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역에 호우특보가 발표된 가운데, 경상북도 영주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주택이 무너져 14개월된 여아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0일 경북 일부 지역과 전남 일부 지역에 호우경보가 내려졌다고 발표했다. 제주의 일부 산지와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그리고 광주의 일부 지역에서는 호우주의보가 발효됐다. 이전날 자정부터 이날 새벽 5시까지의 총 강수량은 영주에서 232.0㎜, 영월에서 137.6㎜, 영동에서 112.0㎜ 등으로 나타났다. 한 시간 동안 가장 많이 비가 내린 지역은 충남 서산이 59.4㎜로, 이어 강원 춘천 59.0㎜, 경북 영주 58.5㎜가 뒤를 이었다.
비가 밤새 내리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날 새벽 4시43분경, 영주의 주택이 무너져 14개월 된 여아가 덮혀 2시간의 구조 작업 후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었다. 또한 토사유실, 사면붕괴 및 침수 위험 등으로 인해 전남과 경북 등에서 총 248세대, 350명이 대피소와 친척 집 등으로 대피하였다. 주택 1곳이 파손되고 21곳이 침수되었으며, 상가 4곳도 침수되었다. 또한, 토사 유출 1건, 도로 및 교량 유실 3건, 도로 사면 유실 2건, 하천제방 유실 2건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경북 봉화군 봉성면 일대 185세대는 새벽 12시45분부터 2시까지 정전 상황을 겪었다. 중대본은 오늘 오전부터 조사를 시작해 피해 상황이 더 확대될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지리산과 무등산 등 국립공원 18곳의 453개 탐방로와 80개 주차장의 출입이 제한되었다. 또한 울릉도와 독도 사이의 여객선 2척의 운항도 중단되었다. 중대본은 7월 1일 오전까지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에서는 100~200㎜(일부 지역은 250㎜ 이상), 경상남도에서는 50~120㎜(경남 서부 및 남해안 지역은 150㎜ 이상)의 비가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눈을 비로 바꾸는 지구온난화, 폭우 위험 늘려
사진=캔바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반구 고지대에서 눈보다 비가 더 자주 내릴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이로 인해 홍수 피해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이는 모하메드 옴바디가 이끄는 미국 로렌스버클리 연구소 팀이 나타낸 결과로, 28일(현지 시간)에 '네이처'라는 학술지에 이를 발표하였다.옴바디 연구팀은 지구온난화가 지속됨에 따라 극단적인 폭우의 횟수와 강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을 제기하였다.
특히, 기온이 1도씩 상승할 때마다 극단적인 폭우로 인한 강수량이 약 15%씩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했다.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총 강수량 증가에 대해 분석하였지만, 눈이 비로 변하는 양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행되지 않았다.
이는 비가 눈보다 홍수나 산사태, 토양 침식 등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옴바디 팀은 지적하였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