Arm의 8세대 아키텍처(architecture) 기능인 트러스트존(TrustZone)이라는 강화된 보안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트러스트존은 PC의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메모리 내부에 독립된 보안 구역을 따로 둬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는 하드웨어 기반 보안 기술이다. 하지만, 국내 제조사들이 보안 전력량계 개발하는 데 애를 먹으면서 사업이 계속 지연돼, 현재는 일부 업체만 DLMS-HLS(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최소한의 보안) 개발을 완료하고 이제야 시범 사업을 준비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큐리티플랫폼은 하드웨어·시스템·통신·보안 등이 모두 포함된 한전향 보안 전력량계 플랫폼을 제조사에 배포했다. 기술 장벽 때문에 보안 기술 개발을 쉽게 하지 못했던 제조사는 검증된 보안 플랫폼 모듈 덕분에, 보안 기술에 필요한 예산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됐다. 남는 자원은 자연히 연구 개발에 투자할 수 있어 더 좋은 IoT 기기를 만드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된 것이다.

시큐리티플랫폼의 황수익 대표는 “국내 약 50여 개의 전력량계 기업은 보안 플랫폼을 통해 기업 고유의 기술에 집중해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있으며, 북미와 유럽의 보안 규제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전 세계 약 20억 개에 달하는 AMI 시장에 진출할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이미 IT 산업에 있어 충분한 경쟁력과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최근 애플과 구글의 인앱(in-app) 결제 강제를 금지하는 법안을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입법화한 것이 그 증거다”라고 덧붙였다.

법적 규제는 잘 설계되고, 국민과 이해 관계자에게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때 기술 개발을 촉진한다. 지금은 보안 플랫폼 내부에 국제 인증 규격에 맞는 IoT 보안 기능을 갖췄음에도, IoT 보안과 관련된 국내 법∙제도가 없어 일부 기능만 적용하고 있다. IoT의 안전과 보안 문제를 우리가 먼저 입법화하고 생태계를 구축하여 시장을 주도할 때다. 혁신 규제를 선도하려면, 규제와 관련해 산업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주의 깊게 듣고 솔직한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필요하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시큐리티플랫폼의 황수익 대표, "이곳에 편리하고 값싼 IoT 디바이스 보안 솔루션이 있다"▶ 추석 앞둔 가전 시장의 키워드, ‘삼신 가전’, 그리고 ‘IoT’▶ [주간 IT뉴스 브리핑] 플랫폼 기업 무한 확장에 제동 걸렸다 외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28 [리뷰] 급이 다른 웅장함, JBL 바 5.1 서라운드 사운드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73 0
227 VMware, 여러 클라우드 원활히 운용하는 ‘크로스 클라우드’ 전략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43 0
226 [IT신상공개] VR을 위한 신개념 렌즈, 캐논 RF5.2mm F2.8L 듀얼 피시아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40 0
225 2회차 맞은 퓨처쇼 2021, 미래 기술로 지역 상권 활성화까지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36 0
224 윈도 11 직접 써보니··· '익숙한 부분은 두고, 바꿀 부분 바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96 0
223 들고 다니며 스팀 게임을? PC 기반 휴대용 게임기 속속 등장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2070 6
222 [주간투자동향] 맘편한세상,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53 0
221 [하이서울 V.C 탐방] 미소정보기술 "데이터 활용,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집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440 0
220 현재에서 경험하는 미래의 산책, '퓨처쇼 2021' 오는 7일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5 40 0
219 [하이서울V.C 탐방] 트리플하이엠 "경쟁사들이 외면한 소상공인에 주목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5 34 0
218 '심정지 환자에겐 어떤 응급 처치가 필요한가요?',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으로 확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5 46 0
217 [하이서울 V.C 탐방] 대연씨앤아이 "탄소중립 시대 앞당기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5 46 0
215 카카오톡VS라인, 검색 기능은 어떻게 다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60 0
214 [송대리의 잇(IT)트렌드] 연예인을 넘보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세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67 0
213 [농업이 IT(잇)다] 경노겸 한국축산데이터 “축산 디지털 전환과 원 헬스 부문 리더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45 0
212 공원 산책하듯 미래 기술 체험, ‘퓨처쇼 2021’ 10월 7일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45 0
211 [하이서울 V.C 탐방] 페이민트 "간편결제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36 0
210 [IT애정남] 고가의 그래픽 카드, 해외 구매도 괜찮을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974 0
209 [홍기훈의 ESG 금융] 채권 분석에 ESG 요인을 적용하는 방법 Part 3: 국가 신용 분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584 0
208 '원격 의료'의 시대 열린다, "효과성과 안전성 입증이 우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40 0
207 구형 가전도 스마트하게 쓰는 IoT 액세서리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44 0
206 [리뷰] 누구나 손쉽게 메모리 오버클록을, PNY 액셀러레이트 게이밍 DDR4-36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52 0
205 [하이서울 V.C 탐방] 토스랩 "잔디로 아시아 최고의 협업 툴을 꿈꿉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409 0
204 [모빌리티 인사이트] 안전하고 편리해질 서민들의 ‘발’, 스마트 철도 시스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978 0
203 서울홍릉강소특구에 파트너 속속...의료·바이오 생태계 구축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39 0
202 5차 재난 지원금, 어디서 쓸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50 0
201 불법 촬영물,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111 0
200 씨게이트, 게이밍 특화 저장 장치 ‘파이어쿠다’ 시리즈 대거 소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64 0
199 데이터가 경쟁력인 시대, '데이터 시각화'가 필요한 이유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1125 1
198 올해 5,500억 투자한 넷플릭스, 국내 콘텐츠 산업 경쟁력도 쑥↑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686 2
197 [하이서울 V.C 탐방] 자이냅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연구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44 0
196 닷 김주윤 대표 "디지털 시대에 소외되는 장애인 없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8 60 0
195 한국MS, 시간과 공간의 벽 허무는 하이브리드 업무 혁신 전략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8 43 0
뻥 뚫린 'IoT 보안', 이젠 보안 플랫폼으로 안전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8 54 0
193 [리뷰] 7분이면 차가운 음료 한 잔 완성, 벨레 IM9 휴대용 제빙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8 40 0
192 [하이서울 V.C 탐방] 네오누리콤 "장애인 고용 앞장서는 인쇄·판촉 기업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8 576 0
191 [주간투자동향] 쓰리아이, 28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8 852 1
190 [트위터 활용하기] MZ 세대와 교감, 트위터의 라이브 방송으로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7 1261 1
189 [리뷰] QHD로 실현한 165Hz 주사율, 벤큐 모비우스 EX2710Q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7 104 0
188 [하이서울 V.C 탐방] 인라이플 "추천율, 클릭률 높이려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7 41 0
187 갤럭시 S22 시리즈는 S21과 유사한 디자인에 S펜도 내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7 70 0
186 [기고] LA의 자연 사랑한 현대 예술가 '데이비드 호크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7 618 2
185 [뉴스줌인] ‘LHR’ 달고 다시 나온 지포스 30 시리즈, 차이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5 55 0
184 아마추어 웹 소설 작가도 연재 '카카오페이지의 스테이지', "이제 상생을 고민할 단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71 0
183 [스타트업-ing] 스튜디오 사월 양나리 대표 "누구나 작가나 독자, 투자자 될 수 있는 것이 '씨나리오'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44 0
182 [송대리의 잇(IT)트렌드] 하반기 스마트폰 대전 본격 개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1467 1
181 반도체 업계에 드리운 전운, 미국은 인텔을 앞세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73 0
180 [농업이 IT(잇)다] 김명원 루츠랩 "국산 배 석세포로 제로(0)미세 플라스틱 시대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51 0
179 '세일즈포스 라이브 코리아 2021', 뉴노멀 시대의 기업 디지털 혁신을 제시한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627 0
178 [리뷰]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하만카돈의 블루투스 스피커 '오닉스 스튜디오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3 11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