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아름다운 반려동물 시 '무지개 다리' 원작자는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16 11:02:10
조회 353 추천 3 댓글 2
														

흔히 반려동물이 죽으면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고 표현한다. 먼저 간 반려동물이 무지개 다리 너머에서 기다리다가, 나중에 주인이 오면 반갑게 마중 나온다는 상상의 산물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무지개 다리'라는 표현은 동명의 시에서 딴 표현으로 알려져 왔다. 누가 시를 썼는지는 여전히 말들이 많은데, 영국 스코틀랜드에 사는 80대 여성이 원작자라는 설득력 있는 주장이 제기됐다.


비영리단체 굿뉴스네트워크는 1일 공식 채널을 통해 '무지개 다리(Rainbow Bridge)'라는 시를 쓴 여성 에드너 클라인(82)의 사연을 소개했다. 19세였던 1959년 귀여워하던 래브라도 리트리버 메이저(수컷)를 잃은 에드너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


당시 가족은 메이저 외에도 많은 개를 키웠지만, 에드너는 이 개에 유독 정을 많이 줬다. 어려서부터 같이 자란 데다 유대가 깊어 에드너는 메이저의 죽음을 좀처럼 받아들이지 못했다.


10대 시절 에드너와 반려견 메이저 <사진=잭 레키 SNS>


메이저가 죽은 바로 다음날, 에드너는 반려동물에 대해 뭔가 기록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마치 죽은 메이저가 재촉하는 것처럼 느낀 에드너는 곧바로 펜을 들고 노트를 펼쳤다. 그렇게 처음 즉흥적으로 적은 것이 바로 '무지개 다리'였다.


에드너는 이 표현을 사용해 메이저를 추억하는 시를 완성했다. 이를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위로를 받았고, 반려동물을 잃은 상처를 조금씩 치유해 갔다.


나중에 잭 레키라는 남성과 결혼한 에드너는 이 시를 보여줬다. 잭은 굉장히 아름다운 작품이라며 출판을 권했다. 에드너는 사적인 기록이라며 망설였고, 지인들과 공유할 정도만 소량 필사해 돌리는 것으로 만족했다. 부부는 당시만 해도 '무지개 다리' 시가 지인의 지인을 거쳐 멀리 다른 나라까지 퍼져나갈 줄은 꿈에도 몰랐다.


잭 레키는 "1990년대 초 아내의 '무지개 다리'가 대서양을 건너 미국의 동물 애호가들 사이에서 공유된 모양"이라며 "1994년 미국에서 가장 큰 발행 부수를 자랑하는 신문의 칼럼 'Dear Abby(친애하는 애비)'에 '무지개 다리'라는 표현이 사용되며 그야말로 폭발적 반응이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에드너가 결혼 후 남편 권유로 지인들에게 주기 위해 필사한 '무지개 다리' 시(왼쪽).

미국에서는 부부가 모르는 사이 '무지개 다리'라는 표현이 유명 신문 칼럼에도 사용됐다.

<사진=에드너 클라인·잭 레키 SNS>


이후 '무지개 다리'라는 표현의 저작권을 두고 미국에서 논란이 벌어졌다. 미국 저작권국까지 나설 정도였는데, 바다 건너 영국에 사는 에드너와 남편이 이 사실을 알 리가 없었다.


에드너는 '무지개 다리' 시를 창작한 노트를 아직 가지고 있다. 그의 집 다락방 상자에는 '무지개 다리' 원본이 소중하게 보관돼 있다. 지역 언론 취재에 응한 그는 오랜만에 추억 가득한 노트를 꺼내 들고 울음을 터뜨렸다.


'무지개 다리'가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그는 "솔직히 사람들이 '무지개 다리' 작가라고 주장하는 걸 나중에 알고 기분이 좋지는 않았다"면서도 "제 시가 굉장히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위로가 된 것은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의 내용과 관련해 그는 "반려견을 잃고 쓴 제 시를 보고 어떤 사람은 감성이 풍부하다고 평한다"며 "문학을 공부하거나 소설을 읽은 적은 없다. 단지 메이저가 하늘에서 보고 있다는 따뜻한 생각이 들어 충동적으로 쓴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여전히 반려견들과 일상을 보내는 에드너 클라인 씨 <사진=잭 레키 SNS>


그는 "상실은 슬프지만 마냥 가슴 찢어지는 감정 만은 아닌 듯하다"며 "15세 때 건축가였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사랑하는 이를 처음 잃은 경험이었는데, 관을 보고 있자니 아버지가 걱정하지 말라고 따뜻하게 다독여준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돌아봤다.


에드너는 반려동물 인구가 많아진 요즘, 펫 로스 증후군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위한 조언도 전했다. 그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저는 새 반려동물을 맞이하길 권한다"며 "새로운 친구와 관계는 잃어버린 반려동물처럼 끈끈하지 않겠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마음을 채워가다 보면 둘 사이에 특별한 애정이 싹틀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단지 죽었다고 해서 사랑하는 동물을 애써 잊고 부정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며 "뭣보다 먼저 떠난 반려동물은 주인이 슬픔에 겨워 홀로 살아가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드너 클라인의 '무지개 다리(Rainbow Bridge)'


Just this side of heaven is a place called Rainbow Bridge.


When an animal dies that has been especially close to someone here, your pet goes to Rainbow Bridge.


There are meadows and hills for all of our special friends so they can run and play together.


There is plenty of food, water, and sunshine, and friends are warm and comfortable.


All the animals who have been ill and old are restored to health and strength, those who were hurt are made better and strong again, like we remember them before they go to heaven.


They are happy and content except for one small thing—they each miss someone very special to them who had to be left behind.


They all run and play together, but the day comes when one suddenly stops and looks into the distance.


His bright eyes are shining, his body shakes.


Suddenly he begins to run from the herd, rushing over the grass, his legs carrying him faster and faster, and when you and your special friend finally meet, you cuddle in a happy hug never to be apart again.


You and your pet are in tears. Your hands again cuddle his head and you look again into his trusting eyes, so long gone from life, but never absent from your heart, and then you cross the Rainbow Bridge together.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600 게잡이 통발 미끼 빼먹는 돌고래의 지능 [2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2782 16
599 뇌 없는 세균, 기억이 가능한 이유는 [3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6312 27
598 태양의 지름은 정확히 얼마나 될까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156 2
597 암수한몸 아수라 바닷가재 또 포획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271 1
596 심우주광통신이 열 우주개발의 미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48 1
595 멸종 위기 서부 쿠올, 경사 맞았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36 3
594 고릴라 위해 폐스마트폰 모으는 동물원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75 1
593 "AI, 배우들 자리 이미 빼앗고 있다" [10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0843 20
592 식물은 어떻게 온도 변화를 알아챌까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248 2
591 고대인의 사냥, 남성 전유물 아니었나 [1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705 9
590 스탠리 텀블러, 어떻게 화재 견뎠을까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368 1
589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 30년 만에 꿈틀 [2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7 3063 6
588 깡충거미가 동료 얼굴을 기억한다고?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7 205 4
587 비행기가 남극에 착륙하는 방법은 [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7 1400 2
586 배달도 과학이야...도미노의 도전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388 2
585 1g이면 지구 파괴...초고에너지 입자 발견 [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901 5
584 궁수자리A*, 이론상 최대 속도로 회전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246 1
583 몸에서 녹는 무선 충전기 나왔다 [3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6870 6
582 유기견에 새 가족을...구글 AI의 선물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82 2
581 레드와인 두통이 폴리페놀 탓이라고? [1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4640 1
580 현생종 새 빼닮은 7100만년 전 공룡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215 1
579 22광년 밖 행성, 온도 빼고 지구 판박이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234 1
578 뱀 투구 쓴 마야 병사 조각상 발견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355 3
577 고양이가 엉덩이 냄새를 통해 얻는 것들 [1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721 16
576 카라타 에리카, 한국 활동 재시동 [146]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2846 89
575 곤충 이름에 유명 맥주가 들어간 이유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0 288 1
574 툭하면 틀리던 일기예보, AI에 맡겼더니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0 321 5
573 2년마다 휴가 얻는 화성 탐사 장비들...왜? [5]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0 926 3
572 침팬지, 고지대 이용해 적 동태 정찰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264 1
571 터널서도 자율비행하는 드론, 日 개발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352 1
570 대스핑크스 완성에 바람이 준 영향은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336 1
569 "시오니즘은 섹시"...노아 슈냅 뭇매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795 7
568 가장 오래된 유럽 전쟁 역사 바뀌나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472 1
567 멸종된 줄 알았던 가시두더지, 극적 발견 [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287 4
566 가장 오래된 피라미드, 자바섬에 있었다?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229 1
565 현실 되는 키메라 기술, 윤리 논란 여전 [41]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3427 8
564 오직 빛으로 물 증발...광분자 효과 발견 [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1740 6
563 인간 친구 죽자 화장터 따라간 원숭이 [59]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8048 35
562 성서 속 노아의 방주, 결정적 증거 발견?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489 4
561 日 학생이 우연히 발견한 물노린재 신종 [80]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8589 53
560 페레그린, 첫 민간 달착륙 대기록 쓰나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1018 2
559 독일 15세기 매장지서 나온 철제 의수 [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524 2
558 인수공통감염병 사망자, 2050년 12배로 [43]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4601 9
557 토성의 고리가 반복해서 사라지는 이유 [1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661 5
556 상상력은 인간에게만 주어진 특권일까 [8]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605 5
555 무기로 쓴 7000년 전 뱀상어 이빨 발견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379 2
554 "AI, 초인적 설득력으로 사람 조종한다" [22]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1171 12
553 세계 최강의 초발수성 물질 탄생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274 2
552 인간은 우주에서 아이를 낳을 수 있을까 [7]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612 2
551 분수처럼 순환하는 블랙홀 가스 포착 [4] sputni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524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