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잘 할 수 있는 걸 하겠다" 3000억 들인 카카오의 상생 해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4.06 14:53:16
조회 619 추천 0 댓글 5
[IT동아 권택경 기자] 카카오가 3000억 원 규모 기금이 투입되는 상생안 내용을 공개했다. 앞으로 5년간 소상공인, 콘텐츠 창작자, 사회적 약자 등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행보를 가속하는 ‘비욘드 코리아’ 전략으로 3년 내 해외 매출 비중을 30%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는 6일 오전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상생안의 구체적 지원 분야로는 소상공인 및 지역 파트너, 디지털 콘텐츠 창작자, 공연 예술 창작자, 모빌리티 종사자, 스타트업 및 사회혁신가, 지역 사회 및 이동·디지털 약자 등 6개 분야를 선정했다. 단순한 기부가 아닌, 카카오의 강점을 살리는 동반 성장 프로그램으로 이뤄졌다. 홍은택 공동 센터장은 “상생의 핵심 가치는 사회 지속 가능성과 기업의 지속 가능성이 함께 하는 것”이라며 카카오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길도 사회 그리고 카카오가 함께 지속 성장하는 방향”이라고 말했다.


왼쪽부터 홍은택 CAC 센터장, 김성수 CAC 센터장, 남궁훈 카카오 대표이사. 출처=카카오


‘소신상인 프로젝트’로 소상공인 돕는다


카카오는 먼저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인 ‘소신상인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소상공인들의 카카오톡 채널 운영, 모바일 마케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디지털 소통에 익숙하지 않은 소상공인들을 고려해 직접 찾아가 돕는 전담 ‘디지털 서포터즈’를 운영하며 온라인 맞춤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카카오톡 채널 운영 비용을 지원하고 ‘카카오톡 채널 홍보 키트’도 배부한다. 카카오페이와 연계한 ‘소신상인 쉬운 결제’도 지원하기로 했다.

‘소신상인 프로젝트’는 올해 상반기 중 소수의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이후 전국으로 점차 프로젝트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홍 센터장은 “서울 광장시장, 신영시장, 제주 올레시장 등 전통시장 상인들과 접촉해 얘기를 나눴고 베이커리, 화해 농가 등 직능 단체들과도 얘기를 나누고 있다”고 밝혔다.

농수산물 생산자를 위한 ‘제가버치 프로젝트’도 확대 운영한다. 농수산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판로를 열어주는 프로젝트다. 카카오는 지난해 8월부터 공급 과잉이 예상되는 농산물을 매입해 공동 주문 플랫폼인 카카오메이커스에서 판매하고 있다. 카카오는 현재까지 농산물 총 651통을 매수해 판매했다고 밝혔다. 올해부터는 지역과 상품군의 폭을 넓힐 방침이다.


홍은택 CAC 센터장. 출처=카카오


5년간 최소 100억 들여 콘텐츠 창작자 지원재단 설립


카카오는 디지털 콘텐츠 창작자 지원을 위해 5년간 최소 100억 원을 들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창작지원재단(가칭)’을 설립한다. 재단은 콘텐츠 창작 지원가 함께 다양한 처우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창작 과정에서 생기는 심리 치료 지원, 저작권 문제 해결 등 법률적 지원 등이 포함된다. 산학 협력으로 예비 창작자들을 육성하고 창작 기회를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콘텐츠 파트너 사와 작가들 사이의 수익 배분 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정산 시스템을 올해 상반기 오픈을 목표로 구축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현재는 정산 세부 내역을 파트너사들만 확인할 수 있지만, 새 시스템이 도입되면 파트너사와 계약한 작가들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작품 뷰어 엔드의 광고 수익을 창작자에게 배분하는 등 창작자 수익 배분율을 개선할 방침이다.

공연 예술 분야도 지원한다. 카카오는 현재 국내 최대 규모 대중음악공연 전문 시설인 ‘서울 카카오 아레나’ 설립을 진행하고 있다. 아레나는 K팝 콘텐츠 산업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소오된 에술인들의 성장 기회 창출을 위한 상생 프로그램 운영에도 활용된다.


출처=카카오


큰 틀만 제시한 카카오모빌리티, 구체적 내용은 7일 따로 발표


카카오모빌리티는 오는 7일 따로 발표회를 열고 신뢰 기반의 상생 및 ESG 경영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이날 행사에서도 큰 틀에서의 방향성은 제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더 나은 승차와 배차 경험을 원하는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택시 기사들의 수익을 증대하고 산업이 고도화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업계, 정부, 관련 기관과 지속해서 대화하고 협의해나갈 방침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현재 ‘상생 자문 위원회’와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 9월부터 프로멤버십 요금 인하, 블루 서비스 취소 수수료 배분, 대리기사 변동 수수료율 개선 등 플랫폼 종사자 수익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3년 안에 해외 매출 30%까지 늘리겠다”


김성수 공동 센터장은 카카오의 10%인 해외 매출 비중을 3년 안에 30%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당장 올해부터 카카오 공동체 해외 매출을 전년 대비 40% 끌어올릴 방침이다. 내수 기업 꼬리표를 떼고 글로벌 사업을 강화하려는 카카오의 미래 전략인 ‘비욘드 코리아’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콘텐츠, IP 기반 글로벌 거점 지역을 확보하고 공동체 간 시너지를 끌어내 점유율을 확장하는 전략을 펼친다. 그 선봉으로 카카오픽코마가 일본 시장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카카오가 일본에서 서비스하는 웹툰·웹소설 플랫폼인 픽코마는 지난해 7월부터 현재까지 비게임 앱 부문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픽코마는 일본 유명 출판사와 프랑스 출판사가 제공하는 일본식 만화와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한국식 웹툰을 동시에 서비스하면서 유럽 시장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웹툰·웹소설 플랫폼을 사업을 중심으로 미국과 아세안, 중화권, 인도 시장을 공략한다. 2024년까지 글로벌 거래액을 지금의 3배까지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북미 시장은 카카오가 지난해 인수한 북미 웹툰 플랫폼 타파스와 웹소설 플랫폼인 래디쉬와 우시아월드로 삼각편대를 꾸려 공략한다. 2024년까지 북미 거래액 5000억 원을 달성해 스토리 지식재산(IP) 분야의 압도적 1위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아세안 시장은 카카오웹툰 플랫폼 및 1만여 개에 이르는 오리지널 IP 역량에 집중하며 영향력을 확대한다. 태국과 대만에서는 참신한 이용자 경험(UX)과 이용자 인터페이스(UI), 다채로운 장르의 IP를 통해 1위 수성에 나서며, 인도네시아에서도 카카오페이지를 올해 중에 카카오엡툰으로 리브랜딩할 계획이다.


김성수 CAC 센터장. 출처=카카오



현재 해외 매출이 20% 안팎인 음악과 미디어 사업에서도 글로벌 성장에 더욱 주력하기로 했다. 음악 분야에서는 전 세계 팬덤을 갖춘 글로벌 아티스트 IP를 발굴하고 육성하고, 북미 지역을 비롯한 K팝 핵심 국가에서 현지 노하우와 전문 역량을 갖춘 인프라를 구축해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활동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한다. 미디어 사업에서는 전 세계적 팬덤을 확보한 스타 배우들, 탁월한 제작 역량을 갖춘 제작진 등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겨냥한 프리미엄 콘텐츠 IP를 선보이며 글로벌 메이저 스튜디오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CAC는 비욘드 코리아 추진을 위해 주요 계열사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시너지 TF’를 조직한다고 밝혔다. 콘텐츠, IP, 인프라, 네트워크 등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의제를 발굴하며, 글로벌 진출 노하우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목적이다. 글로벌·미래·핵심 사업 분야의 M&A, 지분 투자,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도 지원할 방침이다.

김성수 센터장은 “카카오 공동체가 사회의 기대에 부합하고, 성장의 과실을 파트너들과 나눌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사회와 약속한 책임을 이행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글 / IT동아 권택경 (t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현실이랑 다른 게 뭐야?"... 카카오·디즈니+도 버추얼 프로덕션에 뛰어든다▶ 남궁훈 체제 카카오의 성장 전략은? "비지인 기반 연결 강화로 글로벌 공략"▶ [NEMO2022]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마세요", 카카오 자율주행차가 찾아갑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1342 서울랜드 “홈페이지 서버 가비아 클라우드로 전환, 온라인 서비스 강화에 큰 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57 0
1341 [농업이 IT(잇)다] 농산물 주문 통합처리 플랫폼 개발 기업 ‘에이임팩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10 0
1340 아는 만큼 보이는 협업 툴··· 업무 효율은 물론 조직 문화 개선에도 '특효'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68 0
1339 [스타트업人] 손 닿는 곳 모두 푸르게, 퍼밋 스마트팜 유지 보수 관리자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03 0
1338 휘발윳값 2100원대 돌파…경제성에 방점 찍은 '초소형전기차' 주목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2032 1
1337 인텔, 첫 데스크톱 그래픽 카드 공개··· 'GPU 시장 달굴까'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3828 7
1336 [리뷰] 에코백스 vs 로보락, 최고사양 로봇청소기, 얼마나 좋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9 0
1335 "다정함은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AI챗봇은 코로나 블루를 치유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54 0
1334 [리뷰] '호라이즌' 시리즈 팬을 위한 게임 저장고, 씨게이트 게임 드라이브 호라이즌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0 0
1333 [IT신상공개] VR게임은 움직이면서 즐겨야 한다, 피코의 네오3 링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0 0
1332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동차 회사가 인공위성을 쏘고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04 0
1331 렌털 서비스에 정부 지원까지 시작··· 확산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53 1
1330 스마트 상점 기술, 소상공인 구인·운영난 해결사로 발돋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451 1
1329 "디지털플랫폼이 야기하는 갈등 합리적 규제로 풀어야...이 시대에 말이나 마차 탈 수는 없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7 0
1328 레드햇 “RHEL9로 어디서나 일관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가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38 0
1327 "현장근로자 업무에도 디지털전환 필요"... 팀뷰어 산업용 AR로 국내 시장 진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49 0
1326 "넷플릭스 하루에 600원"…구독 서비스 '역린' 건드렸다 [4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5487 12
1325 친환경 비즈니스, 정부에서 스타트업까지 ‘공감’ 넘어 ‘공생’의 단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14 0
132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재인알앤피 “한약·의학 장점 모은 천연물 항암제, 효능으로 증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01 0
1323 [IT강의실] 저시력자, 노안, 색맹을 위한 '윈도우 화면 모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70 0
1322 중고급 개발자 품귀현상.. 슈퍼코더 "원격근무하는 해외개발자로 해결하세요"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3572 1
1321 '5nm 공정으로 주도권 회복한다'··· AMD, 젠4 아키텍처 세부 정보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64 0
1320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3부 - 노출도를 높이는 태그 200% 활용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261 1
1319 정부 “2025년까지 드론 7대 강국 도약”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80 0
1318 [IT애정남] iOS 베타 버전, 설치해도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553 0
1317 15일 개막 P&I 2022, 광학 기기 전시에서 사진 문화 행사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22 0
1316 [리뷰] 집 전등을 스마트하게 업그레이드, 텐플 스마트 벽부형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53 0
1315 '게임 구독 생태계' 완성한 MS, 무심한 표현 하나에 담긴 의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42 0
1314 前 정부혁신전략추진단 전충훈 과장,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8 0
1313 [주간투자동향] 콘랩컴퍼니,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5 0
1312 반도체 품귀에 화물연대 파업…업친 데 덮친 자동차, 가전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8 0
1311 구글이 클라우드로 '100조' 자리 원주율 계산한 방법은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903 10
1310 초고령사회 임박 韓…”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으로 경제 활력 높여야” [4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3924 1
1309 [스타트업人] “미술품 가치를 ‘데이터’로 분석합니다” 테사 에셋의 아트 애널리스트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40 0
1308 [리뷰] 크리에이터 눈높이에 맞춘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X14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209 0
1307 임박한 휴가철…협업툴 ‘노션’으로 여행 계획 세워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467 1
1306 [IT하는법] '세로 본능' 일깨우는 피벗 기능…단축키로 빠르게 화면 회전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74 0
1305 콘진원 "콘텐츠 스텝업으로 K콘텐츠 세계화를 위한 디지털 역량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14 0
1304 LG 클로이 서빙로봇 도입한 화성휴게소, “휴게소 명물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854 0
1303 [스케일업] 부엔까미노 (3) 팀장클럽 “소비자 곁에서 재미와 정보 주는 금융 도우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13 0
1302 현대重 1호 사내벤처가 올린 성과…자율운항 대양횡단 성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41 0
1301 실제 사람 똑 닮은 ‘디지털 휴먼’, 폰에 넣고 다닐 날 올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33 2
1300 [르포] SFA "무(無)정지·무인화 '스마트팩토리 기술' 로 사업 영역 확장"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62 0
1299 [리뷰] 극한의 경량화에 고해상력까지 달성, 소니 FE 24-70mm F2.8 GM I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04 0
1298 [모빌리티 인사이트] 주유 혹은 충전?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의 세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1 0
1297 블루프리즘 "RPA 전사적 확산, 표준화 없으면 힘들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10 0
1296 [홍기훈의 ESG 금융] 재무분석의 대가, 다모다란 교수가 지적한 ES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07 0
1295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1부 - 환갑이 훌쩍 넘은 인공지능의 어제와 오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803 7
1294 [리뷰] 넷기어 MS108EUP, 2.5G 대역폭에 60W 전원까지 포트 하나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01 0
1293 [IT애정남] 윈도에는 '유니버설 컨트롤' 같은 기능이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10 0
뉴스 칸예, ‘그래미 누드 드레스’ 11일만에 센소리와 이혼하나 디시트렌드 02.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