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유니메오 “원스톱 돌봄 서비스 ‘좋은케어’, 투명한 간병인 매칭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13 17:05:03
조회 140 추천 0 댓글 0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 지원해서 세계 규모의 기업이 되도록 돕는 아기유니콘 선정기업의 면면을 살펴봅니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2025년 기준 우리나라 고령 인구 비율은 약 20%에 달한다. 고령화 시대에 돌입하며 시니어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주식회사 유니메오(이하 유니메오)가 국내 최초 간병인 매칭 플랫폼 ‘좋은케어’로 시장 선도에 나섰다.


장승익 유니메오 대표 / 출처=유니메오



좋은케어는 간병 매칭 서비스를 중심으로, 환자에게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스톱 솔루션이다. 유니메오는 병원과 협약해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확보하고, 인공지능(AI) 기반 간병인 수요량 예측 기술로 환자와 전문 간병인의 빠른 매칭을 돕는다. 더불어 병원 동행, 심리 상담 등 돌봄 사업의 영역을 넓혀 시니어 토탈 헬스케어 플랫폼을 목표한다. IT동아는 장승익 유니메오 대표를 만나 유니메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해 물었다.

구조적 한계 있던 간병 시장 개선한다


장승익 대표의 집안은 대대로 병원을 운영해 왔다. 덕분에 자연스럽게 의료 사업에 대한 통찰력을 길렀던 그는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한국에서 다양한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중에서도 장승익 대표는 간병 사업에 주목했다. 그는 “기존의 국내 간병 시장은 일용직 중개 업체를 중심으로 폐쇄적인 서비스 운영이 이뤄졌다. 환자와 보호자는 사전에 간병인 정보를 알지 못해 신뢰할 수 있는 간병인을 찾기 어려웠고, 간병인도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승익 대표는 2020년 좋은케어 출시 후, 일본의 대표 시니어 케어 기업 ‘솜포케어’를 벤치마킹했다. 특히 체계적인 간병 서비스를 만들고자 대학, 요양병원, 간병협회, 교육기관 등 관련 업계 종사자와 함께 기획했다.

시니어 토탈 헬스케어 플랫폼 지향


현재 유니메오가 제공하는 주요 세 가지 돌봄 서비스는 ▲간병 서비스 ▲병원 동행 서비스 ▲비대면 심리 상담 서비스다. 유니메오는 돌봄 인력 매칭에 특화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11건의 특허를 보유했다.


유니메오 간병 서비스 / 출처=유니메오 브랜드 홈페이지



유니메오의 간병 서비스 ‘좋은케어’는 병원 또는 가정에서 간병인을 필요로 하는 환자와 보호자를 위해 체계적인 간병인 매칭을 지원한다. 간병 비용은 정찰제로 투명하게 운영되며, 모든 간병인은 배상책임보험에 의무 가입된다. 또한 간병인은 ‘환자 다이어리’에 날마다 환자의 의식 상태, 식사량, 수면 상태, 배변 활동 등 컨디션을 입력해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니메오는 간병인의 신원 검증과 전문 교육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장승익 대표는 “좋은케어에 등록된 간병인은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을 통해 전문 교육기관에서 과정을 필히 수료하고, 웰다잉(Well-dying) 교육 등 주기적인 인성 교육 및 테스트도 병행한다”고 말했다. 각 단계를 통과한 간병인은 일반, 구독, 프리미엄 3단계 등급으로 구분된다.

또한 유니메오는 소속된 전문 간병인에게 정서적 지원을 위한 심리 상담 및 코칭 교육도 무상 제공한다. 한편, 교육 이수를 통해 프리미엄 등급을 획득한 간병인은 전문성을 인정받아 폭넓은 지원이 가능해진다. 장승익 대표는 “유니메오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약 40% 이상과 협약을 맺어 안정적인 환자 수요와 서비스 신뢰도를 확보했다. 요양병원도 전국 약 150곳과 협약을 맺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니메오는 병원 동행 서비스 및 심리 상담 서비스까지 지원해 환자의 입원 전후 원스톱 돌봄 서비스를 구현한다. 병원 동행 서비스는 보호자가 직접 병원에 동행하기 어려운 경우, 전문 교육을 이수한 동행 매니저가 환자의 병원 방문을 돕는 서비스다. 교통 약자 운송 서비스 기업 ‘파파모빌리티’와 연계해 빠른 동행을 돕고, 동행 매니저는 의사 소견과 복약 정보를 정리한 동행 리포트를 제공한다. 이때, 동행 매니저에 대해 자격증 소지 및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필수 요건으로 둔다. 비대면 심리 상담 서비스 '좋은상담'은 장기 간병으로 인한 보호자의 정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심리 상담 전문가와의 매칭을 지원한다.


출처=유니메오 브랜드 홈페이지


AI 간병인 수요량 예측…빠른 간병인 매칭 실현


유니메오는 IT 기반 앱 서비스를 지속 고도화함으로써 차별화를 둔다. 우선 AI를 접목한 ‘간병인 수요량 예측’ 모델은 하이브리드 필터링 알고리즘과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해 병원별·지역별·계절별 간병 수요를 예측한다. 또한 환자의 컨디션 및 병명에 따라 해당 환자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인력을 시스템에서 빠르게 매칭해준다.

예컨대,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광범위 항생제로 알려진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균에 의한 감염) 또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에 의한 감염)처럼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전염관리 전문 간병인을 배정한다. 자주 체위 변경이 필요한 편마비나 사지마비 환자에게는 2시간마다 체위 변경과 부분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경험이 풍부한 간병인을 신속하게 배정한다. 장승익 대표는 “AI 기반 간병인 수요량 예측 기술 덕분에 빠르고 정확한 간병인 매칭이 가능해져 매칭 소요 시간을 1시간에서 15분으로 단축했다”고 말했다.

유니메오는 올해 AI 기업과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 환자와 주고받은 대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니어 라이프 로그(life log, 개인 일상에 대한 기록)를 분석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개발할 계획이다. 나아가, 유니메오는 돌봄 로봇 개발 컨소시엄에도 참여한다. 돌봄 로봇은 새벽 시간 환자의 체위 변경 등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수행하면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유니메오 상담 서비스 / 출처=유니메오 브랜드 홈페이지


간병 서비스 전국화부터 해외 간병 인력 유치까지


유니메오는 2020년 좋은케어 출시 후, 2021년 좋은상담, 2024년 병원 동행 서비스를 연속 선보이며 꾸준히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중이다. 2023년 기준 거래액 180억 원을 달성한 유니메오는 현재 시리즈B 투자 유치 중이다. 2024년 전공의 파업으로 타격을 받았으나, 수도권 제휴 상급종합병원 확대 전략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했고, 중소기업벤처부가 지원하는 아기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현재 수도권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좋은케어 이용 환자는 2024년 기준 약 55만 명, 간병 인력은 약 2만 명에 달한다. 유니메오는 2025년 간병 서비스를 충청도, 경상도 등으로 확대, 권역별 지정한 약 300여개 거점 병원을 중심으로 국내 최초 간병 전국화를 목표한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간병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외 간병 인력 유치 사업을 펼친다. 장승익 대표는 “베트남 현지 간호사들과 간병인 제휴를 맺었다. 해외 간병인은 전문 간호 인력이면서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선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혀준다”며, “간병인과 가사 도우미는 다르다”고 덧붙였다. 유니메오는 이들을 위해 건설사와 연계해 한국에 머무를 수 있는 기숙사를 마련하고, 어학 및 실무 교육을 지원해 안정적인 간병 인력 공급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유니메오는 향후 다각도에서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장승익 대표는 “집에서 임종을 원하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재가 임종이 시대적 화두다. 이와 관련해 유니메오는 왕진 서비스 등 찾아가는 의료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유니메오가 구상한 사업 진행 속도는 빠르지 않지만, 차근차근 내실 있게 진행하는 게 목표”라며, “이러한 과정에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스파크랩이 운영하는 투자 유치 프로그램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y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포티넷코리아 “AI 보안 통합 플랫폼으로 비방화벽 시장 공략”▶ [주간투자동향] 시나몬, 1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투자를IT다] 2025년 2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4916 2025년 3월 출범하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장점과 아쉬운 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1 4 0
4915 기능을 포기하고 99만 9000원... 애플 아이폰 16e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0 8 0
4914 벤큐 “왜곡 없는 정확한 컬러 표현, 콘텐츠 제작의 핵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4 0
4913 라스베이거스 초대형 돔 스피어는 어떻게 구동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7 0
4912 험난한 야외 환경 견딜 필드용 로봇 위한 ‘전자파 내성 센서’ 개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9 0
4911 엔슬파트너스+동아닷컴+아이티동아, 'K-스타트업' 해외 홍보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822 0
4910 [ETF 기본기 다지기] ETF 투자하는 동안 발생하는 비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248 0
4909 [주간스타트업동향] 레드브릭, UAE 국부펀드 운영 ‘HUB71’ 선정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28 0
4907 ‘항공 사진과 GPS로 정확하게’ 드론이 바꿀 건축ㆍ측량 산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1235 0
4906 시놀로지 “쉽고 빠른 기업 데이터 관리, '액티브프로텍트'가 정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3 0
4905 [스타트업-ing] 이티에프랩 “초보 투자자를 위한 ETF 정보 제공, 케이이티에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3 0
4904 [자동차와 法] 수소차 보급과 법·제도: 친환경 모빌리티 시대의 과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099 0
4903 포털 ‘줌’, AI 가상자산 분석 서비스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37 0
4902 [신차공개] ‘기아 EV4’ 외장 공개·’로터스 25년형 에미라’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94 0
4901 비행기에 리튬이온 배터리 갖고 탈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5462 2
4900 당근으로 집 산다?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88 0
4899 [투자를IT다] 2025년 2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205 0
4898 [생성 AI 길라잡이] 영상 생성 인공지능 서비스 '소라(Sora)'의 스토리보드를 활용해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78 0
4897 [뉴스줌인] 최근 급증한 온라인 사기 기법, ‘돼지 도살 스캠’은 무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83 0
4896 [리뷰] 성능과 완성도 벼려낸 AI 스마트폰, '갤럭시 S25 울트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84 0
4895 전자결재·ERP 동시 도입한 ‘인천문화재단’, 배경에 NHN두레이 조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9 0
4894 동대문구 소상공인연합회 “스넥스, 활기찬 분위기 조성 및 정책 홍보에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9 0
4893 [2024 고려대 초창패] 일렉트로워터 “전기차 패러다임 바꾼 테슬라처럼 수처리 분야 혁신 주도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6 0
4892 애플 통신칩 독립 여정, 10년 끝맺음 지을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787 3
4891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앱·동영상 생성형AI 출시로 전문가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64 0
4890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 ‘단계적 허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39 0
4889 [2024 고려대 초창패] 값비싼 보행 분석 ‘AI 기술’로 일상화…‘에이트스튜디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69 0
4888 [리뷰] 기본기와 신뢰성, 넷기어 GS516 16포트 기가비트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31 0
4887 [2024 고려대 초창패] 에이코트 “입자 코팅 기술로 배터리 산업 힘 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8 0
4886 겨울철 월동장구별 자동차 제동거리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9 0
4885 [생활 속 IT] 공항철도 혼잡도 카카오맵으로 확인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7 0
유니메오 “원스톱 돌봄 서비스 ‘좋은케어’, 투명한 간병인 매칭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40 0
4883 [주간스타트업동향] 위밋모빌리티, 2025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87 0
4882 [생활 속 IT] 아이폰 기본 메모에서 문서 스캔·PDF 저장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84 0
4881 [월간자동차] 25년 1월, 전년 동기 대비 신차 판매 14.3% 감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618 1
4880 [리뷰] 고음질은 기본, 멋진 디자인까지 갖춘 PC 스피커 ‘크리에이티브 페블 노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73 0
4879 가상자산 거래소, 전산장애 방지 위해 IT 인프라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60 0
4878 [IT기획자의 탄생] 4. 신사업 기획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62 0
4877 시장점유율·격차 크게 줄어··· '희비 엇갈린 인텔·AMD'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961 1
4876 오라클, “클라우드 탑4 등극, AI도 우리가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06 0
4875 포티넷코리아 “AI 보안 통합 플랫폼으로 비방화벽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87 0
4874 [생활 속 IT] 우리 동네 ‘위법 식당’ 확인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86 0
4873 [IT신상공개] 가성비 좋은 노이즈캔슬링 이어폰 ‘JBL 튠·웨이브 4종’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4935 0
4872 [생활 속 IT] 윈도 운영체제 관리 도우미 ‘MS PC 매니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13 0
4871 국내 최초 3칸 굴절버스 대전 달린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323 2
4870 [리뷰] 재질부터 두뇌까지 새롭다, 에이수스 젠북 A14(UX340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656 0
4869 폰 연결 없이 갤럭시워치로 음악 들으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9 0
4868 [주간투자동향] 시나몬, 1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319 1
4867 ‘인공지능에 기회 있다’ 글로벌 테크 기업,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경쟁에 속도 붙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6188 1
4866 [생성 AI 길라잡이] 커지는 보안 우려에 딥시크 차단 조치 확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328 0
뉴스 故 오요안나 일기장 공개 후폭풍, ‘가해자 지목’ 박하명, 최아리, 이현승, 오늘도 날씨 방송 등장 디시트렌드 02.1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