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IT운영관리] 5. "RPA 도대체 어떻게 도입해야 하나?", C레벨과 실무진 위한 RPA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3.29 16:06:24
조회 240 추천 0 댓글 1
[연재순서]
1부-디지털전환 성공 키워드는?.. "철저한 분석", "IT 인프라 관리"(https://it.donga.com/101699/)
2부-"반복업무는 RPA에 맡겨라", 직원은 고부가가치 창출에 집중(https://it.donga.com/101767/)
3부-RPA는 '마법' 아니다.."철저한 준비 없으면 곤란"(https://it.donga.com/101801/)
4부-"해외에서 RPA는 승승장구".. 국내 RPA는 확산도 어려워(https://it.donga.com/101858/)
5부-"RPA 도대체 어떻게 도입해야 하나?", C레벨과 실무진 위한 RPA 이모저모(https://it.donga.com/101954/)
6부-속도 못내는 디지털전환, 기업 위기감은 커져.. "국내도 클라우드 기반 IT운영관리 필요"(https://it.donga.com/102041/)
7부-"IT인프라 관리 개별 기업이 감당 어려워"...AI와 결합한 IT운영관리 필수(https://it.donga.com/102101/)
8부-AI와 디지털전환.. 왜 생각만큼 발전이 없을까?(https://it.donga.com/102210/)
9부-MSP "클라우드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 클라우드 관리의 전문성 필요(https://it.donga.com/102270/)
10부-"IT시스템 도입보단 운영관리가 더 중요하다"(https://it.donga.com/102361/)



출처=셔터스톡



요즘 떠오르는 대세는 RPA(로봇프로세스자동화)다. 많은 기업이 RPA를 도입하면서 불필요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었고, 업무 생산성도 극적으로 증가시켰단 소식이 들려온다. 그렇다면, RPA는 단순히 ‘도입’만 하면 마법처럼 비용 절감과 생산성 증대를 가져오는 걸까? RPA 도입을 원하는 C레벨 경영진과 RPA 도입에 망설이게 되는 실무진들을 위해서, IT운영관리 솔루션 ‘ITOMS(아이톰즈)’를 제공하는 인포플라의 최인묵 대표와 함께 RPA와 관련된 궁금한 점을 뽑아서 답변했다.

1.RPA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에 쓸 수 있나요?

“RPA는 행정, 공장, 금융, 의료, IT운영 등 다양한 분야의 업무 자동화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자사의 그룹웨어와 ERP(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에서 자료를 검색하고, 해당 내용을 엑셀에 정리해서 메일로 보내는 작업은 회사 직원들이 주기적으로 하는 일입니다. 이런 자료 검색, 엑셀 작업, 메일 보내기 같은 일상적인 업무를 RPA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RPA로 할 수 있는 일, 출처=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RPA가 사람처럼 직접 판단을 하는 것도 가능한가요?

“현재 단계에선 RPA가 하는 일은 사람이 하던 단순 반복 작업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사람처럼 판단을 하진 못하죠. 주관적인 판단은 RPA가 잠시 멈춘 다음, 사람이 하는 것입니다”

3.RPA와 매크로는 어떻게 다른가요?

“RPA는 매크로보다 훨씬 고도화된 방식의 소프트웨어입니다. 매크로가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여러 명령어를 자동으로 진행하는 개념이라면, RPA는 여러 프로그램을 넘나들면서 명령어를 자동화하는 것입니다. RPA는 업무 수행 과정 중 여러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인티그레이션이 가능해서 digital glue(디지털 접착제)라고도 불립니다”

4.RPA를 쓰면 어떤 점이 좋나요?

“단순 반복적인 일을 RPA에게 시킬 수 있으니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또한, RPA는 사람이 저지를 수 있는 휴먼 에러를 줄이고, 업무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실무자 입장에선 RPA가 도입되면 일자리가 사라지진 않을까 걱정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완화시킬 수 있을까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근로자는 단순 반복 업무에 치여서 더 중요한 업무를 하지 못하는 게 현실입니다. RPA를 통해서 실무자들은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업무 범위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6.회사 내부에 RPA를 담당하는 개발인력이 필요한가요?

“지속적으로 RPA를 운영 및 확대할 목적이라면 내부에 RPA 개발 인력이 있는 것이 유리합니다. 회사 업무는 수시로 변경되니 이를 즉시 RPA에 반영하려면 자사 업무 프로세스를 잘 이해하는 개발인력을 보유하는 게 좋겠죠”

7.보통 해외 RPA를 많이 쓰는 거 같던데 국내 RPA 업체들은 경쟁력이 떨어지는 건가요?

“RPA의 개념과 솔루션이 해외에서 먼저 시작되었고, 해외 사업 여건이 좋다 보니 해외 업체들이 막대한 투자를 받았습니다. 덕분에 빠른 연구 및 개발 속도로 UI, 안정성, 기능 유연성이 국내 기업에 비해 다소 높은 편입니다. 다만, 국내 업체도 충분히 좋은 RPA를 개발했고, 해외 업체보다 가격이 더 저렴하단 경쟁력이 있습니다”

8.요즘 IT운영관리 얘기가 나오는데 이건 RPA랑 어떻게 다른 건가요? IT운영관리 솔루션에도 보통 자동화 기능이 있지 않나요?

“과거의 IT운영관리는 SM(System Management)조직 인력이 장비에 직접 접속해 모니터링, PW변경 등 명령어 기반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일부 패키지 S/W를 통해 단위업무를 자동화하고 있긴 합니다. 다만, 단위업무 자동화를 위한 패키지 S/W는 너무 가격이 높아(ex: 3000대 기준 PW관리 툴 가격이 15억 원)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출처=인포플라



외국 시장에선 현재 IT운영관리 업무가 클라우드 상에서 통합 및 자동화돼 저렴한 가격의 구독형 Saas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미국 기업인 서비스나우 업체는 이러한 IT운영관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1년 매출이 5조 원이 넘습니다. 국내 시장도 이런 방향으로 가야 하기 때문에, 인포플라도 AI 기반의 IT운영관리 자동화 제품을 패키지 및 클라우드 형태로 국내외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9.RPA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만 도입하는 게 나을까요? 중소상공인(Small-Medium sized Business)도 도입하면 효과가 클까요?

“국내의 경우 RPA는 금융기관을 시작으로 대기업, 관공서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1인이 여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상공인도 RPA 도입 시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한 국가적인 지원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10.RPA는 로봇 1대당 보통 가격이 얼마나 하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로봇 1대로는 한가지 업무만 자동화할 수 있는 건가요?

“RPA는 보통 로봇, 스크립트 에디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 로봇의 경우에만 1년에 1대당 약 800만 원정도 들어갑니다. 비교적 높은 금액이죠. 대신 로봇은 24시간 구동이 가능하며, 1대를 도입해도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반복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여러 업무를 자동화할 땐 RPA 스크립트를 제작해야 하므로 비용이 더 많이 든다는 점 유의해야 합니다”

11.RPA를 도입할 때 걸림돌이 어떤 업무가 RPA와 호환성이 좋은지 분석하는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이때 컨설팅 업체를 끼고 일을 진행해야 하나요? 실무진에서 협조를 잘 안 한다면 어떤 대응이 필요할까요?

“업무 자동화를 하려면 개발자가 해당 업무를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야 RPA 자동화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거든요. 큰 비용과 오랜 시간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기존에는 전문 컨설팅업체가 업무 분석을 먼저하고, 후에 개발업체가 스크립트를 제작하는 형태로 많이 일했습니다. 현재는 개발업체에서 컨설팅팀을 구성해 업무분석과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실무진의 협조를 얻으려면 우선 디지털전환과 관련된 내부합의를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12. RPA를 도입하면 중앙에서도 다 관리가 가능한가요? 아니면 개인이 알아서 관리하고 사용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1인 1(RPA)비서의 역할이라면 개인이 관리해야 하며, 전체적인 업무라면 중앙에서 관리하도록 설치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13.인공지능과 RPA가 결합되면 어떤 기능이 가능할까요?


이미지 속 글자를 컴퓨터가 인식하도록 디지털화하는 기술인 OCR, 출처=셔터스톡



“현재 RPA는 OCR(글씨 인식) 등 제한적인 인공지능 기능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미래엔 인공지능이 스스로 판단해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어느 정도 가능할 것입니다”

14.RPA는 보안의 위협이 없나요? 이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RPA가 동작하는 시점에는 PC 화면이 잠긴 상태로 있으면 안 됩니다. 이 시점이 보안에 취약한 시기죠. 보안을 강화하려면 PC에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물리적인 격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라우드 형태의 서비스는 서버에 물리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니 보안성이 더 강한 편입니다”

15.RPA를 도입하고도 이후에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한가요?

“모든 IT시스템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로봇과 스크립트도 유지 및 보수가 수시로 필요합니다. 외부 웹사이트에서 홈택스 자료를 조회하는 작업도 RPA가 하는데, 만약 홈택스 웹사이트가 리뉴얼됐다면 로봇이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엔 스크립트를 수정해야 합니다”

16.RPA업체들도 여러 곳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RPA업체를 선정할 때 뭘 중요시하게 봐야 할까요?

“해당 업체의 RPA 제품이 회사에서 자동화할 업무에 적절한지 제품 비교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PA 제품은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기에 제품마다 기능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업체의 기술지원 능력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17.RPA는 기존 IT운영 시스템에서 바로 쓸 수 있는 건가요?

“RPA를 통해 업무 자동화를 하려면 기존 업무 및 IT인프라를 분석해야 합니다. IT운영관리 업무는 수십 가지에서 수백 가지에 이르며, 장비마다 운영체제가 다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PW(패스워드)변경이라는 단일업무도 운영체제마다 장비에 로그인하는 단계, PW변경 명령 단계를 위한 명령어가 모두 다릅니다. 이와 같은 환경이 IT운영관리 분야가 다른 분야와 차별화되는 부분입니다.

RPA 제품에 따라 CLI(Command Line Interface)환경, 웹환경, 캡차(CAPCHAR)환경, RDP(Remote Desktop Protocol) 환경 등을 지원하는 수준이 모두 다릅니다. 하나의 RPA 제품만으로 모든 환경에서 자동화를 하는 건 어렵습니다. 그래서, RPA 제품을 통합해서 운영하고, 서로 다른 형식의 결과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IT운영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것입니다. 인포플라의 ITOMS 같은 IT운영관리 서비스는 이를 위해서 존재합니다. ITOMS 등의 IT운영관리 서비스는 여러 RPA 제품과 협업해 다양한 운영체제에 대한 표준 자동화 스크립트를 개발하므로, IT운영업무의 관리와 추가 자동화가 지속적으로 가능합니다”


인포플라의 ITOMS 소개, 출처=인포플라



18.보통 RPA를 구현하려면 시간이 얼마 정도 걸릴까요?

“RPA 개발은 개발자의 기술 수준이나 경험 그리고 RPA에 포함되는 기능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RPA를 도입할 때 용역업체를 통한다면 간단한 업무 같은 경우엔 반나절 동안으로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업무 분석을 먼저 해야 하지만요. 일반적인 자동화 업무는 복잡하니 1~2달 정도는 걸립니다. 다만, RPA는 꼭 용역업체를 통해서만 가능한 게 아니며, 회사가 자체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RPA를 수정하거나 고도화할 때마다 매번 용역업체를 통할 수는 없으니까요”

글 / 인포플라 최인묵 대표

인포플라는 수많은 IT장비와 각 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운영체제,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보다 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ITOMS(아이톰즈)’를 개발했다. ITOMS란 사람이 하던 단순 반복 작업을 RPA로 해결할 때 각 작업 특성에 적절한 RPA를 자동으로 적용하며, RPA 작업을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IT운영관리 시스템이다. ITOMS는 1만 대 이상의 대규모 장비 및 서비스를 운영하는 공공기관의 IT운영관리 시스템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미국의 쇼핑센터 및 열감지 운영사에 수출되기도 했다.

정리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기업은 하나, 사용하는 RPA 제품은 여러 개?..."RPA 도입부터 효율적 운영 고민해야"▶ [IT운영관리] 10. "IT시스템 도입보단 운영관리가 더 중요하다"▶ 블루프리즘 "RPA 전사적 확산, 표준화 없으면 힘들어"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1342 서울랜드 “홈페이지 서버 가비아 클라우드로 전환, 온라인 서비스 강화에 큰 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57 0
1341 [농업이 IT(잇)다] 농산물 주문 통합처리 플랫폼 개발 기업 ‘에이임팩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10 0
1340 아는 만큼 보이는 협업 툴··· 업무 효율은 물론 조직 문화 개선에도 '특효'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68 0
1339 [스타트업人] 손 닿는 곳 모두 푸르게, 퍼밋 스마트팜 유지 보수 관리자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03 0
1338 휘발윳값 2100원대 돌파…경제성에 방점 찍은 '초소형전기차' 주목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2032 1
1337 인텔, 첫 데스크톱 그래픽 카드 공개··· 'GPU 시장 달굴까'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3828 7
1336 [리뷰] 에코백스 vs 로보락, 최고사양 로봇청소기, 얼마나 좋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9 0
1335 "다정함은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AI챗봇은 코로나 블루를 치유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54 0
1334 [리뷰] '호라이즌' 시리즈 팬을 위한 게임 저장고, 씨게이트 게임 드라이브 호라이즌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0 0
1333 [IT신상공개] VR게임은 움직이면서 즐겨야 한다, 피코의 네오3 링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0 0
1332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동차 회사가 인공위성을 쏘고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04 0
1331 렌털 서비스에 정부 지원까지 시작··· 확산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53 1
1330 스마트 상점 기술, 소상공인 구인·운영난 해결사로 발돋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451 1
1329 "디지털플랫폼이 야기하는 갈등 합리적 규제로 풀어야...이 시대에 말이나 마차 탈 수는 없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7 0
1328 레드햇 “RHEL9로 어디서나 일관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가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38 0
1327 "현장근로자 업무에도 디지털전환 필요"... 팀뷰어 산업용 AR로 국내 시장 진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49 0
1326 "넷플릭스 하루에 600원"…구독 서비스 '역린' 건드렸다 [4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5487 12
1325 친환경 비즈니스, 정부에서 스타트업까지 ‘공감’ 넘어 ‘공생’의 단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14 0
132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재인알앤피 “한약·의학 장점 모은 천연물 항암제, 효능으로 증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01 0
1323 [IT강의실] 저시력자, 노안, 색맹을 위한 '윈도우 화면 모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70 0
1322 중고급 개발자 품귀현상.. 슈퍼코더 "원격근무하는 해외개발자로 해결하세요"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3572 1
1321 '5nm 공정으로 주도권 회복한다'··· AMD, 젠4 아키텍처 세부 정보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64 0
1320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3부 - 노출도를 높이는 태그 200% 활용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261 1
1319 정부 “2025년까지 드론 7대 강국 도약”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80 0
1318 [IT애정남] iOS 베타 버전, 설치해도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553 0
1317 15일 개막 P&I 2022, 광학 기기 전시에서 사진 문화 행사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22 0
1316 [리뷰] 집 전등을 스마트하게 업그레이드, 텐플 스마트 벽부형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53 0
1315 '게임 구독 생태계' 완성한 MS, 무심한 표현 하나에 담긴 의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42 0
1314 前 정부혁신전략추진단 전충훈 과장,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8 0
1313 [주간투자동향] 콘랩컴퍼니,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5 0
1312 반도체 품귀에 화물연대 파업…업친 데 덮친 자동차, 가전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8 0
1311 구글이 클라우드로 '100조' 자리 원주율 계산한 방법은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903 10
1310 초고령사회 임박 韓…”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으로 경제 활력 높여야” [4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3924 1
1309 [스타트업人] “미술품 가치를 ‘데이터’로 분석합니다” 테사 에셋의 아트 애널리스트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40 0
1308 [리뷰] 크리에이터 눈높이에 맞춘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X14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209 0
1307 임박한 휴가철…협업툴 ‘노션’으로 여행 계획 세워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467 1
1306 [IT하는법] '세로 본능' 일깨우는 피벗 기능…단축키로 빠르게 화면 회전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74 0
1305 콘진원 "콘텐츠 스텝업으로 K콘텐츠 세계화를 위한 디지털 역량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14 0
1304 LG 클로이 서빙로봇 도입한 화성휴게소, “휴게소 명물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854 0
1303 [스케일업] 부엔까미노 (3) 팀장클럽 “소비자 곁에서 재미와 정보 주는 금융 도우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13 0
1302 현대重 1호 사내벤처가 올린 성과…자율운항 대양횡단 성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41 0
1301 실제 사람 똑 닮은 ‘디지털 휴먼’, 폰에 넣고 다닐 날 올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33 2
1300 [르포] SFA "무(無)정지·무인화 '스마트팩토리 기술' 로 사업 영역 확장"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62 0
1299 [리뷰] 극한의 경량화에 고해상력까지 달성, 소니 FE 24-70mm F2.8 GM I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04 0
1298 [모빌리티 인사이트] 주유 혹은 충전?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의 세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1 0
1297 블루프리즘 "RPA 전사적 확산, 표준화 없으면 힘들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0 0
1296 [홍기훈의 ESG 금융] 재무분석의 대가, 다모다란 교수가 지적한 ES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07 0
1295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1부 - 환갑이 훌쩍 넘은 인공지능의 어제와 오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803 7
1294 [리뷰] 넷기어 MS108EUP, 2.5G 대역폭에 60W 전원까지 포트 하나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01 0
1293 [IT애정남] 윈도에는 '유니버설 컨트롤' 같은 기능이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10 0
뉴스 “동성 키스, 클럽 흡연”…혜리, 파격적인 변신 화제 디시트렌드 02.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